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전주시)] [목차] [clearfix] == [[고려시대]] 이전 == 전주 옛 이름으로 알려진 '''온고을'''은 이 지역으로 비정되는 [[마한]] 만로국(萬盧國), 원산성(圓山城)과 [[삼국시대]] 완산군(完山郡), [[남북국시대]] 신라 완산주(完山州)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온'은 일백(一百)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의미 확대가 일어나며 '전부', 또는 '모두'라는 뜻을 갖추게 된다. 원(圓) 역시 온을 음차함이었으며, [[백제]]를 거쳐 [[신라]]에게 넘어간 때도 여전히 완산(完山)이라고 불렸다. 완산이란 지명은 현재 전주시 하위 행정구역인 [[완산구]]와, 옛 전주군에서 시가지를 제외하고 군으로 분리된 [[전라북도]] [[완주군]]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 그러나 온고을이란 말은 현대에 구현해 본 우리말 이름이라는 것이지 삼국시대에도 온고을이라고 불렸을 가능성은 낮다. '온'으로 시작하는 단어였으리라 추측할 순 있다. [[원삼국시대]]에 현 전주시 일대에 마한 만로국(萬盧國), 원산성(圓山城)이 위치해 있었다고 추정된다. [[삼국시대]] 백제 완산군(完山郡)이었고, 두이현(豆伊縣, 현 완주군 이서면 일대), 고산현(高山縣, 현 완주군 고산면 일대), 구지지산현(仇知只山縣, 현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일대)을 거느렸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 [[웅진도독부]]가 지배하다 [[나당전쟁]]으로 신라 땅이 되었고 [[남북국시대]] [[신라]] [[9주 5소경]] 중 완산주(完山州)가 설치되었다. 현 전북도청 소재지 기능은 이미 이때부터 있었던 것이다. 다만 신라가 맨땅에 신도시를 건설해 주요도시로 삼은 게 아니었고 이미 입지가 좋아 사람들이 많이 살고 기반시설이 완비되어 있던 [[고구려]]와 백제 주요 도시를 발전시킨 것이었기 때문에 이미 백제 때부터 현 전북지방내 요충지 겸 대도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757년([[경덕왕]] 16)에 한화정책으로 완(完)을 의역해 완산주를 현재 이름인 '전주(全州)'라고 고쳤다. 거느린 두이현, 구지지산현은 각각 두성현(杜城縣), 금구현(金溝縣)이 된었다. 고산현은 개칭되지 않았다. [[후삼국시대]]인 900년([[효공왕]] 4)에 신라 장수던 [[견훤]]이 [[후백제]]를 세우고 전주를 [[수도(행정구역)|수도]]로 삼아 36년간 후백제 수도였다. 이때 옛 신라 전주 관청이 있던 현재 시내 지역을 벗어나 새로 [[후백제 도성]]을 쌓았는데, 이 전주성은 동고산(승암산, 치명자산)을 왕궁으로 삼아 북서쪽으로 뻗어나간 형상을 하고 있었으며, 그 규모는 현재 오목대 길 건너편으로 해서 [[전주고등학교]] 부근까지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 한옥마을, 풍남문 등이 있는 현재 시내 지역은 [[전주천]]변 습지대였다는 주장도 있다. == [[고려]] == * 936년: 후백제 멸망, 안남도호부 설치 * 940년: 전주로 명칭을 되돌림 * 983년: 전주목 설치 * 1005년: 전주에 절도사를 둠 * 1018년: 안남도호부 재설치 * 1022년: 전주목 설치 * 1182년: 관노비와 군인이 합세해서 폭동을 일으킴 * 1355년: 원나라 사신을 잡아 가둔 죄로 부곡으로 강등 * 1366년: 전주목으로 환원 * 1388년: 전주부성 축성 [[고려]] [[태조(고려)|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멸망시킨 후, 백제 유민들을 경계해 수도였던 전주에 당나라 군사행정제도인 [[도호부]]제를 본따 안남(安南)도호부를 설치했다. 이는 신라 유민들을 경계해 신라 수도였던 [[경주시|경주]] 일대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한 것과 같지만, 이후 안동도호부가 현 안동시내로 이치되며 지금까지 [[경상북도]] [[안동시]]로 이어지는 것과 달리 안남도호부는 여기저기 이치되다가 결국 폐지되며 현재 사라졌다. 마찬가지로 [[여진족]]을 경계해 설치된 안변도호부는 현재까지 [[강원도(북한)|강원도]] [[안변군]]으로 이어진다. [[요나라]]를 경계해 설치된 (영주)안북대도호부는 현 [[평안남도]] [[안주시]]로 이름 일부가 이어진다. [[일리천 전투]] 중에 도시가 완전히 작살났다. 