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moonji.com/620-160x245.jpg]] 鄭과리 [[1958년]] ~ [목차] == 소개 == 본명은 --정[[꽈리]]가 아닌--정명교(鄭明敎)로,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본관은 [[연일 정씨]]. 정과리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의 문학평론가이자 [[대학교]] [[교수]]이다. == 생애 == 1958년 3월 8일[[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군]](현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81년 불어불문학 석사 학위[*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74123|文學史 記述方法에 관한 試論 : 文學性의 논의와 결부하여]](문학사 기술방법에 관한 시론 : 문학성의 논의와 결부하여).]를, 1993년 불어불문학 박사 학위[*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39739|크레티엥 드 트르와 소설의 구성적 원리 : 프랑스 근대 소설의 기원에 관한 연구]].]를 취득했다. 이후 [[해군사관학교]]에서 [[프랑스어]] 교수로서 군 복무를 마쳤다.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데뷔, 1984년부터 2000년 1학기까지 [[충남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00년 2학기부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인문학상]] 종신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 여담 == 한국문학사에서 최고로 손꼽는 문학평론가 중 하나인 [[김현(문학가)|김현]]의 직계 수제자이자 후계자로, 1980~1990년대에 활발히 활동한 평론가로 정평이 나있다. 특히 [[고종석]]은 [[1988년]] 정과리 평론가가 갓 서른의 나이로 <민중문학론의 인식 구조>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창작과비평]]의 민족문학, 민중문학을 이론적으로 완전히 분쇄했다고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문학과지성사]]에서 발간했던 문예지 [[문학과지성]]을 계승하여 1988년 [[문학과사회]]로 재창간, 2004년까지 이끌었던 편집동인이다. [[조선일보]]에서 주관하는 [[동인문학상]]의 종신 심사위원임에도 불구하고 보수 신문이나 방송에 대해 일침을 놓을 줄 아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정한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평가. 불문과 출신으로서는 드물게 국문과 교수로 있으며 그 때문인지 비교문학, 문학비평, 문학이론 등에 관해 강의한다. 공식적인 생일이 언제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여러 가지 추측이 있지만 그가 직접 밝힌 적이 없다. 아무래도 영원한 미스터리로 남을 듯. == 수상 == * 1992년 제4회 <소천비평문학상> * 2000년 제45회 <현대문학상>(평론부문) * 2000년 제11회 <팔봉비평문학상> * 2005년 제16회 <김환태평론문학상> * 2005년 제13회 <대산문학상>(평론부문) * 2015년 제25회 <편운문학상>(평론부문) == 저서 == === 비평집 === * 문학, 존재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1985) * 존재의 변증법 2 (청하, 1986) * 스밈과 짜임 ([[문학과지성사]], 1988) * 무덤 속의 마젤란 ([[문학과지성사]], 1999) * 문학이라는 것의 욕망 (역락, 2005) * 네안데르탈인의 귀환 ([[문학과지성사]], 2008) * 네안데르탈인의 귀향 ([[문학과지성사]], 2008) * 글숨의 광합성 ([[문학과지성사]], 2009) * 1980년대의 북극꽃들아, 뿔고둥을 불어라》([[문학과지성사]], 2014) * Un désir de littérature coréenne, (Aix-en-Provence: DeCrescenzo éditeurs, 2015) === 편저 === * 시야 너 아니냐 ([[문학과지성사]], 1997) : 공편(문학과지성 시인선 200호 기념시선) * 마종기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 김치수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2000) * 문학과지성사 30년 ([[문학과지성사]], 2005) : 공편 * 유종호 깊이 읽기 ([[민음사]], 2006) * 정명환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2009) * 문학의 교육 문학을 통한 교육 ([[문학과지성사]], 2009) : 공편 === 연구서 === * 21세기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9) : 공저 * 영원한 시작 ([[민음사]], 2005) : 공저 * 근대적 육체와 일상의 발견 (경희대학교출판국, 2006) : 공저 * 21세기 다윈 혁명 ([[민음사]], 2009) : 공저 * 감염병과 인문학 (강, 2014) : 공저 * 김수영 연구의 새로운 진화 (보고사, 2015) : 공저 * 근현대 한국의 지성과 연세 (혜안, 2016) : 공저 * 근대소설의 기원에 관한 한 연구 (역락, 2016) * 뫼비우스 분면을 떠도는 한국문학을 위한 안내서 ([[문학과지성사]], 2016) * 문학과 법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 공저 * 문자와 예술 (한국문화사, 2020) : 공저 * ‘한국적 서정’이라는 환(幻)을 좇아서 ([[문학과지성사]], 2020) === 산문집 === * 문명의 배꼽 ([[문학과지성사]], 1998) * 문신공방 하나 (역락, 2005) * 들어라 청년들아 (사문난적, 2008) * 문신공방 둘 (역락, 2018) * 문신공방 셋 (역락, 2018) === 역서 === * 루시앙 골드만 - 숨은 신(연구사, 1986) : 공역 * 장 뤽 낭시 - 나를 만지지 마라([[문학과지성사]], 2015) : 공역 [[분류:1958년 출생]][[분류:연일 정씨]][[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문학 교수]][[분류:해군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