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 ||<-2>
{{{#373a3c,#dddddd '''{{{+1 전희절창 심포기어 G}}}''' (2013)[br]戦姫絶唱シンフォギア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DbobAW.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 || '''{{{#373a3c,#dddddd 원작}}}''' ||[[아게마츠 노리야스]][* 작곡가. 음악 창작 집단 '[[Elements Garden]]'의 대표][br]카네코 아키후미(金子彰史)[* 게임 크리에이터] || ||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 ||요시이 단(吉井ダン)[* 만화가 겸 일러스트레이터. 대표작은 만화 온타마'] || || '''{{{#373a3c,#dddddd 감독}}}''' ||[[오노 카츠미]]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카네코 아키후미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후지모토 사토루]] || || '''{{{#373a3c,#dddddd 액션 디렉터}}}''' ||<|2>[[코타 후미아키]] || || '''{{{#373a3c,#dddddd 노이즈 디자인}}}''' || || '''{{{#373a3c,#dddddd 프롭 디자인}}}''' ||모리오카 켄이치(森岡賢一) || || '''{{{#373a3c,#dddddd 메카닉 디자인}}}''' ||[[타이가 히로유키]][br]카와하라 토모히로(川原智弘) || || '''{{{#373a3c,#dddddd 퓨처 비주얼}}}''' ||토마 로맹(Thomas Romain/ロマン・トマ)[* 프랑스인. [[바스쿼시!]] 공동 원작, 크로와제 미술 설정 등][br]스타니슬라스 브뤼네[br](Stanislas Brunet/ブリュネ・スタニスラス)[br]빈센트 응이엠[br](Vincent Nghiem/ニエム・ヴィンセント)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니시무라 타카시(西村 隆)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시노하라 아이코(篠原愛子)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이와사키 아츠시(岩崎 敦) || || '''{{{#373a3c,#dddddd 편집}}}''' ||사다마츠 고(定松 剛)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 || '''{{{#373a3c,#dddddd 음악}}}''' ||[[Elements Garden]] || || '''{{{#373a3c,#dddddd 슈퍼바이저}}}''' ||사토 토시아키(佐藤俊明)[br]타나카 후미히로(田中文啓)[br]시마다 아츠시(島田 篤)[br]아오키 에리코(青木絵理子)[br]하라다 텟페이(原田鉄平) || || '''{{{#373a3c,#dddddd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미시마 아키오(三嶋章夫)[br]오오타 토요키(太田豊紀)[br][[키다니 타카아키]][br]카미쿠라 류타(神蔵龍太)[br]나카무라 타츠지(中村達司)[br]아키 타카노리(安藝貴範) || || '''{{{#373a3c,#dddddd 프로듀서}}}''' ||모리이 유스케(森井佑介)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네코 후미오]][br]하마모토 유미(濱本悠光)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SATELIGHT]] || || '''{{{#373a3c,#dddddd 제작}}}''' ||Project 심포기어 G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3년 7월|2013. 07. 05.]] ~ 2013. 09. 27.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마이니치 방송|MBS]] / (금) 02:35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dddddd 화수}}}''' ||13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symphogear-g.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YMPHOGEAR)]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전희절창 심포기어.png|width=300%]] || || '''In the distance, that day, when the star became music.''' '''"별이 음악이 되었던, 아득히 머나먼, 그 날."'''