[[분류:전기 타입]]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포켓몬의 타입 이외의 의미, rd1=속성/전기)] [include(틀:포켓몬스터/타입)] [목차] == 개요 == ||<#FFF><-3> [[파일:전기 타입.svg|width=40]][br]{{{+1 {{{#fbb917 '''전기 타입'''}}} }}} [br] {{{#3861ad '''タイプ(덴키 타이프) / Electric type'''}}} || ||<-3><#fbb917> '''{{{#ffffff 타입 상성}}}''' || ||<|3><#000000> {{{#ffffff 공격시}}} || 강점 ||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 || 반감 ||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 무효 || [include(틀:땅타입)] || ||<|2><#ffffff> {{{#000 방어시}}} || 약점 || [include(틀:땅타입)] || || 내성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include(틀:포켓몬스터/전기 타입 포켓몬)]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타입으로 상징하는 색은 '''{{{#fbb917 노란색}}}'''. 전기 타입 기술은 [[포켓몬스터/기술/타입별#s-2.16|해당 문단 참조]] == 영향 == * [[마비 상태]]가 되지 않는다. (6세대부터) * [[일렉트릭필드]] 상태일 때 땅에 유효한 포켓몬이 사용하는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이 1.3배[*A 7세대는 1.5배] 증가한다. * [[흙놀이]] 상태일 때 모든 포켓몬의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이 ⅓배로 감소한다. * [[플라스마샤워]], [[플라스마피스트]]를 사용한 턴에는 다른 포켓몬이 사용한 노말 타입 기술이 전기 타입이 된다. * [[송전(포켓몬스터)|송전]]에 피격당한 포켓몬은 그 턴에 사용하는 기술이 전기 타입이 된다. * 관련 특성 * [[포켓몬스터/특성/ㅇ#일렉트릭스킨|일렉트릭스킨]]: 노말 타입 기술이 전기 타입 기술이 되며 위력이 1.2배로 증가한다. * [[포켓몬스터/특성/ㅈ#전기로바꾸기|전기로바꾸기]]: 공격에 맞으면 충전 상태가 되어 다음 차례에 행동할 때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이 오른다. * [[포켓몬스터/특성/ㅈ#전기엔진|전기엔진]]: 전기 타입 기술에 맞으면 그 공격을 무효화하고, 자신의 스피드가 1랭크 상승한다. * [[포켓몬스터/특성/ㅊ#축전|축전]]: 전기 타입 기술을 받으면 대미지를 무시하고 최대 체력의 1/4를 회복한다. * [[포켓몬스터/특성/ㅌ#트랜지스터|트랜지스터]]: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이 1.3배[*B 8세대는 1.5배] 오른다. * [[포켓몬스터/특성/ㅍ#풍력발전|풍력발전]]: 바람 계열 기술을 받으면 충전 상태가 되어 다음 차례에 행동할 때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이 오른다. * [[포켓몬스터/특성/ㅍ#피뢰침|피뢰침]]: 자기 이외의 포켓몬이 사용한 전기 타입 기술을 끌어들여 무효화한 후 특공이 1랭크 상승한다. == 상성 == === 공격 상성 === 찌르는 타입은 물과 비행 2개로, 개수만 보면 굉장히 적지만 두 타입이 개체수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많은 순으로 '''물 1위''', 비행 4위] 대전에서도 자주 나오는 메이저 타입이라 약점 찌를 일은 꽤 있다. 물 타입은 풀, 비행 타입은 바위와 얼음의 다른 약점이 있지만 풀, 바위, 얼음 모두 방어상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속으로 쓰는 경우는 적고, 그나마 바위는 서브웨폰으로 들고다니는 경우가 많은 편. 그래서 물과 비행을 동시에 잡아내는 전기 타입은 공격기로 대우가 괜찮다. 게다가 강철타입에 반감되지 않는다는 점도 강점. 