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준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성구회|{{{#ffffff 성구회}}}]]''' || || '''회원번호''' || '''기록''' || '''가입년도''' || '''비고''' || || '''3''' || '''2,018 안타''' || '''2008년''' || '''최초 창립멤버 3인''' || ---- || '''전준호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55]][[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1.svg|height=70]][[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2.svg|height=70]][[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3.svg|height=70]][[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4.sv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1992년 한국시리즈|{{{#ed1c24 1992}}}]]''' || '''[[1998년 한국시리즈|{{{#fab93d 1998}}}]]''' || '''[[2000년 한국시리즈|{{{#fab93d 2000}}}]]''' || '''[[2003년 한국시리즈|{{{#fab93d 2003}}}]]''' || '''[[2004년 한국시리즈|{{{#fab93d 2004}}}]]'''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1900년대)]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5|[[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1995 KBO 리그 득점왕}}}'''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6|[[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1993, 1995, 2004 KBO 리그 도루왕}}}''' || ---- [include(틀: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 ---- ||<-2> {{{#ffffff 보유 기록}}} || || 최다 연속 시즌 두자릿수 도루 || 18시즌[* 1991~2008] || || 통산 최다 도루 || 549개 || || 통산 최다 도루실패 || 217개 || || 통산 최다 3루타 || 100개 || }}} || ---- ||
'''전준호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현대 유니콘스 역대 주장)]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번}}}''' || || 이동채[br](1990) || {{{+1 →}}} || '''전준호[br](1991~1996)''' || {{{+1 →}}} || [[김대익]][br](1998~2004.7.12.) || ||<-5> '''{{{#fab93d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번}}}''' || || [[이종호(야구선수)|이종호]][br](1996) || {{{+1 →}}} || '''{{{#fab93d 전준호[br](1997~2007)}}}''' || {{{+1 →}}} || 팀 해체 || ||<-5> '''{{{#fff [[우리 히어로즈|'''{{{#fff 우리}}}''']] / [[서울 히어로즈|'''{{{#fff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1번}}}''' || || 팀 창단 || {{{+1 →}}} || '''전준호[br](2008~2009)''' || {{{+1 →}}} || [[손승락]][br](2010~2015)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81번}}}''' || || [[박철영]][br](2005~2009) || {{{+1 →}}} || '''전준호[br](2010)''' || {{{+1 →}}} || 고바야시[br](2011)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72번}}}''' || || 팀 창단 || {{{+1 →}}} || '''{{{#00275a 전준호[br](2012~2021)}}}''' || {{{+1 →}}} || [[이주형(투수)|이주형]][br](2023~)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2번}}}''' || || [[허문회]][br](2020~2021) || {{{+1 →}}} || '''전준호[br](2022~2023)''' || {{{+1 →}}} || 결번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1511_m.png|width=100%]]}}}|| ||<-2> '''{{{+2 전준호}}}[br]田埈昊 | Jeon Jun-ho''' || ||<|2> '''출생''' ||[[1969년]] [[2월 15일]] ([age(1969-02-15)]세)|| ||[[경상남도]] [[마산시]][br](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마산상남초 - [[마산동중학교|마산동중]] - [[마산고등학교 야구부|마산고]] - [[영남대학교 야구부|영남대]]|| || '''신체''' ||180cm, 67kg|| || '''포지션''' ||'''[[중견수]]'''[* [[롯데 자이언츠]] 시절 주 포지션.], '''[[좌익수]]'''[* [[현대 유니콘스]] 시절 주 포지션. 