[* 이 프레이즈는 삽입곡 '역광의 플뤼겔(逆光のフリューゲル)' 의 가사에서도 그대로 등장한다.] || [[전희절창 심포기어]]의 후속작이자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 '''두 번째 작품'''. 감독은 [[오노 카츠미]],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3년 7월|2013년 7월]]. == 공개 정보 == 캐릭터 디자인에 변화가 있었을 뿐 아니라 주요제작진 및 주 제작사도 변경되었다. 추가로 최속이 TOKYO MX가 아니라 MBS로 변경되고 그나마 밤 시간대였던 전작에서 이번 G는 심야로 늦춰졌다. 덕분에 3분기 [[아니메이즘]] 세 작품이 방영.[* 대신 해당 작품은 TBS 금토 시간대에 방영은 없음. 오히려 TOKYO MX가 간토 주관방송에 해당한다.] 전작의 더블 주인공이었던 [[타치바나 히비키]], [[카자나리 츠바사]], 그리고 후반에 합류했던 [[유키네 크리스]]까지 3명의 주자들이 다시 노이즈와 싸워가는 나날을 보내던 도중, [[심포기어]]와 노이즈를 동시에 사용하며 자신들을 [[피네(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s-3|피네]]라고 자칭하는 테러 조직이 등장하면서 이들과 싸워나가는 스토리. == 줄거리 == > > '''[ruby(喪失, ruby=さようなら)]―[ruby(融合症例第一号, ruby=ガングニール)]''' > > '''[ruby(상실, ruby=안녕)]―[ruby(융합증례 제1호, ruby=건그니르)]''' >카자나리 츠바사와 유키네 크리스, 그리고 타치바나 히비키. > >운명에 농락당한 소녀들은 >FG식 회천특기장속 '심포기어'를 몸에 두르고 >많은 싸움과 수많은 오해를 거쳐 결전의 땅에 집결했다. > > >우뚝 솟은 카딩기르가 겨누고 있던 것은 >바랄의 저주[* 성경에 나오는 바벨탑의 저주, 즉 신의 벌을 받아 인류의 언어가 흩어진 것을 의미한다.]로서 인류의 상호이해를 방해하는 거대한 감시장치 '달'. > >인류사의 뒤편에서 수천년에 걸쳐 암약해온 무녀 피네의 목적은 >달을 파괴하고 신화시대의 '통일언어'를 되찾는 것이었다. > >그러나 달의 파괴는 >중력균형의 붕괴를 초래하는 행성규모의 재난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 >다가오는 위협 '루나어택'에 대항해 >목숨을 불태운 소녀들의 절창은 >하늘에, 가슴에, 드높게 울려 퍼지는 것이었다. > >그로부터 약 3개월 후. > >격렬한 전투 끝에 이지러진 달이 내려다보는 세계에서, 이야기는 다시금 움직이기 시작한다. > >복잡하게 얽힌 세계정세속에서 >일본정부가 보유한 '심포기어 시스템'은 >아직까지 각지에서 관측되고 있는 인정특이재해 노이즈에 대한 대책수단으로서 >기밀의 일부가 공개되었음에도 그 장착자에 관해서는 감추어진 상태이다. > >일상을 보장받은 상태로 >미일공동연구에 참가하는 심포기어의 장착자들. > >언젠가 노이즈가 초래하는 재난을 없애고 >세계무대에서 노래하고 싶다고 꿈꾸는 츠바사. > >주어진 장소의 포근함에 친숙해지지 못하고 혼란스러운 나날이지만 >서서히 타인과의 접촉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크리스. > >성유물과의 융합을 이루어 신영장류라 칭해지면서도, >조금도 변함없이 취미인 사람 돕는 일에 매진하는 히비키. > >각자가 각자의 현재를 살아가는 와중에, 하나의 임무가 주어진다. > >특이재해대책기동부와 미국 연방성유물연구기관이 최우선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는 >완전성유물 '솔로몬의 지팡이'를 미군의 이와쿠니 기지까지 운송하는 것. > >미일 양국간의 협력체제가 확립된 지금, 이렇다할 문제 없이 잘 수행되어야 할 작전이었지만 >새로운 적들은 어두운 폭풍속의 밤을 틈타 바로 앞까지 몰려오고 있었다. > >활짝 열린 바빌로니아의 보물고로부터 몰려오는 노이즈의 대군. > >이질적인 물리법칙이 불러오는 파괴의 불협화음이 울리고 >꿰뚫어나가는 듯 소녀의 노랫소리가 울려퍼진다. > >'그 이름은, [[건그니르|궁니르]]' > >성유물과의 융합 증례 제1호, 타치바나 히비키의 포효였다. > >통솔된 움직임으로 쇄도하는 노이즈의 무리. >그 너머로 어른거리는 그림자 - 그리고 노랫소리. > >새로운 국면은 >소녀들의 피가 흐르는 노래와 노래의 격돌에 의해 막을 연다. == 특징 == [[사테라이트]] 단독 제작으로 바뀌면서 퀄리티가 상당히 상승했다. [* 다만 제작비 자체는 1기와 별 차이가 없다고.] 단순히 퀄리티만 오른 것이 아니라 감독이 [[이토 타츠후미]]에서 [[오노 카츠미]]로 바뀌면서 작화와 연출 스타일이 환골탈태 수준으로 달라졌다. 일상과 배틀을 오가는 변칙적인 [[마법소녀물]]에 가까웠던 전작에 비해서 본작은 거의 배틀 위주로 스토리가 진행된다. 또한 악역들의 행적을 둘러싼 세계의 동향을 다루는 등 사회정치 요소가 강화된 편이다. 모든 시리즈 중에서 '''유일하게 [[심포기어]] 주자들 간의 싸움이 메인인 작품'''이라는 것도 특징이다.