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푸른 눈, top2=백석(유희왕))] [목차] == 설명 == [[파일:伝説の白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전설의 백석, 일어판명칭=伝説の白石(ホワイト・オブ・レジェンド), 영어판명칭=The White Stone of Legend, 속성=빛,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50, 종족=드래곤족, 튜너=,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푸른 눈의 백룡" 1장을 패에 넣는다.)] 6기 부스터 [[혼돈의 교차]]에서 새로 추가된 백룡의 서포트 카드이자 최초의 드래곤족 튜너 카드. '전설의 백석'이라 쓰고 '화이트 오브 레전드'라고 읽으며 전설의 하얀색 돌, 전설의 흰돌이라고도 불린다. 공격력 / 수비력이 푸른 눈의 백룡의 '''1/10'''로 책정되어 있다. 이후에 등장한 [[태고의 백석]]은 이 백석의 배로 책정되어 있다. 드래곤족인것도 있고 생긴 걸 보면 아무리봐도 푸른 눈의 백룡의 [[알]]인듯. 白石이라는 이름과 땅에 묻힌걸 파낸것으로 보이는 일러스트를 보면 [[화석]]화된 백룡의 알이 아닌가 싶다. 미국에서 발매된 [[듀얼리스트 팩]] 카이바 편의 스트래티지 가이드에 의하면 푸른 눈의 백룡의 알이라고 한다. 이 카드를 처음 보는 사람들은 효과만 읽고 넘겼다가 石(Stone)이 드래곤족이라는데에 놀라고 튜너라는데에 또 놀라는 경우가 가끔 있다. 거기다 어떻게든 묘지에 가기만 하면 푸른 눈의 백룡을 패에 넣을 수 있는 우수한 서치 능력도 갖고 있다. 필드에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이나 [[용마인 킹드라군]]을 소환한 다음 저 둘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거나 [[아백룡]]의 소환 용으로도 쓸 수 있다. 이 카드의 제일 큰 장점은 유발 효과인 '''경우'''라는 것과 이 카드가 '''어디에서 묘지로 가든 상관이 없고, 1턴에 1번 제약 없이''' 가져온다는 것이다. [[카드 파괴]]같은 효과 뿐만 아니라, [[썬더 브레이크(유희왕)|썬더 브레이크]], [[라이트닝 보텍스]]등의 코스트로 버려도 타이밍을 놓칠 것 없이 에누리없이 서치한다. 에라타 되기 전의 [[검은 숲의 마녀]] 수준이다. 심지어는 [[바이러스 메일]]이나 [[싱크로 소환]], [[금화고양이]], 릴리스로 필드에서 묘지로 가도, [[어리석은 매장]], [[카드 트루퍼]]로 덱에서 묘지에 가도, [[엑시즈 소환|엑시즈 소재]]로 써서 제거해도 푸른 눈의 백룡이 서치되는 황당한 광경마저 보여준다. 드래곤족이라서 [[초재생능력(유희왕)|초재생능력]]을 썼다면 또 패가 늘어난다. 또한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라 [[데브리 드래곤]]이나 [[정크 싱크론]]으로 소생해도 효과가 무효화 될 일이 없다. 서로 튜너라서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더블 튜닝]]이라도 하지 않는한 처리가 좀 곤란하지만. [[용의 영묘]]로 푸른 눈의 백룡을 묘지로, 추가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 푸른 눈의 백룡을 1장 가져오면 [[툰 목차|한번에 덱을 3장이나 압축시키는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또한 [[드래곤 자각의 선율]]로 이 카드를 버리고 푸른 눈의 백룡을 포함한 카드를 3장 집어오거나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F·G·D]]를 지정해서 이걸 3장 포함해 드래곤족 5장을 묘지로 보내서 푸른 눈의 백룡을 3장 집어오면 2장의 핸드 어드밴티지가 된다. 다만 이 쪽은 퓨처 퓨전이 에리타가 되어 상대 턴에 묘지로 보내야 되게 되어서 미묘해졌다. 그 뿐만 아니라 [[조화의 패]]의 코스트로 쓰면 덱에서 2장 드로우하면서 푸른 눈의 백룡도 패에 넣을 수 있다. 사실 [[조화의 패]]는 카드 일러스트부터가 대놓고 이 카드를 위해 나온 카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천사의 자비]]가 현역이였다면 [[충공깽]]인 상황을 연출할 수도 있었겠지만 천사의 자비는 이 카드가 나오기도 한참전에 금지먹었는데다가 돌아올 가능성이 전혀 없는 고로... 