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정씨 성을 가진 사람들의 목록, rd1=정(성씨)/목록)] [include(틀:한국의 성씨)] [목차] == 소개 == [[한국의 성씨]]. 한자로는 鄭, 丁, 程 세 종류가 있다. 그중 90% 이상이 鄭 씨이다. 대한민국의 성씨별 인구 순위는 鄭 씨는 [[최(성씨)|최 씨]]에 이어 5위, 丁, 程 씨를 합치면 최 씨보다 많아서 4위이다. == [[鄭]] == 경주, 영일(연일), 동래, 진주, 초계, 하동 등 40여 개의 본이 전해진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지리)|지방]]에서는 [[경상도|영남]](주로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지방에 많이 거주한다. 이 중 [[동래 정씨]]가 가장 많고(44만 명, 정씨의 22%) 그 다음 많은 정 씨는 [[경주 정씨]]로(30만 명, 정씨의 15%) 의외로 [[전라남도]] 지역에도 많이 거주하고 있고, [[진주 정씨]](23만 명), [[연일 정씨]](22만 명), [[하동 정씨]](15만 명) 순이다. 특별하게 유래가 확실한 경우를 제외하면 鄭 씨의 시조는 [[고조선]] 멸망 이후 [[경주시]] 지역으로 남하해 자리잡아 마을을 이루다가 [[박혁거세]]를 추대해 [[신라]]를 건국한 지백호(경주 6촌의 촌장 중 1명)를 시조로 하며, 이 계보에 의하면 경주 정씨가 모든 정씨의 큰집뻘이 된다. 2015년 기준 인구는 2,151,879명으로 한국에서 다섯번째로 많다. 다만,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정씨가 최씨보다 많아지기도 한다. 한자 鄭의 첫 두 획을 八이 아니라 丷(䒑에서 一을 제외한 것)처럼 쓰는 집안도 있다.[* 한국을 제외하고는 한자를 쓰는 많은 국가들이 단독으로 쓰는 八을 제외하고 위에 있는 八을 丷로 많이 쓴다. 예외로 兌(바꿀 태)를 다른 나라에서는 兑로 쓰는데, 대만에서는 兌 그대로 쓴다.] 하지만 컴퓨터 글꼴은 중국어 글꼴을 제외하고는 죄다 八로 돼 있다.[* 한문 시간에 한자 이름을 적어오라면 꼭 이 컴퓨터 글꼴을 보고 적어오느라 八을 人으로, 심지어는 宀(집 면, 갓머리)으로 적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틀린 것이다. 八이나 丷로 적어야 한다.] 일본어 글꼴의 경우 옛 버전에서는 丷이었으나 새 버전에서 八로 바뀌었다.[* 이는 鄭이 상용한자에 없기 때문에 바꾼 것으로 보인다. 鄭重(정중)은 일본어에서 丁重으로 [[당용한자/동음 대체|동음 대체]] 한다.] === 통계 === 이하의 통계는 2000년에 집계된 통계청 조사에 따른다. 비율은 인구 수 기준. ==== 지역별 ==== ||<#dcdcdc> ||<#dcdcdc> 인구 수 ||<#dcdcdc> 가구 수 ||<#dcdcdc> 비율 || || || 2,010,117|| 626,265|| || ||서울 || 411,077|| 128,445|| 20.5%|| ||경기 || 360,391|| 107,559|| 17.9%|| ||부산 || 189,557|| 58,176|| 9.4%|| ||경남 || 166,341|| 53,627|| 8.3%|| ||경북 || 124,122|| 40,488|| 6.2%|| ||대구 || 112,465|| 34,695|| 5.6%|| ||전남 || 100,457|| 33,364|| 5.0%|| ||인천 || 96,204|| 29,144|| 4.8%|| ||전북 || 74,405|| 23,605|| 3.7%|| ||광주 || 70,385|| 21,258|| 3.5%|| ||충남 || 69,077|| 21,973|| 3.4%|| ||충북 || 61,732|| 19,641|| 3.1%|| ||강원 || 59,202|| 19,481|| 2.9%|| ||대전 || 54,609|| 16,484|| 2.7%|| ||울산 || 47,574|| 14,427|| 2.4%|| ||제주 || 12,519|| 3,898|| 0.6%|| ==== 본관별 ==== ||<#dcdcdc> ||<#dcdcdc> 인구 수 ||<#dcdcdc> 가구 수 ||<#dcdcdc> 