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백제계 도래인]][[분류:전설 및 신화 속 왕족]] || '''왕명''' || '''정가왕(禎嘉王/貞嘉王)'''[br] '''정가제(貞嘉帝)''' || ||'''성씨''' || '''[[부여(성씨)|부여]]?''' || || '''생년''' || '''미상''' || || '''몰년''' || 756년?[* 미카도 신사의 전승이 기록된 비목대명신록기(比木大明神縁起)의 기록. 이전 문서는 718년으로 기록했는데, 718년은 미카도 신사의 창건시기로 전해지는 연도다.] || == 개요 == [[일본]] [[규슈]] [[미야자키 현]]에 위치한 [[미카도]] [[신사]]의 제신으로 섬겨진 [[백제]]의 [[왕족]]. 한국이나 일본의 주요 역사 기록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신사]] 측의 [[전승]]이 남아있어 전해지는 인물이다.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고려)|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고려)|서균]](徐鈞) [[서린(고려)|서린]](徐璘), [[서원(고려)|서원]](徐元) [[서공(고려)|서공]](徐恭) [[서성(고려)|서성]](徐成) [[서순(고려)|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고려1)|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고려)|서원경]],[[서충(고려)|서충]],[[서신(고려)|서신]],[[서윤(고려)|서윤]],[[서후상]],[[서윤현(고려)|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고려)|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고려1)|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고려)|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고려)|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고려3)|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고려)|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고려1)|서보]](徐寶 공조전서.정3품 .장관)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고려)|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고려)|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전승 == 대체적인 전승은 다음과 같다. 백제왕족 정가왕과 아들 복지왕은 백제가 멸망한 후 일본의 나라, 오사카 지방에 정착하게 된다. 그러다 덴노가의 권력 다툼에 휘말려 일본에서 일어난 내란을 피하기 위해 규슈 지역으로 도피했던 정가왕과 장남 복지왕은 각각 미카도과 히키 지역에 도착해 자리잡게 되었다. 하지만 718년 적군의 추격으로 정가왕과 차남 화지왕은 전투에서 전사했고, 히키 지역에서 군을 끌고 온 장남 복지왕이 적군을 제압했다고 한다. 사후 정가왕의 시신은 마을 입구에 묻혔다고 하며, 쓰카노하라(塚の原) 고분이 정가왕의 무덤이라고 전해진다. 왕을 모시던 시녀 등 12명이 자살했다는 전승도 있다고 한다. == 가족관계 == 전승에서 등장하는 정가왕의 가족들은 다음과 같다. * 왕후: 이름 미상. 사후 대년대명신(大年大明神)으로 숭배되어 신사에 모셔졌다고 한다. * 장남 복지왕(福智王): 사후 히키 신사에서 섬겨졌다. * 차남 화지왕(華智王) * 삼남 백지왕(伯智王) 정가왕, 복지왕 부자의 전승이 기록된 문헌인 비목대명신록기(比木大明神縁起)에 의하면 [[부여풍]]의 아들 부여사(扶餘絲)가 일본으로 망명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때문인지 [[부여풍]]이 이들과 관련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 기타 == * [[1993년]] [[대전 엑스포]] 당시 정가왕과 복지왕 부자의 신위가 부소산 객사에 봉헌되었다. 또한 유품으로 알려진 거울 등 17점이 대전 엑스포에서 전시되기도 했었다. [[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3733924|백제왕족 정가왕과 아들 복지왕의 신위 부여 찾아]]. * 1995년 김유진 작가의 책 백제 이야기에서 정가왕 일화가 소개되었다. 정가왕의 가족들로 왕후, 장남 복지왕, 차남 화지왕, 삼남 백지왕이 등장하며 백강 하구에서 출발해 당나라군의 추격을 따돌리게 된다. 이후 일본 기나이 지역에 정착했는데, 일본의 내란을 피해서 다시 배를 타고 큐슈로 떠나는 도중 왕후와 복지왕 일행과 떨어지게 되었는데 다시 조우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 현재까지도 개최되는 [[미사토초(미야자키)|미사토 정]]의 [[시와스마츠리]] 축제는 정가왕 부자의 넋을 기리는 축제다. [include(틀:포크됨2, title=정가왕, d=2022-07-15 02:3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