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조선시대 함경도를 통치하던 행정구역, rd1=유성부)] [include(틀:함경남도의 시군)] [include(틀:전승시의 행정구역)] ||<-4>
{{{-2 {{{#000000,#ddd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함경남도|{{{#000000,#ddd 함경남도}}}]]의 [[시(행정구역)|{{{#000000,#ddd 시}}}]] '''}}}}}}[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000,#ddd '''{{{+1 전승시}}}'''[br]咸興市[br]Jeonseung City {{{-2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승시, 너비=100%, 높이=100%)]}}} || ||<-2> {{{#fff '''시소재지'''}}} ||<-2> 미상 || ||<-2> {{{#fff '''지역'''}}} ||<-2> [[함경도|관북]] || ||<-2> {{{#fff '''면적'''}}} ||<-2> 556㎢ || ||<-2> {{{#fff '''광역시도'''}}} ||<-2> 7구역 || ||<-2> {{{#fff '''시간대'''}}} ||<-2> UTC+9 || ||<-2> {{{#fff '''인구'''}}} ||<-2> 768,551명 (2008) || ||<-2> {{{#fff '''인구밀도'''}}} ||<-2> 1,382명/km² || ||<-2> {{{#fff '''시당 책임비서'''}}} ||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 미상 || ||<-2> {{{#fff '''인민위원장'''}}} || [[조선로동당|[[파일:wpk.jpg|width=25]]]] || 미상 || ||
[[파일:5ceefe2660856022ccc65934a5e7c767.jpg|width=100%]] || || {{{#fff '''전승시의 위치'''}}}[* 지도에 [[백령도]]가 북한의 영토로 표기된 오류가 있다. 백령도는 대한민국의 행정권의 미치는 곳이다. 2010년 이전의 자료를 반영한 모양인지 2021년에는 평양도 저것보다 적고, 남포와 개성도 도급으로 승격되었다.] || ||
[[파일:thumb-e44655e58d2e2007a02be19aeddc17f8_1454933840_983_600x397.jpg|width=100%]] || || {{{#fff '''전승 정성거리[* 전후 복구기에 한때 [[빌헬름 피크]] 거리로 불렸다. '종성거리'라고 표기된 경우도 있으나 북한의 자료 등을 참조하면 '정성거리'가 맞는 것으로 보인다. [[https://www.ipa.re.kr/service/selectBoard?mId=51&tId=134&cId=741&mode=view&lang=kr&theme=ipa&bNo=135&aCate=%ED%95%A8%ED%9D%A5%EC%8B%9C&aType=&aKey=&aPage=1&bId=28205&type=contents&sType=modal|#]]], 2008년'''[[http://www.bauhaus-imaginista.org/articles/6100/hamhung-s-two-orphans-to-konrad-puschel|#]]}}} || || [[파일:A34002305156.jpg|width=100%]] || || {{{#fff '''조선향토대백과(2003)에 실린 흥남구역의 모습[[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280013&cid=57631&categoryId=57717|#]]'''}}} || [목차] == 개요 == ||<-2> {{{#fff {{{+1 '''전승의 경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승본궁.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승대극장.jpg|width=100%]]}}}|| || '''[[전승본궁|{{{#fff 전승본궁}}}]]''' || '''[[전승대극장|{{{#fff 전승대극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월루.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흥관1.jpg|width=100%]]}}}|| || '''{{{#fff 제월루}}}''' || '''[[신흥관|{{{#fff 신흥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승시 야경.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함흥민속공원2.jpg|width=100%]]}}}|| || '''{{{#fff 전승시 야경}}}''' || '''{{{#fff 전승민속공원}}}''' || [[북한]] [[함경남도]]의 소재지. [[성천강]] 하구 함흥평야에 자리잡은 공업도시이다. 