비율 ||<#dcdcdc> 비고 || || || 2,010,117|| 626,265|| || || ||[[동래 정씨|동래(東萊)]] || 442,363|| 137,524|| 22.0%||경주 정씨에서 분관 || ||[[경주 정씨|경주(慶州)]] || 303,443|| 94,465|| 15.1%||정씨의 큰집 || ||[[진주 정씨|진양(晉陽/진주)]] || 238,505|| 74,777|| 11.9%||경주 정씨에서 분관 || ||[[연일 정씨|연일(延日)]] || 216,510|| 67,418|| 10.8%||경주 정씨에서 분관 || ||[[하동 정씨|하동(河東)]] || 158,396|| 49,440|| 7.9%||경주 정씨에서 분관 || ||[[연일 정씨|영일(迎日)]] || 100,263|| 32,326|| 5.0%||경주 정씨에서 분관, [[연일 정씨]]와 같다. || ||나주(羅州) || 93,845|| 29,068|| 4.7%|| ||[[초계 정씨|초계(草溪)]] || 93,586|| 29,264|| 4.7%||경주 정씨에서 분관 || ||청주(淸州) || 39,256|| 12,271|| 2.0%||미확인 || ||[[해주 정씨|해주(海州)]] || 35,434|| 10,998|| 1.8%|| || ||[[연일 정씨|오천(烏川)]] || 30,650|| 9,485|| 1.5%||경주 정씨에서 분관, [[연일 정씨]]와 같다. || ||온양(溫陽) || 24,897|| 7,599|| 1.2%|| || ||봉화(奉化) || 23,173|| 7,272|| 1.2%|| || ||강릉(江陵) || 15,960|| 5,075|| || || ||서산(瑞山) || 15,362|| 4,764|| ||중국계 || ||[[광주 정씨| 광주(光州)]] || 15,149|| 4,717|| || || ||영광(靈光) || 10,939|| 3,367|| || || ||창원(昌原) || 8,512|| 2,596|| || || ||전주(全州) || 8,248|| 2,461|| ||[[연일 정씨]]에서 분파 || ||금성(金城) || 6,782|| 2,112|| ||하동 정씨에서 분파 || ||광산(光山) || 5,794|| 1,709|| || || ||함평(咸平) || 5,782|| 1,767|| || || ||영성(靈城) || 4,860|| 1,513|| || || ||진영(進永) || 4,659|| 1,424|| || || ||강진(康津) || 3,886|| 1,215|| || || ||청산(靑山) || 3,707|| 1,135|| || || ||동해(東海) || 3,423|| 977|| || || ||영월(寧越) || 3,295|| 1,015|| || || ||거창(居昌) || 3,231|| 995|| || || ||정주(定州) || 3,221|| 967|| || || ||장기(長鬐) || 3,206|| 1,011|| ||[[연일 정씨]]에서 분파 || ||경기(京畿) || 2,843|| 822|| || || ||고성(固城) || 2,817|| 901|| || || ||최계(  ) || 2,756|| 838|| || || ||공주(公州) || 2,740|| 862|| || || ||김해(金海) || 2,390|| 728|| || || ||밀양(密陽) || 2,345|| 692|| || || ||정선(旌善) || 2,322|| 697|| || || ||팔계(八溪) || 2,318|| 711|| || || ||안동(安東) || 2,114|| 649|| || || ||고령(高靈) || 2,072|| 654|| || || ||공산(公山) || 1,848|| 539|| ||공주 정씨와 동본 || ||담양(潭陽) || 1,777|| 592|| || || ||인동(仁同) || 1,776|| 532|| || || ||연안(延安) || 1,714|| 520|| || || ||합천(陜川) || 1,694|| 546|| || || ||야성(冶城) || 1,690|| 537|| ||[[연일 정씨]]에서 분파 || ||남원(南原) || 1,603|| 475|| || || ||곤양(崑陽) || 1,416|| 450|| ||진양 정씨에서 분파 || ||봉래(逢萊) || 1,342|| 422|| || || ||개성(開城) || 1,313|| 428|| || || ||월성(月城) || 