그러나 전기 타입 기술은 '''땅 타입에게 전혀 통하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전기-땅 관계는 에스퍼-악, 드래곤-페어리, 땅-비행보다도 치명적인 천적 관계인데, 전기 타입은 일반적으로 기술폭이 좁은 편이며, 땅 타입은 내구력이 높은 경우가 많아서 전기 입장에선 땅 타입을 눕히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나마 특수몬의 경우 땅 타입의 포켓몬이 특수방어는 물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가 많아 그나마 공략이 가능하지만 물리몬은 그것도 힘들다. [* 그래서 전기 타입은 대개 부무장으로 [[얼음 타입]] 공격을 들고 다닌다. 드래곤에 의한 반감과 땅에 의한 무효화를 동시에 해결해주기 때문. ] 반감되는 타입이 4개로 많지만 체감되는 일관성이 좋은데, 그 이유는 현존하는 포켓몬 중 물 타입의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1배 이상으로 때릴 수 있는 포켓몬이 많아 서브웨폰으로 10만볼트 등의 전기 기술을 생각보다 많이 넣는 편. 대표적인 기술로는 [[10만볼트]]와 [[번개(포켓몬스터)|번개]]가 있는데, 4세대 이후 [[비바라기]] 파티의 빈도가 늘어나면서 일반 파티의 배치에서도 번개를 채택하는 경우가 제법 있었고 6세대에서 날씨 효과가 너프되기 전까지 유행을 탔었다. 물리기는 [[피카츄]] 계열의 전용기인 [[볼트태클]]을 제외하면 [[번개펀치]]와 [[번개엄니]]가 전부였지만, 5세대에서 [[와일드볼트]]가 추가되어 숨통이 트였다. === 방어 상성 === 방어 상성은 약점이 오직 [[땅 타입]]밖에 없고 내성이 3개로 굉장히 우수한 편이다. 하지만 전기 타입 대부분이 내구력이 부실한데다, [[지진(포켓몬스터)|지진]]을 필두로 땅 기술이 상당히 많이 쓰이는 덕분에 단단하다는 이미지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스펙을 빼고 방어상성 자체만 보면 최고봉에 가까울 정도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약점을 찌르기 어려워 체감 내구는 수치상보다 훨씬 높다. 그래서 [[썬더(포켓몬스터)|썬더]], [[로토무]] 같은 포켓몬이 내구력으로 압박해오면 대응하기가 굉장히 까다롭고, [[저리더프]] 같은 경우는 틀깨기가 아니면 약점이 없다. 그래서 9세대에서는 부유 특성을 지닌 포켓몬이 전기 테라스탈을 고려하기도 한다. 아예 이 방어 상성을 이용해서 6세대에 [[파치리스|팬시형 전기 타입 포켓몬]]을 들고 대회를 우승한 [[박세준|실력자]]가 나타났다. == 특징 == 번개의 속도와 파괴력에서 오는 이미지 때문인지 스피드가 빠르거나 화력이 높은 포켓몬이 다수 포진되어 있으며, 그 대가로 내구력은 전체적으로 부실하다. 상태이상 '마비'에 걸리지 않고, 몇몇 기술의 경우 마비를 거는 것이 가능한데, 스피드가 원래의 절반으로[* 6세대까지는 원래의 25%로 떨어져, 실제 적용 스피드는 '''-75%''' 수준이었다.] 떨어지고 25% 확률로 기술을 쓰지 못하는 대단히 번거로운 상태이상이다. 불꽃 타입과 달리 1세대부터 마비를 걸어버리는 [[전기자석파]]가 존재했기에 상태이상 싸움으로도 대전에서 상당히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약점을 찌를 수 있는 물, 비행 모두 메이저한 타입이라 스토리 파티 채용률이 높다. 특히 스토리 진행 중 툭 하면 등장하는 물 타입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굳이 약점도 많은 풀 포켓몬을 쓸 바에야 그냥 전기 타입으로 스토리에서 물 타입처럼 부지기수로 등장하는 비행도 겸사겸사 견제하는 편이 낫다. 대신 땅 타입은 메인 웨폰인 전기 타입 공격기를 무효화하면서 전기 타입 포켓몬에게 대미지를 2배로 주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역으로 그 땅을 제외하면 약점이 없기 때문에 딱히 방어 상성상 조심할 것도 없다는 게 장점. 다만 비행은 몰라도 물 타입은 전기 쪽에서 1배로 받고, 물 타입은 대부분 내구형이므로 어정쩡하게 때리면 반격 맞고 다운. 꼭 얼음 타입 보조기의 문제만이 아니라, 볼트로스와 썬더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전기 타입 포켓몬들은 기술폭이 전반적으로 '''매우''' 좁다. 