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장착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종족 장착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마법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LegendarySword-DM2-JP-VG.png|width=100%]] || [[파일:LegendarySword-DM4-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 ||<#A0F818> {{{#000 한글판 명칭}}} ||'''전설의 검''' (비공식 번역명)|| ||<#A0F818> {{{#000 일어판 명칭}}} ||'''[ruby(伝説, ruby=でんせつ)]の[ruby(剣, ruby=けん)]'''|| ||<#A0F818> {{{#000 영어판 명칭}}} ||'''Legendary Sword'''|| ||<-2><#A0F818> {{{#000 마법}}} || ||<-2>전사가 가진 숨겨진 힘을 이끌어내는 검. 어둠의 존재는 쓸 수 없다.|| DM1에서부터 등장. 전사족 이외의 다수의 어둠 속성 몬스터가 장착할 수 있는 [[속성 장착 마법#어둠의 파신검|어둠의 파신검]]에 대항해 이쪽에는 전사족 중심으로 대응되지만, 어째선지 [[바비론]]이나 [[해피 러버#텐더니스|텐더니스]]같은 몬스터도 대응했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봉인된 기억]]에서는 무려 [[화염의 검사]]와 [[바다(유희왕)|바다]]를 융합시키면 이 카드를 생성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 카드와 [[만화경 -화려한 분신-]]을 융합시키면 [[가르마 스워드|가르마 스워드의 맹세]]가 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伝説の剣.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전설의 검, 일어판명칭=伝説(でんせつ)(けん), 영어판명칭=Legendary Sword, 효과1=전사족만 장착 가능. 장착 몬스터 1장의 공격력과 수비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전사족]] 전용 [[종족 장착 마법]]. 등장 당시에는 [[암흑 기사 가이아]]에 이 카드를 장착시켜 [[블랙 매지션]]을 쓰러뜨리는 것도 대단한 것으로 취급되었다고 한다. 강력한 장착 마법이 다수 등장하면서 훨씬 유용한 전사족 전용 장착 마법이 등장한 현재 시점에서는 완전히 역부족. 당연하게도 다른 [[종족 장착 마법]]들과 마찬가지로 강화 수치가 더 높고 범용성도 있는 장착 마법이 늘어남에 따라 저절로 덱에서 자취를 감췄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가 사용. 도미노 듀얼 대회 준결승전에서 [[카르보나라 전사#마그넷 1호|마그넷 1호]]에게 장착해 공격력을 강화하여 대전 상대의 [[캐츠 페어리]]를 격파했다.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준결승전에서 패한 [[카이바 세토]]과의 듀얼에서는 발동 후 [[리틀 윈가드]]에 장착하려 했으나, 카이바가 발동한 [[마법 흡수]]의 효과로 인해 [[블레이드 나이트(유희왕)|블레이드 나이트]]에게 대상을 빼앗겼다. 초창기 장착 마법인 덕분인지 [[명공 호철]], [[전설의 길포드]] 등의 일러스트에서 그려지는 경우가 많으며, 덕분에 비슷한 조건을 가진 다른 장착 마법들에 비하면 인지도는 높다. 이탈리아어판 카드명 표기는 'Spada Leggendaria'인데, 이후 [[코나미|같은 회사]]가 만든 [[beatmania IIDX 21 SPADA|아케이드 게임]]의 [[Spada†leggendaria|이벤트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5>수록 시리즈 || ||<(> 1999-02-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볼륨(유희왕)|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1999-03-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부스터(유희왕)|Booster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0-05-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B-39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青眼の白龍伝説 - Legend of BlueEyesWhiteDrago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8-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2-021 | DUELIST LEGACY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3-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OB-040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1-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S02-ENB13 | SPEED DUEL STARTER DECK: DUELISTS OF TOMORROW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3-12-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OB-K040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유희왕 러시 듀얼]] === [[파일:伝説の剣(B23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전설의 검 (미발매), 일어판명칭=伝説(でんせつ)(けん), 영어판명칭=Legendary Sword (미발매), 조건=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전사족)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올린다.)] 능력치 상승 수치는 나름대로 쓸만한 편인데다 수비력도 올려주니 수비벽 몬스터에게도 써먹을 수 있다. [[전설의 길포드(유희왕 러시 듀얼)|전설의 길포드]]의 효과로 문제없이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해당 카드를 투입한다면 같이 채용해볼 수 있다. OCG와 마찬가지로 상대 몬스터에게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와일드 키친]] 덱에서 [[칠륜의 사무라이 하라미 쿠시로우]]의 전체 제거 효과를 써먹는 등의 변칙적인 활용도 가능하다. 다만 상대 종족에 의존하므로 실전으로 고려할 수준은 아니다. ||<-5>수록 시리즈 || ||<(> 2023-04-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05-JP010 | '''[[배틀 팩|バトルパック2023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타 === [[게임큐브]]로 발매된 폴스바운드 킹덤에서는 '매직 스워드'라는 명칭으로 등장. 마찬가지로 전사족만 장착 가능하며, 공격력을 500 포인트 올리는 '실버 애로우'의 하위 호환이지만 가격은 더 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종족 장착 마법, version=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