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Ruklamba-the-Spirit-King.jpg]] || 한글판 명칭 ||<-4>'''정령왕 루크라이바'''|| || 일어판 명칭 ||<-4>'''[ruby(精霊王, ruby=せいれいおう)]ルクランバ'''|| || 영어판 명칭 ||<-4>'''Ruklamba the Spirit King'''||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어둠 || 악마족 || 1000 || 2000 || ||<-5>이 카드를 가진 플레이어가 1000 포인트 이상의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제물로 바친다. 필드에 공격력의 합계가 2000 이하가 되도록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앞면 공격 표시로 소환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빅5(유희왕)|빅5]]의 일원인 [[오오시타 코노스케]]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엘프 검사(유희왕/카드군)#번롱하는 엘프 검사|번롱하는 엘프 검사]]의 직접 공격으로 데미지를 받았을 때 특수 소환되었으며, 다음 유우기의 턴에 자신을 릴리스하여 [[환상의 벽]]과 또다른 정령왕 루크람바를 특수 소환했다. 그 후 필드가 비어버린 유우기에게 직접 공격했으나 [[크리보]]의 [[덱 마스터]] 능력에 의해 막혀버렸다. [[저승사자 고즈]]처럼 데미지 발생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최상급 효과 몬스터. 비록 능력치도 더 낮고, 특수소환하는 몬스터 또한 패에서 꺼내오는 것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패가 말릴 우려가 생기지만, 자기 라이프에 데미지만 생기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 때나 자기 카드로도 데미지를 받고 특수소환시킬 수 있다. 상대 턴에 특수 소환 했다면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막는 벽으로 쓰일 수 있고, 자신의 턴에 특수 소환했다면, 패가 마르지 않는 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여 각종 소재로 써먹을 수 있다. 모티브는 [[오세아니아]] 전승에 등장하는 정령의 왕 루크람바로, 모든 [[마사라이]]를 통솔한다고 전해진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RuklambatheSpiritKing-GB8-JP-VG.png]] || 한글판 명칭 ||<-4>'''정령왕 루크람바'''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精霊王, ruby=せいれいおう)]ルクランバ'''|| || 영어판 명칭 ||<-4>'''Ruklamba the Spirit King'''||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환상마족 || 파충류족 || 1000 || 2000 || ||<-5>모든 정령의 지배자라고 전해지는 파충류 생물. 흔히 볼 수 없는 희귀한 존재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 등장. 능력치는 그대로지만 원작과는 달리 일반 몬스터로 나와버리는 바람에 [[셰이프 스내치]]를 능가하는 최강의 [[잉여]]카드로 전락했다. 아무래도 당시에는 저 효과를 구현하기엔 너무 사기적이라고 여긴 듯. === 기타 === 디자인은 유명 만화가 [[미즈키 시게루]]가 1985년에 발매한 '세계 요괴 사전'에서 나왔던 루크람바의 모습을 예상해서 그린 일러스트 디자인을 무단도용한 것이다. 따라서 일러스트를 완전히 수정하는게 아닌이상 그대로 OCG화 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https://m.dcinside.com/board/yugioh_ani/17459|*]] 특히 똑같은 사례인 셔틀로이드가 어떤 꼴 났는지를 생각해보면 더더욱.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