그런데다가 전기 타입 공격기가 약점을 찌르는 타입도 물/비행 2개밖에 없어서, 특수기가 주력인 경우에는 [[잠재파워]] 얼음으로 사실상 기술칸 하나가 필수화되어 있고 물리기가 주력인 경우는 사실상 답이 없다. 전기타입으로는 기상천외한 기술폭을 가졌다는 [[에레키블]]과 [[저리더프]]도 못 배우는 타입이 많은 편. 특히 전기 타입 포켓몬이 지진을 배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에레키블]]이나 땅타입이 붙어있는 [[메더]]/[[모래털가죽]][* 메더와 모래털가죽은 공격보다 특공이 높기 때문에 공격형으로 나갈 경우 땅 자속기로 지진보다는 [[대지의힘]]을 쓴다.], 모티브가 된 포켓몬이 지진을 배우는 알로라폼 [[딱구리]], [[무쇠손]], [[무쇠가시]] 정도. 심지어 전설의 포켓몬인 [[제크로무]]도 무게가 많이 나감에도 불구하고 지진을 못 배운다. 전반적으로 특수형이 많이 포진해 있고 물리형을 굴리기가 매우 힘들다. 전용기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위력 기술이 반동기 [[와일드볼트]]라 특수형 대비 자속 위력도 유지력도 떨어지며, 이상하게도 특수형을 써먹을 수 없는 수준일 경우 내구는 그럭저럭 봐줄만 한데 속도가 꽤 느려진다. 극단적인 예외가 [[빠르모트]] 정도. 대체로 초기형부터 전기 타입을 가지고 있는 포켓몬이 많으며, 진화하면서 전기 타입이 추가되는 포켓몬이 [[투구뿌논]]뿐으로 적다. 세대별로 추가되는 포켓몬의 수는 적지만, 그만큼 세대별로 특이한 타입 조합의[* 실제로 4세대부터 9세대까지 그 전 세대에는 없었던 전기 복합 타입 포켓몬이 한 종류 이상 추가되었다.] 전기 타입 포켓몬을 스토리에 쓸 수 있다. 9세대에서 전기/격투 타입인 [[빠르모트]], [[무쇠손]]이 추가되어 모든 타입과의 조합이 생겼다. == 역사 == 7세대에서는 [[카푸꼬꼬꼭]]이 등장하여 [[일렉트릭필드]]를 깔기 용이해지면서 전기 타입에 상당한 간접적 강화가 이루어졌다. 굳이 전기 타입이 아니더라도 전기 기술을 서브 웨폰으로 채용하는 포켓몬 거의 전부가 상향. 번치코, 엑자몽, 메타그로스가 쓰는 [[번개펀치]]의 위상도 올라갔다. [[메가메타그로스]] 등의 에이스 포켓몬에게 [[번개펀치]]를 쥐어주고 일렉트릭필드 위에서 막이팟을 분쇄하는 경우가 꽤 있다. 8세대 환경에선 강력한 전기 포켓몬이 대거 빠져 약해졌다. 그래도 [[전툴라]], [[투구뿌논]], [[쥬피썬더]], [[스트린더]] 등, 쓸만한 전기 포켓몬은 있지만 기술폭이 매우 좁고 잠재파워조차 삭제되면서 약점인 땅 타입을 견제하기가 힘들어 한계가 있지만 그래도 로토무 폼 체인지 중 [[워시로토무]]와 [[히트로토무]]는 나름 활용할 수 있으며 초반에 갸라도스에 깽판때문에 전기 타입을 채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파치래곤]]이 전기 타입치고 넓은 기술폭과 의욕으로 보강되는 화력 덕분에 어느 정도 쓰이는 편이다. 왕관의 설원 시점 부터는 전기 포켓몬 중에서는 최강의 화력을 자랑하는 [[레지에레키]], 새로운 환경 톱 [[썬더(포켓몬스터)|썬더]]의 등장으로 매우 우수한 타입이 되었다. 9세대 초창기에는 전기 타입이 환경상 유리할 것이라 보는 견해가 많았다. 일단 [[테라스탈]]로 단일 전기 타입 포켓몬들이 땅 타입 약점을 보완하거나, 부유 특성의 포켓몬들은 전기 테라스탈을 이용해 틀깨기 특성을 가진 포켓몬들이 아닌 이상 직접 약점을 찌를 수 없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인 듯. 그러나 다른 쪽에서 전기타입 활용도가 줄어들었다. 전기의 먹이인 물 타입은 열탕을 몰수당해 내구형이 비주류가 되었고, 비행 타입은 [[망나뇽]]과 [[랜드로스]] 등을 제외하면 몰락해 버렸으며, 그들마저 각각 전기 약점을 상쇄하는 타입 조합을 가지고 있다.[* 각각 [[드래곤 타입]]과 [[땅 타입]]] 또 전기타입은 비행을 빼면 압도적으로 잡아먹는 타입이 없어서[* 물은 공격쪽으로는 2배지만 반감이 아니며, 강철은 전기 쪽에서 반감으로 받지만 이쪽에서도 2배 타점을 내지 못한다.], 다반감을 노리는 테라스탈에서 우선도가 떨어진다. 오히려 풀[* 마스카나, 버섯모, 총지엔], 드래곤[* '''망나뇽''', 한카리아스, 드닐레이브], 땅[* '''토오''', '''딩루'''] 등 전기타입이 찌르기 불편한 상대가 많다. 