1,301|| 392|| || || ||영덕(盈德) || 1,299|| 395|| ||야성 정씨와 동본 || ||경남(慶南) || 1,278|| 411|| || || ||남양(南陽) || 1,278|| 371|| || || ||충주(忠州) || 1,236|| 370|| || || ||해남(海南) || 1,223|| 368|| || || ||구례(求禮) || 1,215|| 400|| || || ||풍기(豊基) || 1,149|| 373|| || || ||한양(漢陽) || 1,123|| 335|| || || ||함양(咸陽) || 1,099|| 338|| || || ||낭야(瑯耶) || 1,088|| 335|| ||중국계 || ||영천(永川) || 1,074|| 332|| || || ||옥천(沃川) || 1,050|| 307|| || || ||남해(南海) || 991|| 304|| || || ||광양(光陽) || 961|| 306|| || || ||창녕(昌寧) || 945|| 270|| || || ||문화(文化) || 943|| 311|| || || ||천안(天安) || 935|| 288|| || || ||단양(丹陽) || 887|| 273|| || || ||최기(  ) || 869|| 272|| || || ||연희(  ) || 754|| 226|| || || ||대구(大邱) || 731|| 242|| || || ||연흥(  ) || 697|| 235|| || || ||부안(扶安) || 691|| 215|| || || ||김포(金浦) || 665|| 214|| || || ||원양(  ) || 657|| 224|| || || ||선산(善山) || 647|| 207|| || || ||순천(順天) || 603|| 178|| || || ||동명(  ) || 565|| 186|| || || ||영주(榮州) || 562|| 179|| || || ||의령(宜寧) || 560|| 170|| || || ||장성(長城) || 556|| 163|| || || ||순흥(順興) || 516|| 165|| || || ||남평(南平) || 508|| 162|| || || ||예산(禮山) || 456|| 141|| || || ||성산(星山) || 432|| 144|| || || ||파평(坡平) || 429|| 135|| || || ||능성(綾城) || 427|| 127|| || || ||대전(大田) || 422|| 134|| || || ||청송(靑松) || 413|| 128|| || || ||제주(濟州) || 412|| 128|| || || ||수원(水原) || 410|| 138|| || || ||보성(寶城) || 404|| 133|| || || ||예천(禮泉) || 400|| 147|| || || ||장흥(長興) || 360|| 106|| || || ||정산(定山) || 342|| 98|| || || ||돌산(突山) || 338|| 115|| || || ||영정(永定) || 330|| 112|| || || ||원주(原州) || 327|| 102|| || || ||행주(幸州) || 310|| 100|| || || ||보령(保寧) || 293|| 94|| || || ||문의(文義) || 288|| 83|| || || ||현풍(玄風) || 277|| 77|| || || ||남포(藍浦) || 275|| 101|| || || ||학성(鶴城) || 269|| 91|| || || ||서경(西京) || 265|| 104|| || || ||평해(平海) || 263|| 79|| || || ||죽산(竹山) || 247|| 71|| || || ||평택(平澤) || 238|| 68|| || || ||양평(楊平) || 229|| 65|| || || ||연백(延白) || 218|| 65|| || || ||평산(平山) || 213|| 61|| || || ||삼척(三陟) || 203|| 64|| || || ||관상(  ) || 176|| 53|| || || ||송강(松江) || 162|| 52|| || || ||옹진(甕津) || 151|| 48|| || || ||옥구(沃溝) || 148|| 46|| || || ||함창(咸昌) || 144|| 46|| || || ||팔송(  ) || 124|| 34|| || || ||상극(  ) || 97|| 22|| || || ||의안(義安) || 