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정 군주)] |||||| '''{{{#ece5b6 정(鄭)나라 11대 국군[br]{{{+1 목공}}}[br] 穆公}}}'''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정(鄭) || |||| '''[[휘|{{{#ece5b6 휘}}}]]''' |||| 란(蘭) || |||| '''{{{#ece5b6 아버지}}}''' |||| [[정문공]](鄭文公) 희첩(姬踕) || |||| '''{{{#ece5b6 어머니}}}''' |||| 연길(燕姞)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606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27년 ~ 기원전 60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정나라|정(鄭)나라]]의 제11대 [[군주]]. [[정문공]]의 아들.[* 서자다.] 어머니는 연길. [[정영공]], [[정양공]]의 아버지. 춘추시대의 유명한 여인 [[하희]]의 아버지다. 어린 시절 [[진(춘추오패)|진(晉)나라]]의 대부 노릇을 하다가 진 문공의 도움으로 세자가 되고 결국 정나라의 백작에 오른 인물이다. 13명의 자식을 두었는데, 이 중 장남인 이와 차남인 견은 [[정영공]]과 [[정양공]]이 되었다. 나머지 아들들도 일가를 이루어 이들 중 7명의 자손이 칠목이라 불리며 후일 정나라의 정치를 좌우하게 된다. == 생애 == 정 목공 원년(기원전 627년), 봄 [[진목공]](秦穆公)은 맹명시, 백을병, 서걸술을 보내 정나라를 치게 했는데, 정나라 상인인 현고가 진(秦)나라의 병사를 위로하며 정나라에 대비가 있음을 알리니, 맹명시 등이 이끄는 [[진(통일왕조)|진(秦)나라]] 군대는 활나라를 쳐서 멸망시켜 버렸다. 이때 진(晉)나라 군대의 공격을 받아 맹명시, 백을병, 서걸술만 살아남는 비참한 패배를 당했다. 정 목공 8년(기원전 620년), [[초목왕]]은 대장 [[투월초]], 부장 위가를 파견해 정나라를 치니 정나라도 공자 견, 공자 방, 악이를 보내 싸웠으나 패하여 3명의 장수가 사로잡혀 압박을 느껴 초나라와 강화했다. 그리고 [[진(춘추전국시대)|진(陳)나라]], [[채나라]]와 함께 겨울 10월에 궐락 땅에서 회맹했다. 그리고 [[초(춘추전국시대)|초나라]]와 함께 [[송(춘추전국시대)|송나라]]를 쳤다. 정 목공 15년(기원전 613년), 초 목왕이 죽고 그 아들인 [[초장왕]](楚莊王)이 즉위했다. 정 목공 17년(기원전 611년), 초 장왕이 정나라에게 송나라를 치게 했는데, 그 이유는 공물을 바치지 않은 죄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송나라는 초나라에 굴복했다. 정 목공 18년(기원전 610년), 진(晉)나라의 상국 [[조돈]](趙盾)이 송나라 공자 포가 형 [[송소공]]을 죽이고 공작이 되자 순림보를 보내 정나라, [[위(춘추전국시대)|위나라]], 진(陳)나라와 함께 송나라를 쳤다. 그리하여 [[송문공]][* 공자 포다.]이 화원(華元)을 보내 강화했다. 8월 진(晉)나라는 송, 제, 위, 진(陳), 허, 조나라와 함께 회맹했는데, 장소는 정나라의 호 땅이었다. 정 목공 22년(기원전 606년), 초 장왕은 진나라와 친한 정나라를 쳤다. 10월 정 목공이 죽고 그 아들인 희이가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정 영공이다. [각주] [[분류:정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0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