그나마 [[무쇠손]]이 하드캐리하고 있는 형국이다. == 세대별 포켓몬 == * 새로운 세대에서 폼 체인지나 리전 폼을 얻은 포켓몬은 그 세대로 편입한다. * 8세대 포켓몬은 가라르, 히스이 지방을 모두 포함한다. * 새로 추가된 타입(강철, 악, 페어리)의 포켓몬은 그 타입이 추가되기 전의 세대로 편입한다. * 폼체인지 및 리전폼의 경우, 폼체인지 전후 타입이나 리전폼-원종 타입이 같으면 1마리, 다르면 별개의 개체로 간주한다. * 가장 많이 추가 된 세대는 {{{#red '''붉은색'''}}}으로 가장 적게 추가된 세대는 {{{#blue '''푸른색'''}}}으로 표기한다.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1세대|{{{#e8ca27,#d7b917 {{{+1 1}}}}}}{{{#white 세대}}}]]'''[br]'''{{{#white 9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025_f00_s0.png|width=50]][br][[피카츄]] || [[파일:icon0026_f00_s0.png|width=50]][br][[라이츄]] || [[파일:icon0081_f00_s0.png|width=50]][br][[코일(포켓몬스터)|코일]] || [[파일:icon0082_f00_s0.png|width=50]][br][[레어코일]] || || [[파일:icon0100_f00_s0.png|width=50]][br][[찌리리공]] || [[파일:icon0101_f00_s0.png|width=50]][br][[붐볼]] || [[파일:icon0125_f00_s0.png|width=50]][br][[에레브(포켓몬스터)|에레브]] || [[파일:icon0135_f00_s0.png|width=50]][br][[쥬피썬더]] || || [[파일:icon0145_f00_s0.png|width=50]][br][[썬더(포켓몬스터)|썬더]] || || || ||}}}}}}}}} ||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2세대|{{{#e8ca27,#d7b917 {{{+1 2}}}}}}{{{#white 세대}}}]]'''[br]'''{{{#white 8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170_f00_s0.png|width=50]][br][[초라기]] || [[파일:icon0171_f00_s0.png|width=50]][br][[랜턴(포켓몬스터)|랜턴]] || [[파일:icon0172_f00_s0.png|width=50]][br][[피츄]] || [[파일:icon0179_f00_s0.png|width=50]][br][[메리프]] || || [[파일:icon0180_f00_s0.png|width=50]][br][[보송송]] || [[파일:icon0181_f00_s0.png|width=50]][br][[전룡]] || [[파일:icon0239_f00_s0.png|width=50]][br][[에레키블|에레키드]] || [[파일:icon0243_f00_s0.png|width=50]][br][[라이코]] ||}}}}}}}}} ||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3세대|{{{#e8ca27,#d7b917 {{{+1 3}}}}}}{{{#white 세대}}}]]'''[br]'''{{{#white 4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309_f00_s0.png|width=50]][br][[썬더라이]] || [[파일:icon0310_f00_s0.png|width=50]][br][[썬더볼트(포켓몬스터)|썬더볼트]] || [[파일:icon0311_f00_s0.png|width=50]][br][[플러시(포켓몬스터)|플러시]] || [[파일:icon0312_f00_s0.png|width=50]][br][[마이농(포켓몬스터)|마이농]] ||}}}}}}}}} ||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4세대|{{{#e8ca27,#d7b917 {{{+1 4}}}}}}{{{#white 세대}}}]]'''[br]'''{{{#white 8종}}}'''[* 신규 포켓몬 7종+도구에 따른 타입 변화 