66|| 21|| || || ||백천(白川) || 9|| 3|| || || ||태천(泰川) || 7|| 3|| || || ||랑야(  ) || 7|| 2|| || || ||용인(龍仁) || 6|| 2|| || || ||법성(法城) || 3|| 1|| || || ||은율(殷栗) || 3|| 1|| || || ||달성(達城) || 2|| 0|| || || ||성주(星州) || 2|| 0|| || || ||오산(烏山) || 2|| 0|| || || ||철성(鐵城) || 2|| 0|| || || ||경성(京城) || 1|| 1|| || || ||봉해(  ) || 1|| 1|| || || ||양양(壤陽) || 1|| 0|| || || ||황주(黃州) || 1|| 0|| || || ||<#dcdcdc>기타 || 42|| 1|| || || ||<#dcdcdc>미상 || 1,587|| 78|| || || === 지역별 분포 === [[https://sgis.kostat.go.kr/statbd/family_01.vw|2015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주로 [[경상남도|경남]] 서부에서 높은 비율로 발견할 수 있는 성씨라고 한다. 이들 지역은 평균적으로 인구의 6% 이상이 정(鄭)씨인 곳으로, 전국의 정(鄭)씨 비율인 4.33%보다 상당히 많은 정(鄭)씨가 분포하고 있다. 그 외에도 [[경상북도]] [[영천시]]와 [[울릉군]]도 정(鄭)씨 비율이 높은 편에 속한다. 정(鄭)씨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경상남도]] [[하동군]]으로, 무려 인구의 '''10.12%'''가 정(鄭)씨다. 그 뒤를 [[경상남도]] [[남해군]](9.97%), [[전라남도]] [[함평군]](7.95%), [[경상남도]] [[진주시]](7.75%), [[경상남도]] [[거창군]](7.40%)이 이었다. 반대로 정(鄭)씨가 가장 적게 분포하는 지역은 [[충청남도]] [[서천군]]으로, 고작 인구의 '''2.72%'''만이 정(鄭)씨다. 그 뒤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2.76%), [[전라남도]] [[진도군]](2.95%), [[경상북도]] [[영덕군]](3.05%), [[인천광역시]] [[강화군]](3.14%)이 이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정(鄭)씨 인구는 최(崔)씨 인구에 밀리지만, 다수의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 전역에서는 최(崔)씨보다 정(鄭)씨 인구가 더 많다. 그리고 최(崔)씨와 정(鄭)씨의 인구 차이가 적은 다른 지역과는 다르게, 제주도는 정(鄭)씨 인구가 최(崔)씨 인구보다 눈에 띄게 많은 편이다. 본관별로 따지면 [[동래 정씨]]는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통영시]], [[거창군]], [[전라북도]], [[김제시]], [[경상북도]] [[청도군]] 등 전라북도와 영남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전라남도]] [[신안군]], [[진도군]], [[완도군]] 등 전라남도에 적게 분포한다. [[경주 정씨]]는 [[전라남도]] [[완도군]], [[순천시]], [[여수시]] 등 전라남도에 많이 분포하고, [[경상북도]] [[의성군]], [[안동시]], [[영덕군]] 등 경상북도에 적게 분포한다. [[진주 정씨]]는 [[경상남도]] [[하동군]], [[남해군]], [[진주시]] 등 경남 서부에 많이 분포하고, 그 외의 지역에는 0.1% 남짓한 비율로 적게 분포한다. [[연일 정씨]]는 [[강원도]] [[삼척시]], [[경상북도]] [[포항시]] 등 동해안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전라남도]] [[함평군]]과 [[해남군]] 등 호남 남서부에 적게 분포한다. [[하동 정씨]]는 [[전라남도]] [[보성군]]과 [[화순군]] 등 전라남도에 많이 분포하고, [[경상북도]] [[안동시]], [[의성군]], [[영덕군]] 등 경북 북부에 적게 분포한다. == [[丁]] == 시조가 중국계인 정덕성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나주정씨에서는 정덕성을 시조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나주 정씨의 인물 중 한 분이신 다산 [[정약용]] 선생도 도시조 정덕성에 대해 고증이 어렵다며 회의적으로 보았다. 