알려진 바와 달리 [[현대 유니콘스]] 시절엔 [[중견수]]로 거의 출전하지 않았다.], [[지명타자]][* 2003시즌부터 [[지명타자]] 출전 빈도가 높아졌으며 2000시즌과 2005시즌엔 [[지명타자]]로 출전한 경기가 [[외야수]]로 출전한 경기보다 더 많기도 했다. 은근히 [[지명타자]]로 많이 출전한 편이다.]|| || '''투타''' ||[[좌투좌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1년/신인드래프트#s-4.2|1991년 2차 2라운드]] (전체 11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1991~1996)''' [br]'''[[현대 유니콘스]] (1997~2007)''' [br][[키움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 (2008~2009)|| || '''지도자''' ||[[SK 와이번스]] 1군 작전·주루코치 (2010)[br][[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2군]] 작전·주루코치 (2010)[br]투산 파드리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산하 트리플A] 타격 인스트럭터 (2011)[br][[NC 다이노스]] 주루코치 (2011~2012)[br][[NC 다이노스]] 1군 작전·주루코치 (2013~2018)[* ~7월 12일][br][[NC 다이노스/2군|고양 다이노스]] 작전·주루코치 (2018)[* 7월 13일~][br][[NC 다이노스]] 1군 작전·주루코치 (2019)[br][[NC 다이노스/2군|NC 다이노스 2군]] 작전·주루코치 (2020~2021)[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주루·외야코치 (2022)[br][[롯데 자이언츠]] 1군 작전·주루·외야수비코치 (2023)||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전(성씨)|담양 전씨]][* 경은파 28세. 아버지 전재수(田再壽, 족보명 田再秀)는 27세 '''수(秀)''' 휘(煇) 항렬.] || || '''응원가''' ||[[현대 유니콘스]] 시절: [[뽀뽀뽀]] 주제곡[*가사 안타치고 도루하는 전준호~ x4] || || '''종교''' ||[[개신교]]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위대한 도루왕이 있었다. > 도루는 발로 하는 게 아니라 눈으로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前 [[야구 관련 인물(KBO)|야구 선수]], [[롯데 자이언츠]] 1군 주루·외야코치. 2010년에 [[SK 와이번스]]의 주루코치로 지내다 미국으로 건너가 연수를 받았으며, 귀국 후 2011년 10월 10일 날짜로 코치 연수를 마치고 [[NC 다이노스]]의 작전 및 주루 코치로 합류하였다. 그리고 2022시즌을 앞두고 24년 만에 [[롯데 자이언츠]]에 복귀했다. == [[전준호(1969)/선수 경력|선수 경력]] == ||
'''전준호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4> '''통합 선수 경력''': '''[[전준호(1969)/선수 경력]]''' || ||<-4>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width=55]] || || [[전준호(1969)/선수 경력#s-2.1|{{{#ed1c24 '''1991년'''}}}]] || [[전준호(1969)/선수 경력#s-2.2|'''{{{#ed1c24 1992년}}}''']] || [[전준호(1969)/선수 경력#s-2.3|{{{#ed1c24 '''1993년'''}}}]] || [[전준호(1969)/선수 경력#s-2.4|{{{#ed1c24 '''1994년'''}}}]] || || [[전준호(1969)/선수 경력#s-2.5|{{{#ed1c24 '''1995년'''}}}]] || [[전준호(1969)/선수 경력#s-2.6|'''{{{#000 1996년}}}''']] || [[전준호(1969)/선수 경력#s-3|'''{{{#fab93d 현대 시절}}}''']] || [[전준호(1969)/선수 경력#s-4|'''{{{#ffffff {{{-2 히어로즈 시절}}}}}}''']] || }}}}}}}}} || == [[전준호(1969)/지도자 경력|지도자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준호(1969)/지도자 경력)] == 여담 == * 난감하게도 은퇴 한참 후인 2020년, '''통산 도루가 1개 줄어버렸다! (550개 → 549개)''' KBO가 예전 기록을 제대로 데이터화하는 과정에서 롯데 소속이던 1996년 9월 20일, [[무등 야구장]]에서 열린 [[해태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기록된 도루가 전준호가 아닌 교체 출장한 [[박종일(야구선수)|박종일]][* 공교롭게도 박종일은 전준호가 NC 코치로 일하던 때에도 NC 프런트로 재직하고 있었다.]