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경기도)] [[파일:external/rokps.or.kr/465.jpg|width=150]] 丁大天 [[1909년]] [[12월 7일]] ~ [[1991년]] [[5월 6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노동운동가, [[정치인]]이다. 본관은 [[나주 정씨(丁)|나주]](羅州)[* 교리공파(校理公派)-사직공계(司直公系) 25세 '''대(大)○''' 항렬.]. == 생애 == 1909년 12월 7일 [[경기도]] 교하군(현 [[파주시]] [[운정신도시]] 지역)에서 아버지 정학주(丁學疇, 1840. 6. 22 ~ 1916. 2. 29)와 어머니 [[전주 이씨]](1868. 5. 14 ~ 1936. 2. 21)[* 이광신(李光信)의 딸이다.] 사이의 6형제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교하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제강점기]] [[한국전력공사|경성전기주식회사]]에서 근무하였다. [[8.15 광복]] 이후 [[한국노동조합총연맹]]에서 중앙본부부위원장, 최고위원 등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기도 파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동환(1906)|이동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대한[[탁구]]협회 [[서울특별시]]지부 부[[회장]]이 되었다. 또한 [[서울특별시청]] 노동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당에서 중앙위원이 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황인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게다가 3.15 부정선거에 가담하였다는 이유로 파주군민들에 의해 고소되었다. 1961년 [[3.15 부정선거]] 가담을 이유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공민권이 제한되고 구속 수감되었다가 [[5.16 군사정변]] 이후인 같은 해 말 석방되었다. 1971년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중앙위원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1967년)|신민당]] [[고흥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1년 5월 6일 [[서울특별시]] [[성동구]] [[구의동]][* 1995년 3월 1일 [[광진구]]가 [[성동구]]에서 분구되면서, 광진구에 편입되었다.] 방지거병원[* 2002년 7월 2일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35|최종부도 처리되었다]].]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050700209222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5-07&officeId=00020&pageNo=22&printNo=21465&publishType=00020|별세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파주시 출신 인물]][[분류:나주 정씨(丁)]][[분류:1909년 출생]][[분류:1991년 사망]][[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