나주 정씨는 고려 중기 검교대장군을 지낸 정윤종을 시조로 모시고 있다. 더불어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를 49명을 배출해냈다. [[복(성씨)|복]]씨와 함께 성씨 중 가장 적은 '''[[2]]'''획이고[* 한 一자가 부수이기 때문에 [[자전(사전)|자전]]에서는 가장 먼저 나온다.] 인구는 2015년 기준 243,803명. 과거에는 서민들이 호상으로 내세울 적당한 사람이 없을 때 만든 가공인물 정대일(丁大一)이 이 정씨다. === 통계 === ==== 지역별 ==== ||<#dcdcdc> ||<#dcdcdc> 인구 수 ||<#dcdcdc> 가구 수 ||<#dcdcdc> 비율 || || || 187,975|| 58,431|| || ||서울 || 45,127|| 14,044|| 24.0%|| ||경기 || 36,225|| 10,756|| 19.3%|| ||전남 || 21,161|| 7,188|| 11.3%|| ||광주 || 13,001|| 3,921|| 6.9%|| ||부산 || 11,935|| 3,638|| 6.3%|| ||인천 || 9,713|| 2,965|| 5.2%|| ||전북 || 9,698|| 3,074|| 5.2%|| ||경남 || 8,643|| 2,716|| 4.6%|| ||충남 || 6,011|| 1,894|| 3.2%|| ||경북 || 5,813|| 1,879|| 3.1%|| ||대구 || 5,581|| 1,711|| 3.0%|| ||대전 || 4,473|| 1,327|| 2.4%|| ||강원 || 3,746|| 1,219|| 2.0%|| ||충북 || 3,239|| 1,006|| 1.7%|| ||울산 || 2,602|| 792|| 1.4%|| ||제주 || 1,007|| 301|| 0.5%|| ==== 본관별 ==== ||<#dcdcdc> ||<#dcdcdc> 인구 수 ||<#dcdcdc> 가구 수 ||<#dcdcdc> 비율 ||<#dcdcdc> 비고 || || || 187,975|| 58,431|| || || ||나주(羅州) || 82,863|| 25,786|| 44.1%||압해 정씨에서 분파 || ||진주(晉州) || 24,598|| 7,661|| 13.1%|| || ||영광(靈光) || 21,774|| 6,839|| 11.6%||압해 정씨에서 분파 || ||창원(昌原) || 16,141|| 4,989|| 8.6%||압해 정씨에서 분파 || ||영성(靈城) || 10,429|| 3,279|| 5.5%||영광(靈光)의 옛지명 || ||곡성(谷城) || 9,620|| 2,984|| 5.1%|| || ||해주(海州) || 5,381|| 1,683|| 2.9%|| || ||압해(押海) || 3,335|| 1,079|| 1.8%|| || ||의성(義城) || 2,951|| 902|| 1.6%||압해 정씨에서 분파 || ||달성(達城) || 2,778|| 851|| 1.5%|| || ||무안(務安) || 2,248|| 709|| 1.2%|| || ||창녕(昌寧) || 1,536|| 457|| || || ||장성(長城) || 1,056|| 317|| || || ||영산(靈山) || 964|| 283|| || || ||파주(坡州) || 958|| 297|| || || ||한일(  ) || 481|| 155|| || || ||삼옥(  ) || 349|| 120|| || || ||금성(錦城) || 7|| 3|| ||나주(羅州)의 옛지명 || ||부창(  ) || 3|| 1|| || || ||남관(  ) || 1|| 0|| || || ||대원(  ) || 1|| 1|| || || ||인천(仁川) || 1|| 0|| || || ||<#dcdcdc>기타 || 32|| 3|| || || ||<#dcdcdc>미상 || 468|| 32|| || || == 程 == 본관이 여럿 있지만, 모두 한산 정씨에서 갈려 나온 것.