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SG 랜더스/간략(내야수))] ||
'''{{{#ffffff 전의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2년 한국시리즈|{{{#ffffff 2022}}}]]''' || ---- ||<-5>
'''{{{#fff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96번}}}''' || || [[박광명]][br](2019) || {{{+1 →}}} || '''전의산[br](2020~2021)''' || {{{+1 →}}} || [[김주한]][br](2022)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56번}}}''' || || [[김경호(야구선수)|김경호]][br](2021) || {{{+1 →}}} || '''전의산[br](2022~)'''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의산 2023 프로필.png|width=100%]]}}} || ||<-2> '''SSG 랜더스 No.56''' || ||<-2> '''{{{+2 전의산}}}[br]全儀山[* 특이한 이름인데 '거동 의'자에 '뫼 산'자를 쓴다. 전의산의 한자 이름을 알고서 의도한 것인지는 불명확하지만, 2022년 6월 12일 전의산의 데뷔 첫 홈런이 터졌을 때 중계를 하던 [[SPOTV2]]의 [[김민수(아나운서)|김민수]] 캐스터는 '''"산을 훌쩍 넘길 수 있는 파워!"'''라는 홈런콜을 외쳤다. [[김민수(아나운서)|김민수]] 캐스터는 10개 구단 불문 대부분의 드립, 밈, 별명, 일화 등을 거의 모두 꿰뚫고 자주 중계에 써먹기 때문에 이름의 뜻을 알고 했을 확률이 매우 높다.] | Jeon Uisan''' || ||<|2> '''출생''' ||[[2000년]] [[11월 25일]] ([age(2000-11-25)]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수영초등학교(부산)|부산수영초]] - [[부산개성중학교|개성중]]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 || '''신체''' ||188cm, 98kg, [[O형]] || || '''포지션''' ||'''[[1루수]]'''||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s-3.2|2020년 2차 1라운드]] (전체 10번, [[SK 와이번스|SK]]) || || '''소속팀'''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2020~) || || '''연봉''' ||9,000만원 (200%↑, 2023년)|| ||<|2> '''등장곡''' ||The Score - 《Legend》 (2022~2023.5, 2023.9~)||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BIGBANG|빅뱅]] - 《[[붉은 노을]]》 (2023.6~2023.9)}}} || ||<|2> '''응원가''' ||구단 자작곡^^2023ver^^ (2023~)[* 빰~빰빰바밤~ 빰빰바밤~ 랜더스 전!의!산! 시원하게 넘겨버려 홈!런!전!의!산!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구단 자작곡^^2022ver^^ (2022~2023)[* 랜더스의 전의산~ 시원하게 날려라~ 랜더스의 전의산~ 랜더스의 전의산!x2][* [[김재현(1987)|김재현]]이 사용했던 응원가를 이어받았다.][* 응원가 자체는 [[정영석(응원단장)|정영석]] 응원단장인 시절 2021년에 제작되었지만 전의산이 2021년에는 1군에 한 번도 올라오지 못하여 2021년에는 1군 무대에서 이 응원가가 나오는 일은 없었다.] }}}|| || '''소속사''' ||[[http://universeagency.co.kr|[[파일:유니버스 스포츠 매니지먼트 로고.png|width=95&theme=light]][[파일:유니버스 스포츠 매니지먼트 로고 다크.png|width=95&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SSG 랜더스]] 소속 내야수. == [[전의산/선수 경력|선수 경력]] == || '''{{{#ffffff 