패의 푸른 눈의 백룡을 [[트레이드 인]], [[범인의 자비]]로 묘지로 보내 드로우 할지, 패의 [[고대의 룰]]이나, [[융합 소환]]할지는 플레이어 마음대로. 즉 푸른 눈의 백룡의 서치 난이도가 엄청나게 쉬워졌다. 실제로 푸른 눈의 백룡 플레이어들은 위에 예시로 나온 콤보를 사용해서, 푸른 눈의 백룡을 3장 서치. [[고대의 룰]](또는 카이바맨)로 특수 소환 → 멸망의 폭렬질풍탄 → [[융합(마법카드)|융합]]([[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용의 거울]]([[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 용의 거울([[F·G·D]])라는 정신을 [[안드로메다]]로 출장보내는 콤보를 쓰기도 한다. 꽤 오랫동안 미래융합이 [[유희왕/OCG 금지제한|영 좋지 않은 곳]]으로 가버리는 바람에 카드 1장으로 푸른 눈의 백룡 3장을 손에 추가하는 콤보는 사용 불가능했으나 금지가 풀린 현재는 실용성은 차치하고서라도 진짜로 써 볼 수 있긴 하다. 그러나 이 카드에게는 큰 약점이 있다. '''이 카드보다 푸른 눈의 백룡이 패에 먼저 잡힐 경우 쓸 데가 없어진다'''는 것. 그 뿐 아니라 이 카드 자체가 명백히 한계가 있는 것이 필드에 꺼내기에는 아무런 공격력 / 수비력도 없는, 단순히 소환하지도 못할 푸른 눈의 백룡을 서치 해올 수 있는 일반 튜너 몬스터에 불구하다. 물론 [[용의 거울]]이나 [[F·G·D]]의 소환에 사용할 수는 있으나, [[미래융합-퓨처 퓨전]]이 금지당한 현 환경에서 푸른 눈의 백룡을 안정적으로 묘지로 보낼 수단이 상당히 미흡하다...만 용의 계곡, 용의 영묘, 파란 눈의 위광 등 현재는 푸른 눈의 백룡을 묘지로 보낼 수단은 넘치고 넘치니 저 말은 이미 옛말. 거기에 트레이드 인과 푸른 눈의 백룡을 덱의 엔진으로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애매한 것이, 푸른 눈의 백룡 + 이 카드 + 트레이드 인을 모두 넣어야 하는데, 패 코스트가 활발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드로우가 썩 안정적으로 되는 것도 아니다. 특정 콤보, 그것도 겨우 1가지로 밖에 못 써먹을 콤보를 위해서 덱에 7~9장을 투입하느니 차라리 다른 카드를 투입하는 것이 유용하다. 반대로 [[엑조디아]] 등 드로우가 빨라야 하는 비전투 덱에서는 이 카드, 푸른 눈의 백룡, 조화의 패, 트레이드 인을 왁왁 욱여넣어 패를 미친듯이 뽑아낸다. 튜너로 활용하기엔, 더 효과가 좋은 레벨 1 튜너가 많지만, 튜너다 보니, [[하늘빛 눈의 은룡]]과 [[푸른 눈의 정령룡]]의 등장으로 푸른 눈의 백룡과 같이 싱크로 소재로 이용하는 쓰임새도 생겼다. 거기에다가 [[파란 눈(유희왕)|파란 눈]]이 나오면서 파란 눈의 효과로 전설의 백석을 집어올 수 있게 되었다. 어찌보면 이 카드가 튜너로 나온게 [[푸른 눈]] 카드군에게 싱크로 지원을 받게 된 축복일지도 모르겠다. [[용의 계곡]]과의 조합도 괜찮은데 패 / 덱에서 전설의 백석을 묘지로 보낼 가능성을 높여주고 드래그니티 튜너를 넣어놓고 전설의 백석이 손에 안들어온다면 대신 그 튜너를 덱에서 패로 불러와 조화의 패 코스트로 써도 된다. '''조화의 패와 이 카드 둘 다 덱에 넣었다고 해서 꼭 둘만 콤보로 쓰라는 법은 없다.''' 물론 조화의 패 + 이 카드가 이득이긴 하지만 원래 조화의 패와 트레이드 인은 패를 교환하고 덱을 압축하여 원하는 카드를 빨리 손에 넣도록 가속화하는 용도다. 강제 효과이기 때문에 주의할 점은, 효과가 발동했을 때 푸른 눈의 백룡을 가져올 수 없는 상황임을 증명할 수 없다면 그것을 증명해야한다. 즉, 패의 푸른 눈의 백룡을 보여주든, 덱을 보여주든 이미 듀얼에 푸른 눈의 백룡 3장이 보이지 않는데 (묘지, 필드, 제외 존 포함) 덱에서 푸른 눈의 백룡을 가져오지 않는다면 푸른 눈의 백룡을 가져올 수 없음을 증명하기 위해 상대에게 덱을 보여줘야 할 수도 있다. 공개적으로 서치한 적이 없는데 드로우 등으로 패에 있다면 패의 것을 공개해야한다. 하지만 [[천성의 복종]]의 재정으로 인해 플레이어의 공개의 의무가 없어졌기 때문에, 의심되면 이제 저지를 불러야 하고 저지의 재량에 맡겨야 한다. 나중에 [[붉은 눈의 흑룡]]버전인 [[전설의 흑석]]이 나왔지만, 이 쪽은 튜너가 아니고 효과도 이 카드와는 많이 거리가 있다. == 관련 카드 == === [[푸른 눈의 백룡]] === === [[태고의 백석]]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튜너]][[분류:푸른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