[* 1기의 주 적은 노이즈와 완전 성유물 사용자, 3~4기의 주 적은 연금술사들이다.] 전작이 후반부에 들어서 츠바사와 크리스의 비중이 높아지긴 했어도 기본적으로 히비키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구조였으나본작은 사실상 3명의 트리플 주인공 체제를 이루게 된다.물론 중요한 활약은 다 히비키가 하지만 전체적인 비중은 다른 둘에 비해 특출나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적 측 캐릭터들의 시점도 주인공들 못지 않게 다뤄지기 때문에 단순한 악역이라기보다는 또다른 주인공에 가깝다. 사실상 [[군상극]] 형식이라고 봐야 한다. 그리고 심포기어 라이브 2013에서 3기 제작이 확정되었다. 2기 일거방송 끝부분에 3기 [[전희절창 심포기어 GX]]의 정보가 공개되었다. [[애니메이션/2015년 7월|2015년 7월]] ~~딱 2년~~ 방영.. == 등장인물 == * 개별 문서가 없는 인물은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등장인물]] 참조. === 특이재해대책부 2과 === * [[타치바나 히비키]] * [[카자나리 츠바사]] * [[유키네 크리스]] * [[카자나리 겐쥬로]] * [[오가와 신지(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오가와 신지]] === F.I.S === * [[마리아 카덴차브나 이브]] * [[츠쿠요미 시라베]] * [[아카츠키 키리카]] * [[나스타샤]] * [[웰 박사]] === 사립 리디안 음악원 === * [[코히나타 미쿠]] === 기타 인물 === * [[아모우 카나데]][*A 회상으로만 등장.] * [[세레나 카덴차브나 이브]][*A] == 설정 == *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설정]] == 음악 ==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Vitalization[* [[리플렉 비트 그루빈]]에 원곡으로 수록되었다. 이 곡에도 Aufwachen Form 버전이 존재하며, 10집 앨범 SUPERNAL LIBERTY에 수록. 1기와 달리 자주 나온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2> [[미즈키 나나]] || || '''작사''' || || '''작곡''' || [[아게마츠 노리야스]] || || '''편곡''' || [[아게마츠 노리야스]][br]키쿠타 다이스케(菊田大介)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오노 카츠미]] || || '''연출''' || || '''작화감독''' || [[스기모토 이사오]] || || '''액션 작화감독''' || [[코타 후미아키]] || || '''총 작화감독''' || [[후지모토 사토루]] || || '''원화''' || 사카모토 슌타(坂本俊太), [[카바시마 요스케]], [[이마니시 토오루]], [[스기에 토시하루]], 오오쿠보 요시유키(大久保義之), [[타이가 히로유키]], [[야나기 류타]], [[시키지 유키요시]], [[사카이 사토시]] 등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Next Destinati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타카가키 아야히]] || || '''작사''' || mavie || || '''작곡''' ||<|2> 후지타 준페이(藤田淳平)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오노 카츠미]] || || '''연출''' || || '''작화감독''' || [[후지모토 사토루]] || || '''원화''' || [[이노우에 히데키]]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1화 ED ==== ||<-2>
'''{{{#373a3c,#dddddd 1화 ED[br]烈槍・ガングニール[br]열창 궁니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마리아 카덴차브나 이브]]([[히카사 요코]]) || || '''작사''' ||<|2> [[아게마츠 노리야스]] || || '''작곡''' || || '''편곡''' || [[Evan Call]]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13화 ED ==== ||<-2>