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성씨 및 본관 집계 결과에 따르면, 인구 수 32,519명과 가구 수 10,220호로 성씨 중에서 인구 순위 75위다. 본명이 정소(程潇)인 [[성소(우주소녀)|성소]]가 이 성씨를 쓴다. [[천녀유혼 시리즈]]의 영화감독 정소동(程小东) 역시 이 성씨다. 그 외에 알려진 인물은 [[해태 타이거즈]] 사장을 지냈던 정기주(程己柱)가 있다.[[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19981103/7392182/1|#]] === 통계 === ==== 지역별 ==== ||<#dcdcdc> ||<#dcdcdc> 인구 수 ||<#dcdcdc> 가구 수 ||<#dcdcdc> 비율 || || || 32,519|| 10,220|| || ||서울 || 7,072|| 2,215|| 21.7%|| ||경기 || 6,786|| 2,119|| 20.9%|| ||광주 || 2,282|| 673|| 7.0%|| ||경남 || 2,058|| 632|| 6.3%|| ||인천 || 2,000|| 631|| 6.2%|| ||전북 || 1,885|| 624|| 5.8%|| ||부산 || 1,790|| 553|| 5.5%|| ||전남 || 1,640|| 563|| 5.0%|| ||대구 || 1,396|| 452|| 4.3%|| ||대전 || 1,312|| 412|| 4.0%|| ||충남 || 1,226|| 362|| 3.8%|| ||경북 || 961|| 317|| 3.0%|| ||충북 || 799|| 243|| 2.5%|| ||강원 || 653|| 222|| 2.0%|| ||울산 || 475|| 150|| 1.5%|| ||제주 || 184|| 52|| 0.6%|| ==== 본관별 ==== ||<#dcdcdc> ||<#dcdcdc> 인구 수 ||<#dcdcdc> 가구 수 ||<#dcdcdc> 비율 ||<#dcdcdc> 비고 || || || 32,519|| 10,220|| || || ||동래(東萊) || 10,632|| 3,321|| 32.7%|| || ||경주(慶州) || 9,026|| 2,934|| 27.8%|| || ||하남(河南) || 7,766|| 2,355|| 23.9%||중국계 || ||강릉(江陵) || 1,517|| 514|| 4.7%|| || ||한산(韓山) || 1,153|| 365|| 3.5%|| || ||광주(光州) || 1,023|| 329|| 3.1%|| || ||부리(富利/금산) || 331|| 90|| 1.0%|| || ||영풍(永豊/함평) || 321|| 99|| || || ||적성(赤城/순창) || 219|| 60|| || || ||낭천(狼川) || 151|| 51|| || || ||유등(柳䓁) || 122|| 41|| || || ||토산(兎山) || 109|| 33|| || || ||사탄(史呑/춘천) || 83|| 23|| || || ||화천(華川) || 1|| 0|| || || ||<#dcdcdc>기타 || 7|| 1|| || || ||<#dcdcdc>미상 || 58|| 4|| || || == 그 밖에 == * 모음의 길이 구별이 사실상 사라진 현재는 큰 의미는 없는 이야기지만, 丁 씨와 程 씨는 짧게 발음하고, 鄭 씨는 [정ː]으로 길게 발음한다. * 가상의 성씨 情 씨로는 [[새미 라샤드|정새미]]가 있다. === 외국어 표기 === ==== 로마자 ==== 5대 성씨 김, 이, 박, 최, 정 중 로마자 표기가 가장 중구난방인 성씨이다. 김, 이, 박, 최는 각각 Kim, Lee, Park, Choi[* 요즘은 Chwe라고도 많이 한다. Choi는 초이, Chwe는 췌인데 췌와 최의 발음은 비슷하니까. 그리고 과거에는 ㅚ가 단모음이었다는 점을 살려서 'Choe', 혹은 프랑스어식으로 'Cheu'라고 쓰는 경우도 있었으나, 현대 한국어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가 다른 표기들에 비해 압도적인 비율로 사용되어 사실상 로마자 표기가 통일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비록 넷 다 로마자 표기법에 맞지는 않지만), 정은 [[2011년]] [[외교부]] [[여권]] 자료에 따르면 Jung이 약 41%, Jeong이 약 32%, Chung이 약 15% 정도의 비율로 쓰여 어느 한 표기가 다른 표기에 비해 절대적으로 우세하지 않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Jeong,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Chŏng이다. 