1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403_f00_s0.png|width=50]][br][[꼬링크]] || [[파일:icon0404_f00_s0.png|width=50]][br][[럭시오]] || [[파일:icon0405_f00_s0.png|width=50]][br][[렌트라]] || [[파일:icon0417_f00_s0.png|width=50]][br][[파치리스]] || || [[파일:icon0462_f00_s0.png|width=50]][br][[자포코일]] || [[파일:icon0466_f00_s0.png|width=50]][br][[에레키블]] || [[파일:icon0479_f00_s0.png|width=50]][br][[로토무]] || [[파일:icon0493_f12_s0.png|width=50]][br][[아르세우스]] ||}}}}}}}}} ||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e8ca27,#d7b917 {{{+1 5}}}}}}{{{#white 세대}}}]]'''[br]'''{{{#white 11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522_f00_s0.png|width=50]][br][[줄뮤마]] || [[파일:icon0523_f00_s0.png|width=50]][br][[제브라이카]] || [[파일:icon0587_f00_s0.png|width=50]][br][[에몽가]] || [[파일:icon0595_f00_s0.png|width=50]][br][[파쪼옥]] || || [[파일:icon0596_f00_s0.png|width=50]][br][[전툴라]] || [[파일:icon0602_f00_s0.png|width=50]][br][[저리어]] || [[파일:icon0603_f00_s0.png|width=50]][br][[저리릴]] || [[파일:icon0604_f00_s0.png|width=50]][br][[저리더프]] || || [[파일:icon0618_f00_s0.png|width=50]][br][[메더]] || [[파일:icon0642_f00_s0.png|width=50]][br][[볼트로스]] || [[파일:icon0644_f00_s0.png|width=50]][br][[제크로무]] || ||}}}}}}}}} ||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e8ca27,#d7b917 {{{+1 6}}}}}}{{{#white 세대}}}]]'''[br]'''{{{#!html 3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694_f00_s0.png|width=50]][br][[목도리키텔]] || [[파일:icon0695_f00_s0.png|width=50]][br][[일레도리자드]] || [[파일:icon0702_f00_s0.png|width=50]][br][[데덴네]] || ||}}}}}}}}} ||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7세대|{{{#e8ca27,#d7b917 {{{+1 7}}}}}}{{{#white 세대}}}]]'''[br]'''{{{#white 11종}}}'''[* SM 신규 포켓몬 6종+리전 폼 3종+도구에 따른 타입 변화 1종+USUM 신규 포켓몬 1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074_f01_s0.png|width=50]][br][[꼬마돌]][br](알로라 리전 폼) || [[파일:icon0075_f01_s0.png|width=50]][br][[데구리]][br](알로라 리전 폼) || [[파일:icon0076_f01_s0.png|width=50]][br][[딱구리]][br](알로라 리전 폼) || [[파일:icon0737_f00_s0.png|width=50]][br][[전지충이]] || || [[파일:icon0738_f00_s0.png|width=50]][br][[투구뿌논]] || [[파일:icon0741_f01_s0.png|width=50]][br][[춤추새]][br](파칙파칙 스타일) || [[파일:icon0773_f00_s0.png|width=50]][br][[실버디]] || [[파일:icon0777_f00_s0.png|width=50]][br][[토게데마루]] || || [[파일:icon0785_f00_s0.png|width=50]][br][[카푸꼬꼬꼭]] || [[파일:icon0796_f00_s0.png|width=50]][br][[전수목]] || [[파일:icon0807_f00_s0.png|width=50]][br][[제라오라]]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663366 