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전 하나 시티즌/로스터/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정광석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정광석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부산 아이파크/역대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정광석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신인상'''}}} || ||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3224;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5.1|{{{#ffffff '''1993 K리그 영플레이어상'''}}}]]}}}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841 44%, #007E6E 44%, #007E6E 44.5%, #972841 44.5%, #972841 45.5%, #007E6E 45.5%, #007E6E 46%, #972841 46%, #972841 47%, #007E6E 47%, #007E6E 48%, #972841 48%, #972841 49%, #007E6E 49%, #007E6E 50%, #972841 50%, #972841 51%, #007E6E 51%, #007E6E 52%, #972841 52%, #972841 53%, #007E6E 53%, #007E6E 54%, #972841 54%, #972841 54.5%, #007E6E 54.5%, #007E6E 55.5%, #972841 55.5%, #972841 56%, #007E6E 56%)" {{{+1 [[대전 하나 시티즌|{{{#ffffff ''' 대전 하나 시티즌 수석 코치 '''}}}]]}}}}}} || ||<-3> [[파일:대전 하나시티즌 워드마크 영문 (화이트).svg|height=22]]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ach_02_20230224_130848.jpg|width=100%]]}}} || ||<-2> {{{#fff,#e5e5e5 ''' 이름 ''' }}} || {{{+1 '''정광석'''}}}[br]'''鄭光錫 | Jung Kwang-Seok''' || ||<-2> {{{#ffffff,#e5e5e5 ''' 출생 ''' }}} ||[[1970년]] [[10월 1일]] ([age(1970-10-01)]세) || ||<-2> {{{#ffffff,#e5e5e5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e5e5e5 ''' 직업 ''' }}}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br][[축구 감독]] || ||<-2> {{{#ffffff,#e5e5e5 ''' 학력 ''' }}} ||[[동북중]] - [[동북고]] - [[성균관대학교]] || ||<|4> {{{#fff,#e5e5e5 ''' 소속 ''' }}} || {{{#fff,#e5e5e5 ''' 선수 ''' }}} ||'''[[대우 로얄즈]] (1993~1998)''' [br]{{{-1 → [[상무 축구단]] (1995~1996 / 군 복무)}}} || || {{{#fff,#e5e5e5 ''' 감독 ''' }}} ||[[원삼중학교]] 축구부 (2002~2004)[br][[광양제철중학교 축구부|전남 드래곤즈 U-15]] (2008)[br][[용인시청 축구단]] (2010~2014)[br]용인 양지 FC U-18 (2017~2021) || || {{{#fff,#e5e5e5 ''' 코치 ''' }}} ||[[광양제철고등학교 축구부|전남 드래곤즈 U-18]] (2007)[br][[대전 하나 시티즌]] (2023~ / 수석 코치) || || {{{#fff,#e5e5e5 ''' 기타 ''' }}} ||[[전남 드래곤즈]] (2009 / 스카우터)[br][[우석대학교]] 축구부 (2015~2016 / 테크니컬 디렉터)[br][[대전 하나 시티즌]] (2022 / 유스 디렉터) || ||<-2> {{{#ffffff,#e5e5e5 ''' 국가대표 ''' }}} ||8경기^^([[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1990~1992)^^ || ||<-2> {{{#ffffff,#e5e5e5 ''' 서명 ''' }}} ||[[파일:정광석서명.png|height=8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 선수 경력 == [[성균관대학교]] 재직 시절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과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선발될 만큼 촉망받던 유망주였던 정광석은 1993년 [[대우 로얄즈]]에서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K리그 신인 선수상을 수상하였다. 