후술하겠지만 야구선수들의 표기법을 보면 얼마나 다양한지 알 수 있다. [[정근우]]는 '''Jeong''', [[정우람]]은 '''Jung''', [[정수근]]은 '''Chung''', [[정현욱(1977)|정현욱]]은 '''Jong''', [[정대현(1978)|정대현]]은 '''Chong''' 이라고 표기한다. 실제로 이메일 쓸 때 jung인지 jeung인지 jeong인지 chung인지 찾기 번거롭다는 이유로 정(鄭) 씨가 제일 싫다고 한 사람도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4463795|있다]]. 심지어 한 가족 내에서 Jung, Cheong, Jeong, Chung이 모두 쓰이는 [[http://readygotour.com/359|경우]]도 존재한다. 물론 저 경우와 같이 가족 구성원 모두가 성인이고 각자가 독립적으로 생활한다면 한 가족 내의 성씨 표기가 다른 게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가족 내에 미성년자(동반 자녀)가 있거나 가족이 함께 외국에서 장기간 체류할 예정이라면 저렇게 성씨 표기가 다른 게 좀 골치 아플 수 있다. 한 가족의 여권 성씨 표기를 통일하기 위해서는 외교부에 성씨의 표기가 반드시 통일돼야 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자료(예: 이민 관련 서류 등)를 따로 제출해서 외교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므로, 한 가족 내의 성씨 표기는 되도록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 가족 구성원 중 맨 처음 여권을 발급받은 사람의 성씨 표기를 따라가는 것이 좋다. 만약 가족 구성원 중 아무도 여권을 발급받은 적이 없다면 자기가 원하는 표기로 선수를 치는 것도 가능하다. 예전에는 여권을 신청하러 가면 시청/군청/구청 직원들이 정 씨는 CHUNG으로 쓰라고 했던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6&dirId=61302&docId=693445|증언 1]],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2082718|증언 2]]). 이는 1984년 ~ 2000년 당시의 표준 표기(당시에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다소 변형한 표기법을 사용했다)였던 CHŎNG에서 여권에 쓸 수 없는 Ŏ만 영어식으로 U로 바꾼 철자로 보인다. 실제로 1980년대 ~ 1990년대에는 CHUNG으로 여권을 신청한 사람들이 제법 있었고, 그 영향으로 현재도 그 자녀는 Chung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저명 인사들 중에도 Chung으로 쓰는 사람들이 꽤 있다. 그리고 만약 영어권에서 생활할 예정이고 성씨의 발음을 정정해 주기 귀찮은 사람이라면(또는 영어 화자들이 한번에 발음해 주는 것을 신경 쓰는 사람이라면), Chung을 쓰는 것이 좋다. Jung은 한번에 '정'으로 잘 발음해 주는 영어권 사람도 있지만 그들조차 '융'이나 '영'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고[* Jung을 '융'으로 발음하는 것은 물론 카를 융(Carl Jung)이나 융프라우(Jungfrau) 등의 영향일 것이다. Jung을 '영'으로 발음하는 것은 모음 u만 영어식으로 [ʌ\](short u)로 발음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영어 화자들은 외국어 유래의 단어를 발음할 때 자음은 원어 발음과 비슷하게 하고(다만 '융'이나 '영'으로 발음하는 경우는 J의 원어 발음이 [j\](영어 y)라고 착각한 것임) 모음은 영어식으로 변형해 발음하거나, 자음과 모음을 그 반대로 하는 경우가 있다. [[독일어]] 및 게르만어 계통의 언어에 대해 조금 알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성씨가 정씨라면 일부러 Jung라고 쓰고, 독일어식으로 '융' 비슷하게 읽어달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그 의미도 영어로 Young(젊은, 젊음)으로 나쁘지 않기 때문. 