이후 중심도시 자리에서 벗어난 건 아니고 안남도호부도 설치되어 있었지만 1010년 고려에 거란이 침입해서 [[현종(고려)|현종]]이 나주까지 피난할 때 일부러 전주를 피해 갔다는 것을 보면 고려 초기 전주가 얼마나 처참했는지 짐작할 만 하다.[* 이 때 전주를 피해 가자고 주장한 신하의 논리는 '전주는 태조께서 싫어하셨던 곳이니 주상께서는 행차하지 마소서'였다. [[훈요 10조]]가 위작되었다는 설과 별개로 태조가 전북 일대(후백제 중심지역)를 꺼렸다는 증거이다. 전주는 후백제 수도였으니 고려 초기까지 반고려 감정이 잔존해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아직 호족이 사병을 거느리던 시대였고 실제로 현종은 피난 중 왕실에 반감이 있는 호족들에게 위협을 받은 적이 있다. 따라서 당시 옛 후백제 수도를 지나가는 건 [[영국 국왕]]이 [[북아일랜드]]를 방문하는 것처럼 위험할 가능성이 높다.] 파괴 이후 시가지는 다시 천변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1022년에는 상당히 복구되었는지 12목의 일원이 되었다. [[공민왕]]때 [[원나라]] 사신을 가둔 일로 부곡으로 강등됐다 다시 '완산부'가 되었다. == [[조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주부)] [include(틀:조선의 계국백)] * 1392년: [[전주부|완산유수부]] 설치 * 1403년: 도명과 읍호를 일치시키기 위해 [[전주부]]로 개칭 * 1895년: 23부제 실시로 전주부 [[전주군]]으로 개편 * 1896년: 13도제 실시로 새로 설치된 전라북도 도감찰부를([[도청]]을) 전주에 둠 * [[1906년]]: [[월경지]] 및 [[땅거스러미]] 정리로 군역 축소 == [[일제강점기]] == [Include(틀:일제강점기의 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전주시/역사/jenju1914.jpg|width=100%]]}}} || || '''{{{#fff 1914년 현 전주시 일대 행정구역 상황. }}}''' || * 1914년 : 전주군과 [[고산군(전라도)|고산군]]을 통합하여 '''전주군'''으로 개편 * 하위 면 : 전주면, 이동면, 이서면, 우림면, 난전면, 구이면, 상관면, 소양면, 용진면, 초포면, 조촌면, 삼례면, 봉동면, 고산면, 삼기면, 비봉면, 운선면, 화산면, 동상면, 운동하면 * 1915년, 운선면 중 현 도평리, 임화리 지역을 [[충청남도]] [[논산군]] 양촌면에 편입(가야곡면 지역에서 편입한 지역을 환원)하고 논산군 양촌면에서 산북리(현 산북리 일부)를 환원 * 1930년 : 이동면 9개 리(노송리, 인후리, 중산리, 화산리 등)를 전주면에 편입, 정 등을 신설 * 1931년 : 전주면을 '''전주읍'''으로 승격 * 1935년 :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전주군의 잔여지역을 '''[[완주군]]'''으로 개칭. 우림면·난전면을 우전면으로, 삼기면을 고산면·화산면에, 운선면·운동하면을 화산면·운주면에 합면. 우림면 청도리(위 지도에서 금산면 시가지(원평) 쪽으로 삐죽 튀어나온 곳)를 [[김제시|김제군]] 금산면에 편입 * 1940년 : 완주군 이동면(홍산리는 우전면으로 이관), 조촌면 일부를 전주부에 편입 ==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전주시 시기(1974-2001).svg|width=100%]]}}} || || '''{{{#fff 1974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한 깃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전주시/역사/jonju1945.jpg|width=100%]]}}} || || '''{{{#fff 1945년 8.15 광복 당시 전주부와 완주군의 행정구역 상황. }}}''' || * [[1946년]] [[7월 10일]]: 일본식 동명을 정리 ||<-3> 전주 정(町)명 개정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현 행정구역 || ||대정정(大正町)1정목 ||망성동(望城洞) ||[[완산구]] 중앙동1가 || ||대정정(大正町)2정목 ||선북동(宣北洞) ||[[완산구]] 중앙동2가 || ||대정정(大正町)3정목 ||중앙동 ||[[완산구]] 중앙동3가 || ||대정정(大正町)4정목 ||문화동(文化洞) ||[[완산구]] 경원동1가 || ||대정정(大正町)5정목 ||경동(慶洞) ||[[완산구]] 경원동2가 || ||대정정(大正町)6정목 ||동인동(東仁洞) ||[[완산구]] 풍남동1가 || ||대정정(大正町)7정목 ||관선동(觀善洞) ||[[완산구]] 풍남동2가 || ||본정(本町)1정목 ||남계동(南溪洞) ||[[완산구]] 전동3가 || ||본정(本町)2정목 ||청석동(靑石洞) ||[[완산구]] 다가동1가 || ||본정(本町)3정목 ||서인동(西仁洞) ||[[완산구]] 다가동3가 || ||본정(本町)4정목 ||대동(大洞) ||[[완산구]] 다가동4가 || ||팔달정(八達町) ||종동(鐘洞) ||[[완산구]] 중앙동4가 || ||대화정(大和町) ||전동 ||[[완산구]] 전동 || ||풍남정 ||풍남동 ||[[완산구]] 풍남동3가 || ||고사정 ||고사동 ||[[완산구]] 고사동 || ||화원정(華花園町) ||화원동(花園洞) ||[[완산구]] 경원동2가 || ||다가정 ||다가동 ||[[완산구]] 다가동2가 || ||청수정(淸水町) ||교동 ||[[완산구]] 교동 || ||완산정 ||완산동 ||[[완산구]] 동완산동, 서완산동1가~2가 || ||서정(曙町) ||서학동 ||[[완산구]] 서서학동 || ||상생정(相生町) ||태평동 ||구 태평동1가~ || ||노송정 ||노송동 ||동노송동 서노송동 남노송동 중노송동 || ||소화정(昭和町) ||진북동 ||[[덕진구]] 진북동 || ||화산정 ||화산동 ||[[구]] [[구]] || ||중산정 ||중산동 ||[[구]] 중화산동2가 || ||검암정 ||금암동 ||[[덕진구]] 인후동2가, 덕진동1가 각 일부 || ||서신정 ||서신동 ||[[완산구]] 서신동 || ||덕진정 ||덕진동 ||[[덕진구]] 덕진동1·2가 각 일부 || ||인후정 ||인후동 ||[[덕진구]] 인후동1가, 인후동2가 일부 || * [[1949년]] [[8월 15일]]: 전주부를 '''전주시'''로 개칭 * 1957년 11월 6일: 완주군 초포면(하리는 삼례면으로, 상운리는 용진면으로 이관), 우전면(중인리, 용복리, 석구리, 원당리는 구이면으로 이관) 및 조촌면·용진면 일부를 전주시에 편입. 시기 상으로 미루어 보아 이는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자유당]] [[이승만]] 정권의 [[게리맨더링]]으로 보인다. 실제로 같은 시기에 [[대구광역시|대구시]], [[광주광역시|광주시]]에서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12800209203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1-28&officeId=00020&pageNo=3&printNo=20406&publishType=00020|이런 일이 있었다.]] 다만 위에서 말한 대구와 광주의 사례의 경우 이때 편입된 지역 중 일부가 나중에 인근 군으로 환원되다. ||<-2> 법률 제453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시행 1957.11.06) || || 1957년 이전 구 행정구역 || 1958년 이후 신 행정구역 || ||[[완산군]] 초포면 우방리 ||[[전주시]] 우아동3가 || ||[[완산군]] 초포면 신성리 ||[[전주시]] 호성동1가 || ||[[완산군]] 초포면 봉암리 ||[[전주시]] 호성동2가 || ||[[완산군]] 초포면 송전리 ||[[전주시]] 호성동3가 || ||[[완산군]] 초포면 전당리 ||[[전주시]] 전미동1가 || ||[[완산군]] 초포면 미산리 ||[[전주시]] 전미동2가 || ||[[완산군]] 우전면 송정리 ||[[전주시]] 효자동1가 || ||[[완산군]] 우전면 효자리 ||[[전주시]] 효자동2가 || ||[[완산군]] 우전면 홍산리 ||[[전주시]] 효자동3가 || ||[[완산군]] 우전면 태평리 ||[[전주시]] 삼천동1가 || ||[[완산군]] 우전면 계용리 ||[[전주시]] 삼천동2가 || ||[[완산군]] 우전면 안산리 ||[[전주시]] 삼천동3가 || ||[[완산군]] 우전면 석불리 ||[[전주시]] 평화동1가 || ||[[완산군]] 우전면 장천리 ||[[전주시]] 평화동2가 || ||[[완산군]] 우전면 문정리 ||[[전주시]] 평화동3가 || ||[[완산군]] 조촌면 오송리 ||[[전주시]] 송천동1가 || ||[[완산군]] 조촌면 시천리 ||[[전주시]] 송천동2가 || ||[[완산군]] 조촌면 동곡리 ||[[전주시]] 팔복동2가 || ||[[완산군]] 조촌면 동산리 일부 ||[[전주시]] 팔복동1가 || ||[[완산군]] 조촌면 여의리 일부 ||[[전주시]] 팔복동3가 || ||[[완산군]] 용진면 아중리 ||[[전주시]] 우아동1가 || ||[[완산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 ||[[전주시]] 우아동2가 || ||[[완산군]] 상관면 대성리 일부 ||[[전주시]] 동서학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전주시/역사/jonju1957.jpg|width=100%]]}}} || || '''{{{#fff 1957년 전주시 확장 당시 행정구역 상황. }}}''' || [[1957년]] [[12월 12일]]: 편입지역 리를 동으로 개편하고 일부 동을 통폐합했다. 