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轉]][[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역)] == 동명의 러시아 영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역(러시아 영화))] == [[戰]][[役]] == [[전쟁]]([[戰]][[爭]])의 다른 표현. 영어로는 [[캠페인|campaign]]. 사실 전투보다는 크고 전쟁보다는 작은 단위로서, 두 국가가 일반적으로 [[전투]]라고 부르는 수준의 지역인 [[시군구]]보다 더 넓은 지역, 즉 [[도(행정구역)]] 혹은 그 이상, 심하게는 [[전국|한 나라 전체]]를 두고 두 나라간의 점령지 쟁탈전이 벌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태평양 전쟁]]의 [[과달카날 전역]]이나 1945년 7~8월간 벌어진 [[소일전쟁]] 간의 핵심이었던 [[만주 전략 공세 작전]] 등이 대표적인 예다. 참고로 이 전역이란 표현이 [[일본식 한자어]]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으나, [[중국]]에서도 전역(战役)이란 표현을 사용한다. [[국공내전]] 문서를 보면 삼대전역(三大战役)이란 단어도 있다. 또한 [[문화어]]에서도 ' 큰 전투를 중심으로 해서 갈라지는 하나의 작전적 단계'라고 정의하고 있다. [[삼국지 10]]에선 한 지방 전체를 두고 벌이는 대규모 전쟁을 일컬어 전역선포라고 한다. == [[戰]][[域]] == '전쟁이 벌어지는 지리상의 구역'을 줄여 이르는 말. 영어로는 Region, Theater (영국식: Theatre)[* 전구(戰區)라는 전역보다 한 단계 더 넓은 범위의 명칭으로써 사용된다.]를 사용한다. == [[全]][[域]] == 어느 지역의 전체이자 전 지역의 함축된 단어이며, 자세한 내용은 하단 예시를 참고하면 된다. 예시1: ○○ [[특별시]]/○○ [[광역시]]/○○ [[도(행정구역)|도]]/○○ [[특별자치도]]/○○ [[특별자치시]]의 전역 예시2: ○○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구(행정구역)/대한민국|구]]의 전역 예시3: ○○ [[도(행정구역)|읍]]/○○ [[면(행정구역)|면]]/○○ [[동(행정구역)|동]] == [[前]][[驛]] == [[철도역]]에서 당역([[當]][[驛]])에 도착하기 이전을 표기하는 단어로 [[역명판]]에서도 전 역과 다음 역이 표시된다. [[도시철도]][[역]] [[승강장]]의 전광판에서 전역 접근의 경우 바로 이전 역에 곧 도착한다는 의미이다. 전역 도착의 경우 바로 이전 역에 도착해 정차한 상태, 전역 출발로 표출되면 바로 이전 역을 출발했으니 곧 도착한다는 의미이다. 발음시 저녁이라고 안하고 "전 역"이라고 전 자에 [[강세]]를 붙혀서 발음하니 혼동하는 일은 없다. == [[全]][[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역(삼국지))]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의 인물. == [[傳]][[譯]] == [[번역]] 또는 [[통역]] 문서 참조. == [[全]][[譯]] == 원문 전체를 번역하는 것. == [[戰]][[疫]] == 악성 [[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말한다. 전쟁터에서 터지는 전염병은 [[아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는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