'''{{{#373a3c,#dddddd 1화 ED[br]虹色のフリューゲル[br]무지개빛 플뤼겔}}}'''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타치바나 히비키]]([[유우키 아오이]])[br][[카자나리 츠바사]]([[미즈키 나나]])[br][[유키네 크리스]]([[타카가키 아야히]])[br][[마리아 카덴차브나 이브]]([[히카사 요코]])[br][[츠쿠요미 시라베]]([[난죠 요시노]])[br][[아카츠키 키리카]]([[카야노 아이]])[br][[아모우 카나데]]([[타카야마 미나미]]) || || '''작사''' ||<|2> [[아게마츠 노리야스]] || || '''작곡''' || || '''편곡''' || 키쿠타 다이스케(菊田大介)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삽입곡 === 그 외의 삽입곡에 대해서는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노래]] 참조.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카네코 아키후미(金子彰史) ||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EPISODE 1}}} || {{{-3 ガングニールの少女[br]궁그닐의 소녀}}} ||<|2> {{{-3 [[오노 카츠미]]}}} || {{{-3 스즈키 아유무[br](鈴木 歩)}}} || {{{-3 [[후지모토 사토루]][br]우치다 타카시[br](内田 孝)[br][[코타 후미아키]][*N 노이즈]}}} ||<|2> {{{-3 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7.05.}}} || || {{{-3 EPISODE 2}}} || {{{-3 胸に力と偽りと[br]가슴에 힘과 거짓과}}} || {{{-3 유우즈미 케이에이[br](夕澄慶英)}}} || {{{-3 후쿠나가 준이치[br](福永純一)[br][[타카하시 유야(애니메이터)|타카하시 유야]][br]코노 에미[br](河野絵美)}}} || {{{-3 2013.07.12.}}} || || {{{-3 EPISODE 3}}} || {{{-3 終焉を望む者、終焉に臨む者[br]종언을 원하는 자, 종언에 임하는 자}}} || {{{-3 미야우라 쿠류[br](宮浦栗生)}}} || {{{-3 야마토 나오미치[br](ヤマトナオミチ)}}} || {{{-3 [[이마니시 토오루]][br]시오카와 타카시[br](塩川貴史)}}} || {{{-3 [[스기모토 이사오]][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7.19.}}} || || {{{-3 EPISODE 4}}} || {{{-3 あたしの帰る場所[br]나의 돌아갈 장소}}} || {{{-3 [[와카바야시 아츠시]]}}} || {{{-3 타카하시 히데토시[br](高橋英俊)}}} || {{{-3 시모죠 유미[br](下條祐未)}}} || {{{-3 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7.26.}}} || || {{{-3 EPISODE 5}}} || {{{-3 血飛沫の小夜曲[br]피보라의 소야곡}}} || {{{-3 요시카와 코지[br](吉川浩司)}}} || {{{-3 콘도 카즈히데[br](近藤一英)}}} || {{{-3 와타나베 타카요시[br](渡部貴善)[br]시오카와 타카시[br][[시키지 유키요시]][br]모리 에츠히토[br](森 悦史)[br][[사카이 사토시]]}}} || {{{-3 스기모토 이사오[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8.02.}}} || || {{{-3 EPISODE 6}}} || {{{-3 奇跡──それは残酷な軌跡[br]기적 - 그것은 잔혹한 궤적}}} || {{{-3 타도코로 오사무[br](田所 修)}}} || {{{-3 시미즈 카즈노부[br](清水一伸)}}} || {{{-3 후츠자와 토키에몬[br](普津澤時ヱ門)[br]시키지 유키요시}}} || {{{-3 이마니시 토오루[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8.09.}}} || || {{{-3 EPISODE 7}}} || {{{-3 君でいられなくなるキミに[br]너로 있을 수 없어진 너에게}}} || {{{-3 미야우라 쿠류}}} || {{{-3 아리에 유키[br](有江勇樹)}}} || {{{-3 시키지 유키요시[br][[누마타 세이야]][br]테라사와 신스케[br](寺澤伸介)[br]손진영}}} || {{{-3 스기모토 이사오[br]누마타 세이야[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8.16.}}} || || {{{-3 EPISODE 8}}} || {{{-3 繋ぐ手と手…戸惑うわたしのため…[br]이어진 손과 손…망설이는 나를 위해…}}} || {{{-3 와카바야시 아츠시}}} || {{{-3 치바 다이스케[br](千葉大輔)}}} || {{{-3 코노 에미[br]시모죠 유미[br]후츠자와 토키에몬[br]후쿠나가 준이치}}} ||<|2> {{{-3 이마니시 토오루[br]누마타 세이야[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8.23.