의 기록으로 확인됐고, 이에 1996 시즌 도루는 23개에서 22개로 정정되고 통산 도루도 하나 줄어들었다. 하필 550개 이쁘게 딱 맞춰놓은 게 망가졌기 때문에 영화 미스터 3000처럼 도루 1개를 위해 현역 복귀 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가 나온다. [[https://kini.kr/2105|#]] 전준호가 550 도루 기록을 세울 때 기록을 의식하고 손가락이 부러지며 달성한 것이라 아쉬움이 더 컸다. * 현대 시절에는 연봉협상에 별 잡음 없이 계약을 했는데 항간에 떠도는 '롯데는 연봉 때문에 선수 버린다' 라던 말을 일깨워준 적이 있다. 예를 들면 '''역대 최초 7관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돈 몇푼 못주겠다고 내친 어느 프랜차이즈 선수였던 '''[[이대호]].''' 여튼 FA계약도 현대가 별 싸움 없이 고려하면서 잡았는데 전준호 역시 현대에 감사한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 친정 팀 [[롯데 자이언츠]]의 홈구장인 [[로나쌩 클럽|사직구장에서 상당히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개인통산 2,000안타를 쳤을 때 역시 원정 팀 선수로서 친정 팀인 롯데를 상대로 한 것이었다.[* 이날이 2008년 추석이었다.] 오죽하면 [[백인천]] 항목에도 있는 꼴데 시절 롯팬들의 푸념거리를 모아둔 짤방에도 현대와 경기할때 전준호가 도루하고 안타치면 좋아해야하는지 말아야하는지 헷갈린다고 쓰여있다. * 2009년 초에 [[송진우(야구)|송진우]], [[양준혁]]과 함께 한국판 '프로야구 명예의 전당'인 [[성구회]]를 창립하였다. * [[정수근]]이 [[박명환야구TV]]에서 한 이야기에 따르면, 2루 [[도루]]를 노릴 때 1루 베이스에서 다섯 발까지 나와서 크게 리드를 했다고 한다. 본인도 전준호를 따라하려고 했으나 [[리드]]가 너무 길다보니 1루로 다시 돌아와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2루로 스타트를 끊을 수 없었다고 한다. * 참고로 [[마구마구]]에서는 롯데나 현대가 아닌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의 레전드 카드로 나왔는데, 이는 마구마구 레전드 카드 생성 초기에 레전드 카드에 대한 개념이 부족했을 당시 애니파크 측의 실수로 애니파크 측도 이를 인정했다. 듀얼 레전드 시스템이 도입된 지금은 롯데, 현대, 히어로즈 이 3가지의 레전드가 모두 업데이트된 상황.[* [[파일:attachment/전준호/2014-04-12-03-00-45-1.jpg]] 그러나 마구마구2014에서는 2014년 4월 10일 업데이트 후 '''롯데 레전드카드'''와 '''현대 레전드카드'''가 '''모두 업데이트되었다!'''][* [[파일:attachment/전준호/2014-04-12-03-00-45-2.jpg]] 2014년 4월 10일, 마구마구2014 1주년 기념방송 예고대로 95 전준호(가명:박현석)의 '''엘리트 카드'''가 업데이트되었다. (다른 신규 엘리트는 06 [[권오준]], 02 [[송진우(야구)|송진우]](가명:박흥진), 89 [[박정현(투수)|박정현]](가명:김석연).)] 04년도 레어 카드와 같이 외야 송구 시 딜레이를 줄여주는 퀵스로잉이라는 사기급 잠재력이 띄우기 쉬운 1슬롯에 위치하고 있는 데다가 좌익수/중견수 듀얼포지션이 가능해 '''모두의 준호'''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여러 세트덱의 타자용병으로 애용되고 있다. * 2022년 롯데 코치로 귀환한 이후 가진 인터뷰에 따르면 2008년 롯데로 복귀할 수도 있었다고 한다. [[제리 로이스터]] 감독이 "네가 필요하다"고 먼저 제의를 했고 실제로 [[박영태]] 코치를 통해 롯데과 연결되었지만 잘 되지 못했다고 한다. 만약 복귀했다면 그 때 팀으로 돌아온 [[마해영]]과 함께 큰 화제를 몰고 일으키는 동시에 2008년 낸 성적을 생각해보면 당시 [[정수근]]이 이탈해도 큰 손해도 없었을 따름이니 아쉬울 뿐.[* 전준호는 2008년 풀타임을 뛰며 3할을 쳤다.] * 선수 시절에는 통산 100개의 [[3루타]]를 기록하여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 가장 많은 3루타를 기록한 선수이기도 하다. 또한 2001년 7월 6일에 [[현대 유니콘스]] 소속이었을 때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69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2009년 은퇴]][[분류:마산합포구 출신 인물]][[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지명타자]][[분류:좌투좌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분류:담양 전씨]][[분류:KBO 리그의 사이클링 히트 달성자]][[분류:KBO 도루왕]][[분류:성구회 멤버]][[분류:프로야구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