1998시즌에는 대우의 주장을 맡기도 했으며 98시즌 종료 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프로 4년 동안 79경기 3득점 2도움을 기록했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2002년부터 [[허정무]]가 총감독으로서 설립한 용인시축구센터 소속 [[원삼중학교]] 축구단 창단 감독으로 용인 꿈나무를 육성해 오면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2004년 중등부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후 2005년 AFC A급 자격증을 땄다. 2007년 허정무가 있던 [[전남 드래곤즈]]로 건너가 [[광양제철고등학교]]와 [[광양제철중학교]]를 지도하였으며, 특히 2008년에는 광양제철중학교 감독직 부임 한달만에 팀의 춘계 연맹전 우승을 이끌며 '''2009년 [[대한축구협회]] 최우수지도자상'''을 수상했다. 2010년, 원삼중 시절 이후 5년 만에 용인으로 돌아와 [[한국 내셔널리그|내셔널리그]] [[용인시청 축구단]]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대우 로얄즈]] 시절 동료이자 당시 음주운전 사건으로 불명예스럽게 프로 선수 커리어를 마감한 [[이민성]]을 플레잉 코치로 영입하기도 했다. 창단 첫해 14개 구단 중 종합 성적 6위를 달성하며 성공적인 첫 걸음을 내딛는 듯했다. 하지만 민선 5기가 출범하면서 구단주인 용인시장이 바뀌면서 직장경기부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예산을 절반 이상 삭감하면서 축구단의 예산 역시 큰 폭으로 깍았다. 창단 첫 해의 돌풍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공격진 강화가 절실했지만 선수 추가 영입은 고사하고 운영비 절감을 위해 오히려 있는 선수들을 내보내는 등 선수 구성에 애를 먹는 등 연이은 악재 속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용인시청 축구단은 예산 부족으로 승리 수당을 챙기지 못하는 등 재정 상황이 좋지 않았던 곳이었고 2016년 해체하기에 이른다.] 2014시즌까지 용인을 지휘한 뒤 감독직에서 물러나 [[우석대학교]] 축구부 테크니컬 디렉터를 거쳐 2017년 용인으로 돌아와 용인 양지FC 고등부 감독으로 유소년을 지도했다.[* [[대전 하나 시티즌]] [[전병관(축구선수)|전병관]]도 양지 FC 출신이다.] 2022년 과거 용인 감독 재직 시절 제자이자 코치였던 [[이민성]]이 감독으로 있는 [[대전 하나 시티즌]]의 유스 디렉터로 부임했다. 2023년에는 김종영 코치를 대신해 수석 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 여담 == * 대전에서 보좌했던 [[이민성]] 감독보다도 더 나이가 많다.[* 당장 대전 2018년의 경우에도 70년생인 [[이기범]] 코치와 75년생 [[김진우(축구인)|김진우]] 코치가 78년생인 고종수 감독보다 나이가 더 많았으며, 2022시즌 팀의 수석 코치였던 [[김종영(축구)|김종영]] 코치도 이민성 감독보다 나이가 많았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도 과거 [[신태용]] 감독보다 [[토니 그란데]] 수석코치가 나이가 훨씬 많았으며, [[울리 슈틸리케]]보다도 카를로스 아르무아 코치가 더 나이가 많았다.] * 아이러니하게도 [[용인시청 축구단]] 감독 시절 지도했던 제자이자 코치였던 [[이민성]]을 [[대전 하나 시티즌]]에서는 감독으로 보좌하게 되면서 둘의 상황이 바뀌게 되었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야구에서 [[조원우]] 감독이 [[롯데 자이언츠]] 감독 시절에는 [[김원형]] 코치의 보좌를 받았으나, 이후 [[SSG 랜더스]]에서는 김원형이 감독, 조원우가 코치로 선임되었다.][* [[이승엽]]의 경우 2017시즌 팀의 감독이었던 [[이만수]] 감독을 2023년 [[두산 베어스]]의 코치로 데려오기도 했다.] [[분류:1970년 출생]][[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수비수]][[분류:1993년 데뷔]][[분류:1998년 은퇴]][[분류:부산 아이파크/은퇴, 이적]][[분류:부산 아이파크/역대 주장]][[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참가 선수]][[분류:1987 FIFA U-16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캐나다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용인시청 축구단/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