전의산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통합 선수 경력: [[전의산/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전의산/선수 경력#s-3.1|'''{{{#ffffff 2020년}}}''']] || [[전의산/선수 경력#s-3.2|'''{{{#ffffff 2021년}}}''']] || [[전의산/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전의산/선수 경력#s-3.4|'''{{{#ffffff 2023년}}}''']] || ||<-4> [[전의산/선수 경력#s-2|'''{{{#ffffff 아마추어 시절}}}''']] || }}}}}}}}}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의산 타격자세.gif|width=100%]] }}} || || {{{#ffffff '''왼손을 놓으며 부드러운 스윙을 만들어 내는 전의산의 타격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의산 타격.gif|width=100%]] }}} || || {{{#ffffff '''풀스윙 자세'''}}} || SSG에서 [[고명준]]과 함께 기대하고 있는 거포 유망주. '''힘과 파워 부분에서는 한창 때 박병호와 비빌 정도로 역대급이다.''' 고3 시절부터 많은 홈런, 높은 타율과 OPS, 훌륭한 볼삼비를 갖춘 모습을 보여주며 큰 기대를 모았으나 유리몸으로 부상이 잦고, 2군에서 기대처럼 홈런은 잘치지만 다른 세부 지표가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SSG가 밑에 서술된 사건에 연관되었음에도 방출하지 않고 육성하는 것을 보면 타격에 있어서 잠재력 하나만큼은 확실한 셈.[* 동료들의 행동을 방조했었기에 잘못된 행동이었음은 분명하나 직접적으로 음주운전을 한 [[서상준]]과 무면허 운전을 한 [[최수호(야구선수)|최수호]]에 비해 비난 여론은 적은 편이다.] 2군에서는 3루와 1루를 모두 봤지만 1루로 더 자주 출장하는 것으로 보아 구단에서는 1루수로 육성할 가능성이 높다. 팀 사정상으로도 3루에는 [[최정]]이 건재하지만, 1루는 [[박정권]]과 [[제이미 로맥]]의 은퇴 및 [[최승준]]의 방출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전문 1루수 자원이 부족하다. 백업으로 [[최항(야구선수)|최항]]이나 [[오태곤]], [[최주환]]이 가끔 들어가는 정도. 2022 시즌에도 [[케빈 크론]]이 극심한 부진 끝에 퇴출되며 많은 기회를 받기 시작했다. 1루 자리에 인력난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전의산이 과연 구세주가 될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의산 9호.gif|width=100%]] }}} || || {{{#ffffff '''비거리 141미터로 22시즌 국내선수 홈런 중 비거리 1위를 기록한 초대형홈런'''[* 2022년 8월 14일 두산전 ]}}} || 힘 하나는 진퉁으로, 역대급 파워히터 유망주로 평가받고 있다. 2022년 7월 24일 1군에서 100타수 이상을 소화한 시점 기준으로 3할대의 타율, 높은 장타율과 OPS를 골고루 기록하며 클러치 능력, 컨택과 선구안, 덩치에 비해서는 빠른 발 등 궁극적으로 완성형 슬러거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SPOTV]] [[김민수(아나운서)|김민수]] 캐스터의 말대로 "전설의 유망주"인 셈. 무엇보다 전의산의 가장 큰 장점은 부드러운 스윙에서 나오는 좋은 타구질인데, 전의산의 경기를 처음 본 해설진들마다 신인의 스윙이 아닌것 같다며 아름다운 스윙이라고 칭찬할 정도다. 단점은 컨택과 좌투수 상대 약점. 2022년 8월 이후 분석이 되면서 타율이 쭉쭉 떨어지기 시작했고, 여기에 수비 실책으로 인한 멘탈 이슈까지 겹쳐 장점이었던 선구안까지 무너지는 바람에 후반기에는 완전히 선풍기로 전락했다.[* 참고로 선풍기질만 하다가 방출된 [[케빈 크론]]의 컨택율이 69% 였는데, 전의산은 그보다 더한 67% 대다.] 이는 2023년에도 해결이 되지 않아 여전히 1할대에 머무르며 현재까지는 공갈포 그 자체의 모습이다. 