그리고 독일어권 및 조상이 독일계인 다른 지역 사람들 사이에서도 그리 드문 성씨가 아니다.], Jeong은 아예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 감도 안 잡히는지 어떻게 발음해 주기를 원하느냐고 묻는 경우가 적지 않다. [* 영미권 사람들은 대부분 '지옹'이라고 읽는다. 'Neo'의 영어발음인 '니오'를 생각해보자.]반면 Chung은 영어권 사람들이 한번에 잘 발음해 준다. 실제로 Jeong을 쓰는 사람이 Chung을 추천한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12&docId=60125498#answer5|사례]]도 있다. 김, 박, 조 씨가 주로 Kim, Park, Cho로 적듯이, 정 씨를 Chung으로 적는 것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 또한 음성적으로도 한국어의 ㅈ은 어두에서 무성음이기 때문에 ch로 적는 것은 충분히 근거가 있으며, 실제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이 점을 반영하여 어두의 ㅈ을 ch로 적는다. 반면 정씨의 로마자 표기가 다양하여 혼동이 잦은 대한민국과 달리, [[북한]]의 경우 고정적으로 'Jong'을 사용한다. 해당 철자는 북한이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기초하되 어두 'ㅈ'을 'ch'가 아닌 'j'로만 쓰게 한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북한의 공식 표기법으로는 'Jŏng'이지만, 북한의 경우 공식 발행물에서도 대부분 반달표를 일괄 생략하여 표기한다. 유명인들이 사용하는 로마자 표기들은 다음과 같다. * Chong: [[정대현]] * Chung[* Chung은 [[중화권]]에서 성씨 鍾의 표기로도 사용된다. [[질리안 청]](Gillian Chung)의 성씨 Chung도 鍾이다.]: [[정운조(법관,교수)]]와 그 자손 ([[정규관(농학박사,교수)]]), 정 트리오([[정명화]], [[정경화]], [[정명훈(지휘자)]]), [[퍼즐릿 정]], [[정주영(경제기업인]]과 그 자손([[정몽구]], [[정몽근]], [[정몽헌]], [[정몽준]] 등), [[정동영(정치인)]], [[피터 정(이온 플럭스로 알려진 재미 교포)]], [[정현(테니스)]] * Jeong: [[정성훈]], [[정근우]], [[정은지]], [[정예인]] * Jong: [[정현욱(1977)|정현욱]], [[정대세]] * Jung: [[정운조(법관,교수)]]와 그 자손 ([[정규관(농학박사,교수)]])와 그 자손 ([[정현정(경제기업인]]), [[정성룡]], [[제시카(가수)]], [[크리스탈(가수)]], [[사이먼 도미닉(가수)]], [[정채연]], [[정택운]],[[정진영]] ==== 한자권 ==== 중국도 중구 난방이라 이것저것 쓰이지만 세개로 나누면 대부분 Zheng(鄭), Ding(丁), Cheng(程)으로 쓴다. 일본의 경우 로마자의 표기에 따라 [[춍|チョン]]이라고 쓰이기도 하지만, 다수는 그냥 ジョン 이라고 한다. 그런다고 해도 워낙에 까다로운 이름이라 성 말고 이름으로 불러주기를 원하는 사람들도 많다. == [[정(성씨)/목록|실존 인물 및 가상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성씨)/목록)] [각주] [[분류:정씨]][[분류:성씨/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