50%, #38B48B 50%)"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e8ca27,#d7b917 {{{+1 8}}}}}}{{{#white 세대}}}]]'''[br]'''{{{#white 9종}}}'''[* 가라르 본토 신규 포켓몬 8종+왕관설원 신규 포켓몬 1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835_f00_s0.png|width=50]][br][[멍파치]] || [[파일:icon0836_f00_s0.png|width=50]][br][[펄스멍]] || [[파일:icon0848_f00_s0.png|width=50]][br][[일레즌]] || [[파일:icon0849_f00_s0.png|width=50]][br][[스트린더]] || || [[파일:icon0871_f00_s0.png|width=50]][br][[찌르성게]] || [[파일:icon0877_f00_s0.png|width=50]][br][[모르페코]] || [[파일:icon0880_f00_s0.png|width=50]][br][[파치래곤]] || [[파일:icon0881_f00_s0.png|width=50]][br][[파치르돈]] || || [[파일:icon0894_f00_s0.png|width=50]][br][[레지에레키]] || || || ||}}}}}}}}} || ||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e8ca27,#d7b917 {{{+1 9}}}}}}{{{#white 세대}}}]]'''[br]'''{{{#!html 12종}}}'''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icon0921_f00_s0.png|width=50]][br][[빠모]] || [[파일:icon0922_f00_s0.png|width=50]][br][[빠모트]] || [[파일:icon0923_f00_s0.png|width=50]][br][[빠르모트]] || [[파일:icon0938_f00_s0.png|width=50]][br][[빈나두]] || || [[파일:icon0939_f00_s0.png|width=50]][br][[찌리배리]] || [[파일:icon0940_f00_s0.png|width=50]][br][[찌리비]] || [[파일:icon0941_f00_s0.png|width=50]][br][[찌리비크]] || [[파일:icon0989_f00_s0.png|width=50]][br][[모래털가죽]] || || [[파일:icon0992_f00_s0.png|width=50]][br][[무쇠손]] || [[파일:icon0995_f00_s0.png|width=50]][br][[무쇠가시]] || [[파일:icon1008_f00_s0.png|width=50]][br][[미라이돈]] || [[파일:icon1021_f00_s0.png|width=50]][br][[날뛰는우레]] ||}}}}}}}}} || || '''{{{#white 총합[br]75종}}}''' || == 스토리 공략 == 스토리에서는 렌트라, 에레키블, 제브라이카, 저리더프, 펄스멍[* 이쪽은 종족값 자체는 쌍두형이나 옹골찬턱 특성으로 사실상 물리형 취급이다.] 등의 케이스를 제외하면 일괄적으로 특공이 높은 경우가 많고 땅 외에는 약점이 없어 안정성 높은 특공 딜러로 많이 채용된다. 스피드가 70 미만인 포켓몬도 [[전룡]], [[저리더프]], [[투구뿌논]], [[찌리배리]] 등으로 드물다. 다만, 그 대가로 견제폭이 좁기 때문에 기술과 관련된 기술머신 위치 등을 외워두는 것이 속 편하다. 물론 일레도리자드나 빠르모트처럼 편하게 4견제기를 채워넣을 수 있는 예외적인 케이스도 있다. 