여기에 좌투수 상대의 경우 우투수 상대보다 타율이 1할 가까이 낮을 정도로 약점을 보이고 있으며 차세대 4번타자로 자리잡으려면 반드시 고쳐야할 단점이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SK 와이번스 2군 기합 및 구단 은폐 의혹 사건|음주·무면허 운전 방조]] === 2020년 [[SK 와이번스 2군 기합 및 구단 은폐 의혹 사건]]에 연관되었다. [[서상준]]과 [[최수호(야구선수)|최수호]][* 개명 전 이름은 최재성.]의 음주운전, 무면허 운전을 [[종범|방조했다는 이유]]로 인해 15경기 출장정지를 받게 되었다. == 여담 == * 초등학교 시절 롯데기 야구대회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펠릭스 호세]]에게 타격지도를 받은 적이 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2&no=9908019|#]] * 연고지 팀 [[롯데 자이언츠]]의 1차 지명 후보이기도 하였으나, 팀 동료인 [[최준용(야구선수)|최준용]]이 지명되었다. 청소년 대표팀의 유력한 후보이기도 하였으나, 초등학교 5학년 시절 유급하면서 또래보다 1살이 많아 아쉽게 대표팀에서 낙마하였다. 유급해서 나이가 동기들보다 나이가 1살 더 많지만 동기인 2001년 생들과 친구로 지내는 듯하다. * [[유리몸]] 기질이 있다. 매년 부상을 당하고 있다. 실제로 드래프트 이후 입단식 인터뷰에서 부모님이 아프지 말고 운동했으면 좋겠다는 멘트를 남긴 바가 있다. * [[드래곤볼]]의 캐릭터인 [[마인부우]]와 닮았다. 1군 데뷔 이후 새롭게 생긴 별명도 이에 빗대어 마인부우와 전의산의 이름을 합쳐 '''부우산'''이다. [[https://m.dcinside.com/board/skwyverns_new1/979225|#]] 마침 전의산의 고향도 [[부산광역시]]라 더 적절하다. * [[일본프로야구|NPB]]의 최고의 홈런타자로 불리는 [[무라카미 무네타카]]와도 비슷한 외모로 주목받고 있는데 이 둘은 심지어 2000년생 동갑내기 좌타 거포에 고교 시절 포수였으나 프로지명 이후 내야수로 전향했고, 소속팀의 정규시즌 우승과 포스트시즌 시리즈 통합 우승을 경험했다는 공통점까지 있어 한국의 무라카미로 불리고 있다. * 눈물 사건 이후 '''즙산''' 이라는 새로운 별명이 생겼다. 그리고 한국시리즈 대비 훈련 영상을 담은 [[https://youtu.be/2vOJLvZWp-I|쓱튜브의 야수조 훈련 쓱케치편]]에서[* 해당영상 6:00부터] [[최지훈]]은 '''독기''', [[박성한]]은 '''광기'''인데 너는 뭐냐며 궁금해하는 [[김강민]]의 질문에 으쓱이들은 '''울기''', '''습기''' 등의 애정섞인 놀림이 가득한 댓글을 달며 눈물에 관한 별명들이 계속해 생겨나고 있다. 그리고 이 3인방은 팀의 2022 시즌 우승을 이끈 신세대 야수조 3인방의 주역으로 활약하며 새로운 시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의 탄생을 알린 2022 시즌으로 남게 됐다. * 팀 동료이자 선배인 [[한유섬]], [[서진용]], [[최민준]]의 [[경남고등학교 야구부]] 후배다. * 팀의 영구결번인 [[박경완]]의 젊은 시절과 굉장히 닮았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skwyverns_new1&no=1116176&exception_mode=recommend&page=1|#]]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82&aid=0000392027|초등학교 시절]]과 고교 시절 자신의 롤모델을 묻는 질문에 [[텍사스 레인저스]]의 [[추신수]]라고 답변을 한 적이 있는데, 2021년 추신수가 SSG 랜더스로 오게 되면서 롤모델과 함께 뛰게 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skwyverns_new1&no=1022842|#]] * KIA 타이거즈 투수 [[최지민]]과 외모가 매우 닮았다. 최지민이 얼굴이 조금 더 슬림한 정도.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SK 와이번스/선수단]] * [[SSG 랜더스/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남고등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SSG 랜더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