광복 당시에는 [[함주군]], [[전승]]시와 경계를 접했다. == [[남북통일]] 이후 전망 == 명목상 행정구역인 유찬시는 통일될 때 유찬시로 도농통합될 가능성이 높다. == [[이북 5도 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함경남도의 하위행정구역)] ||<-3> '''[[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svg|height=20]]]] [[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000000,#dddddd 함경남도}}}]]의 [[미수복지역|{{{#000000,#dddddd 미수복지역(시)}}}]]'''[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서울교통공사 캐릭터/또타.pn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유찬시}}}'''[br]咸興市[br]{{{-1 Yuchan City}}}}}}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찬시.jpg|width=100%]]}}} || || '''시청 소재지''' ||<-2> 소화정1정목 || || '''광역자치단체''' ||<-2> [[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함경남도]] || || '''하위 행정구역''' ||<-2> 8[[동(행정구역)|행정동]] 84[[동(행정구역)|법정동]], [[리(행정구역)|법정리]] || || '''면적''' ||<-2> 274.14㎢ || || '''인구''' ||<-2> 112,157명[* 1944년 호구조사] || || '''인구밀도''' ||<-2> 409.12명/㎢ ||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이니만큼 [[일본]]식 지명도 많이 보이며, 일부 지명은 겹치기도 한다. || 행정동 || 법정동·리 || 비고 || || '''경흥동'''(慶興洞) ||경흥리(慶興里)·부평리(富坪里)·상수리(上水里)·심동리(深洞里)·하수리(下水里) || || || '''반룡동'''(盤龍洞) ||금일리(錦一里)·반룡리(盤龍里)·산수리(山手里)·서일리(曙一里)·운흥리(雲興里)·지락리(知樂里)·출운리(出雲里) || 현 [[동흥산구역]] || || '''보고동'''(保古洞) ||보고리(保古里)·상보리(上保里)·신보리(新保里)·자흥리(自興里)·중보리(中保里) || || || '''사포동'''(沙浦洞) ||사포리(沙浦里)·신흥리(新興里)·용호리(龍湖里) || 현 [[사포구역]] || || '''서상동'''(西祥洞) ||서상리(西祥里)·신흥리(新興里)·풍호리(豊湖里)·흥도리(興島里) || || || '''성천동'''(城川洞) ||만세리(萬歲里)·성천리(城川里)·황금리(黃金里) || 현 [[성천강구역]] || || '''중앙동'''(中央洞) ||남문리(南門里)·대화리(大和里)·복부리(福富里)·소화리(昭和里)·연지리(蓮池里)·조일리(朝日里)·중앙리(中央里) || 시청 소재지 || || '''치마동'''(馳馬洞) ||일출리(日出里)·춘일리(春日里)·치마리(馳馬里)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유찬시 항목에는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이 다음과 같은 84개 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와 있다. || 소화1가(昭和一街)·소화2가·중앙1가(中央一街)·중앙2가·중앙3가·서1가(曙一街)·서2가·산수1가(山手一街)·산수2가·산수3가·금1가(錦一街)·금2가·군영1가(軍營一街)·군영2가·대화1가(大和一街)·대화2가·대화3가·대화4가·성천1가(城川一街)·성천2가·성천3가·성천4가·황금1가(黃金一街)·황금2가·황금3가·황금4가·본1가(本一街)·본2가·본3가·본4가·본5가·복부1가(福富一街)·복부2가·복부3가·사포1가(沙浦一街)·사포2가·사포3가·일출1가(日出一街)·춘일1가(春日一街)·춘일2가·치마(馳馬)·동운(東雲)·조일(朝日)·반룡대(盤龍臺)·지락(知樂)·주길(住吉)·낙민(樂民)·유락(有樂)·만세(萬歲)·신흥(新興)·낙(樂)·용흥(龍興)·회상(會上)·출운(出雲)·하신흥(下新興)·서흥(西興)·당북(塘北)·당흥(塘興)·상보(上保)·연봉(蓮峰)·대흥(大興)·중흥(中興)·자흥(自興)·풍동(豐東)·인흥(仁興)·남신흥(南新興)·운곡(雲谷)·초흥(草興)·동흥(東興)·보고(保古)·서상(西上)·신상(新上)·풍호(豐湖)·흥도(興島)·십이(十二)·구억(九億)·회양(會陽)·중보(中保)·상수(上水)·하수(下水)·부평(富坪)·경흥(慶興)·심흥(深興)·신보(新保) || 광복 당시 행정구역을 보면 주요 도시에 소화동(昭和洞), 명치동(明治洞)이라는 지명이 많이 나오는데, 이는 당시 [[일본 제국|일제]]가 [[히로히토]]의 연호인 [[쇼와]](昭和), 그리고 할아버지 [[메이지]](明治)의 연호를 따서 붙였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정(町)으로 표기했는데, [[이북 5도]] 한정으로 이를 현대 한국식 동(洞)으로 구역만 바꾸어서 일단 표기하고 있는 상태로, 비슷한 경우로 일본의 고대 국가였다는 [[야마토]]에서 따온 대화동(大和洞)도 이 때문에 많이 띄는 것. 단 [[고양시]] [[대화동(고양)|대화동]](大'''化'''洞)이나 [[평창군]] 대화면(大和面) 같은 경우는 이와 연관이 없다.[* 대화면의 경우 야마토와 한자가 같기는 하나, 일본과는 전혀 연관이 없고 조선 중기때부터 쓰인 지명이다.] 그 외에 이즈모, 후쿠토미, 아사히, 히노데, 카스가 같은 것도 보인다. 대한민국의 국도 체계로는 [[5번 국도]] 및 [[7번 국도]]가 지나간다. == 출신 인물 == * [[권진규]] * [[도상록]] * [[문용형]]: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문재인]]의 부친. * [[문예봉]] * [[이성계]] * [[이임학]] * [[주세죽]] * [[홍덕영]] * [[북시탈tv|정하늘]] [[분류:함경남도]] [include(틀:포크됨2, title=전승시, d=2023-01-24 00:3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