스토리에 유용하다고 손꼽히는 포켓몬은 다음과 같다. * 1세대: [[라이츄]], [[쥬피썬더]] * 2세대: [[랜턴(포켓몬스터)|랜턴]], [[전룡]] * 3세대: [[썬더볼트(포켓몬스터)|썬더볼트]] * 4세대: [[렌트라]], [[자포코일]], [[에레키블]] * 5세대: [[제브라이카]], [[전툴라]], [[저리더프]], [[에몽가]] * 6세대: [[일레도리자드]] * 7세대: [[투구뿌논]], [[딱구리]](리전 폼) * 8세대: [[펄스멍]], [[스트린더]], [[찌르성게]], [[모르페코]], [[파치래곤]], [[파치르돈]] * 9세대: [[빠르모트]], [[찌리배리]], [[찌리비크]] 방어적인 상성에서도 편의성이 좋듯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편의성이 상당히 좋다. 특수기 10만볼트는 자속기가 되었든, 특수몬들의 견제기로서 항상 사랑받았고, 4세대까지는 전기 물리기가 변변찮았으나 5세대에서 와일드볼트가 생기면서 물리/특수형 모두 기술 측면에 있어서는 딱히 치우치다 싶은 상황은 아닌 편이다. == 네임드 트레이너 == [include(틀:포켓몬스터/전기 타입 네임드 트레이너)] 전기가 기계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착안해 네임드 트레이너들은 기술자나 과학자 캐릭터들이 많다. 두 여성 트레이너는 예외기는 하지만 [[카밀레]]는 빛을 내는 모델, [[모야모]]는 인터넷 스트리머이자 방송인이라는 컨셉으로 전기와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다. 7세대에서 [[마마네]]가 등장하며 당시까지의 모든 포켓몬 리그 시스템에 개근했고, 포켓몬 고에서는 풀 타입을 대신해 진영 리더로 등장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천왕(포켓몬스터)|사천왕]]도 [[챔피언(포켓몬스터)|챔피언]]도 배출하지 못한 타입. 그래도 [[전진(포켓몬스터)|전진]]의 경우 사천왕 제의까지 받았지만 사천왕이 되면 취미인 체육관 개조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체육관처럼 리그 시설도 개인적인 개조가 불가능하고 특히 목호가 격렬히 반대해서 그렇다고.] 관장에 머무르고 있다는 설정이 있다. 전기 타입 역시 방어 상성이 좋은 편이라 제대로 대비가 되지 않았다면 어려운 체육관 관장들이 몇 있다.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가 그 [[카밀레(포켓몬스터)|카밀레]].''' == 상징 ==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o21x9g6e9P1u5s2mlo4_400.png]] [[하나리그]] 전당등록 배경은 '''[[번개(포켓몬스터)|번개]]'''. ||<#FFF> [[파일:전기 타입.png]] || || [[레츠고 시리즈]], [[소드실드]]에서의 아이콘 || == 기타 ==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인공 포켓몬이 [[피카츄(한지우)|피카츄]]인데다 DP 이후로는 주인공 일행 중에서 꼭 세대별 전기쥐 포켓몬이 나오는지라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로켓단 삼인방]]이 포획물이나 로봇에 전기 방지 대책을 세워두는 것도 단골 패턴. 전기 포켓몬끼리 전기를 이용하여 대화를 나누거나 전기를 나눠줘서 체력을 회복시키는 등, 전기를 단순한 공격 수단이 아닌, 꽤나 다양한 활용성을 보여주는 능력으로 묘사했다. 전기 타입 포켓몬들에게 몸 속의 전기 양은 중요하며, 일정 수치를 넘어가면 자신을 통제할 수 없어서 난폭해지거나, 심하면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반대로 모자라면 체력이 떨어진다. 전기 타입 포켓몬은 스피드 종족치가 95를 넘는 빠른 포켓몬이 대부분이다. 예외로 느린 전기 포켓몬은 [[저리더프]], [[투구뿌논]], [[자포코일]], [[찌르성게]], [[전룡]], [[파치르돈]] 정도가 있다. [[붐볼]]은 스피드 종족치가 150으로 총 종족치 490의 1/3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굉장히 빠른 편이며, 에레키블은 덩치가 있어서 스피드가 느릴 것 같아 보이지만 의외로 스피드가 95로 100에 가까운 수치이다. [[전룡]]과 [[스트린더]]는 날렵한 외향이지만 각각 45, 75로 느린 편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켓몬스터/타입/종류, version=2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