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정두흠}}}[br]鄭斗欽'''}}}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두흠 초상화.jpg|width=100%]]}}} || ||<|2> '''출생''' ||[[1832년]] [[10월 28일]] ||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군/행정|유치면]] 운월리 || ||<|2> '''사망''' ||[[1910년]] [[10월 25일]] (향년 77세) || ||[[전라남도]] [[장흥군]] || || '''자 / 호''' ||응칠(應七), 운암(雲巖) || || '''서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22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1832년 10월 28일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운월리에서 태어났다. 1910년 [[경술국치]]로 인해 국권 피탈이 일어나던 시기, 음력 10월에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국권상실 소식을 듣고 자결 순국하였다. 실제로 이전에 [[을사조약]]을 반대하면서 [[민영환]], [[조병세]]가 자결한 유사한 사례가 있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2년 정두흠과 그의 후손 고손자 정창규 씨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1832년 출생]][[분류:1910년 사망]][[분류:장흥군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자살한 인물]][[분류: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