외곽 지역에 있던, 각기 이름이 다른 법정리들을 몇 개씩 뭉쳐 XX동n가 방식으로 한 이름으로 통일한 다음 숫자를 붙였다. ||<-2> 전주시 조례 제108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망성동(望城洞) ||중앙동1가 || ||선북동(宣北洞) ||중앙동2가 || ||중앙동 ||중앙동3가 || ||종동(鐘洞) ||중앙동4가 || ||청석동(靑石洞) ||다가동1가 || ||다가동 ||다가동2가 || ||서인동(西仁洞) ||다가동3가 || ||대동(大洞) ||다가동4가 || ||문화동(文化洞) ||경원동1가 || ||경동(慶洞) ||경원동2가 || ||화원동(花園洞) ||경원동3가 || ||동인동(東仁洞) ||풍남동1가 || ||관선동(觀善洞) ||풍남동2가 || ||풍남동 ||풍남동3가 || ||남전동(南洞) ||전동1가 || ||북전동(北洞) ||전동2가 || ||남계동(南溪洞) ||전동3가 || ||남고사동(南) ||고사동1가 || ||북고사동北 ||고사동2가 || ||동교동(東校洞) ||교동1가 || ||서교동(西校洞) ||교동2가 || ||동태평동(東太平洞) ||태평동1가 || ||서태평동(西太平洞) ||태평동2가 || ||동노송동 ||중노송동1가 || ||중노송동 ||중노송동2가 || ||동완산동 ||동완산동1가 || ||중완산동 ||동완산동2가 || ||서완산동 ||서완산동1가 || ||남화산동 ||서완산동2가 || ||북화산동 ||중화산동1가 || ||중산동 ||중화산동2가 || ||인후동 일부 ||인후동1가 || ||인후동 일부, 동금암동(東  洞) ||인후동2가 || ||덕진동 일부, 서금암동(西  洞) ||덕진동1가 || ||덕진동 일부, 북금암동(北  洞) ||덕진동2가 || ||동서학동 ||동서학동1가 || ||산성동(山城洞) ||동서학동2가 || * [[1973년]] [[7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가 우아동에 편입 * 1983년 2월 15일: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색장리, (1973년에 일부가 편입된) 용진면 산정리를 전주시에 편입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전주시/역사/jonju1987.jpg|width=100%]]}}} || || '''{{{#fff 1987년 완주군 조촌읍 편입 당시 행정구역 상황. }}}''' || * 1987년 1월 1일: 완주군 조촌읍[* 이 중 원동리(현 원동)는 1983년에 이서면에서 조촌면으로 넘어왔다.]을 전주시에 편입 * [[1988년]] [[7월 1일]]: 전주시에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가 설치 * [[1989년]] [[1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와 구이면(1957년에 대부분 전주시에 편입된 우전면 잔여 지역) 중인리, 용복리, 석구리, 원당리를 전주시에 편입 * [[1989년]] [[5월 1일]]: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가 각각 [[완산구]], [[덕진구]]로 승격. 이 개편으로 이서면과 [[완주군]] 나머지 지역이 분리되며 이서면이 완주군의 [[월경지]]가 되었다. * [[1990년]] [[8월 1일]]: 완주군 이서면 상림리, 중리를 전주시에 편입 *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백구면 강흥리, 도덕리, 도도리, 용지면 남정리를 전주시에 편입 * [[1995년]] [[4월 20일]]: 완산구에 효자출장소 설치 * [[1998년]] [[8월 1일]]: 효자출장소 폐지[[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281504|#]] * [[2020년]] [[5월 15일]]: 일제잔재 청산을 목적으로 동산동에서 여의동2가로 개칭 [각주] [[분류:전주시]][[분류:향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