}}} || || {{{-3 EPISODE 9}}} || {{{-3 英雄故事[br]영웅고사}}} || {{{-3 타도코로 오사무}}} || {{{-3 이시카와 슌스케[br](石川俊介)}}} || {{{-3 고토 마리코[br](後藤麻梨子)[br]시오카와 타카시[br]시키지 유키요시[br]시바타 켄지[br](柴田健児)[br]하타 토모지[br](畑 智司)[br]모리 에츠히토[br]와타나베 타카요시}}} || {{{-3 2013.08.30.}}} || || {{{-3 EPISODE 10}}} || {{{-3 喪失までのカウントダウン[br]상실까지의 카운트다운}}} || {{{-3 [[오하라 마사카즈|이나에 진]][br](稲江 仁)}}} || {{{-3 [[이와모토 야스오]]}}} || {{{-3 시모죠 유미[br]타카하시 유야[br]나카야마 유야[br](中山祐也)[br]후츠자와 토키에몬[br]하타 토모지[br]와타나베 타카요시[br]시키지 유키요시[*A 액션]}}} || {{{-3 누마타 세이야[br]이마니시 토오루[br]스기모토 이사오[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9.06.}}} || || {{{-3 EPISODE 11}}} || {{{-3 ディスティニーアーク[br]데스티니 아크}}} || {{{-3 와카바야시 아츠시}}} || {{{-3 이시카와 슌스케[br]콘도 카즈히데}}} || {{{-3 아오키 마리코[br]타케우치 아키라[br](武内 啓)[br]유효상[br](柳孝相)[br][[신보 타쿠로]][br]시오카와 타카시[br]하타 토모지[br]와타나베 타카요시[br]시키지 유키요시[*A]}}} || {{{-3 이마니시 토오루[br]스기모토 이사오[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9.13.}}} || || {{{-3 EPISODE 12}}} || {{{-3 撃槍[br]격창}}} || {{{-3 미야우라 쿠류}}} || {{{-3 이와타 요시히코[br](岩田義彦)}}} || {{{-3 코노 에미[br]시모죠 유미[br]후쿠나가 준이치[br]타카하시 유야[br]사이토 아츠코[br](齋藤温子)[br]코바라 카즈오[br](小原和夫)[br]후츠자와 토키에몬[br]요시다 코스케[br](吉田巧介)[br]와타나베 타카요시[br]우치다 타카시[br]시오카와 타카시[br]시키지 유키요시[*A]}}} || {{{-3 이마니시 토오루[br]스기모토 이사오[br]후지모토 사토루[br]누마타 세이야}}} || {{{-3 2013.09.20.}}} || || {{{-3 EPISODE 13}}} || {{{-3 遥か彼方、星が音楽となった…かの日[br]아득히 머나먼, 별이 음악이 되었던…그 날}}} ||<-2> {{{-3 [[야스다 켄지]]}}} || {{{-3 이케시타 히로키[br](池下博紀)[br]이마니시 토오루[br]오오가와라 하루오[br](大河原晴男)[br]고토 마리코[br]사카이 사토시[br]시키지 유키요시[br]시오카와 타카시[br]타테자키 히로시[br](舘崎 大)[br]하타 토모지[br]마에사와 히로미[br](前澤弘美)[br]모리 에츠히토[br]와타나베 타카요시[br]시모죠 유미[br]사이토 아츠코[br]이마마키 치요[br](今牧千世)[br]후츠자와 토키에몬}}} || {{{-3 이마니시 토오루[br]후지모토 사토루}}} || {{{-3 2013.09.27.}}} || == [[전희절창 심포기어 G/평가|평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희절창 심포기어 G/평가)] == 기타 == * G에는 많은 의미가 담겨있으나, 성우진조차도 그 '많은 의미'가 무엇인지는 정확히 모른다고 한다. * 9화에서 카자나리 겐쥬로와 타치바나 히비키가 함께 불렀던 노래는 성룡 주연의 [[폴리스 스토리]]의 엔딩곡을 커버한 버전이다.[* 특전으로 풀버전이 수록됐다.] * 캐릭터송이 주인인 애니메이션이다보니 가창력이 뛰어난 성우들이 모였으며 애니는 안 봐도 OST를 사는 층이 있을 정도로 음반에 대한 평이 높다. ~~한 사람만 빼고~~ * 1기에서도 많은 고통을 받았던 히비키 역의 [[유우키 아오이]]는 그 사이 노력했는지 실력이 일취월장. 방영 종료후 개인 명의로 가수 데뷔하는 등, 어떻게보면 유우키에게 심포기어라는 작품이 큰 기회가 아니었는가? 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고진감래~~ * BD/DVD 5, 6권 특전으로 [[전희절창하지 않는 심포기어]]라는 특전 영상이 수록되었다. * 9화를 기점으로 엔딩에 [[코히나타 미쿠]]까지 나오게 된다. * G를 거치면서 몇가지 전통이 생겼다. * 1화에서 라이브, 엔딩곡 없음[* 다만 4기인 AXZ에서는 1화에 라이브가 없다.] * "~라고?!" * [[타치바나 히비키|주인공]] 괴롭히기[* G부터 히비키의 어두운 과거가 본격적으로 드러난다.] * 캐릭터송 1번곡의 2절은 후반부 스포일러 * 마지막화 엔딩은 역광의 플뤼겔(날개) 개사.ver * 13화의 제목 = 부제. [[분류: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3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마법소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