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丁未士禍}}} [[1547년]] [[명종(조선)|명종 2년]]에 일어난 조선시대의 [[사화]](士禍). 일명 벽서의 옥([[壁]][[書]][[獄]]), [[양재역]] 벽서 사건이라고도 한다. [[을사사화]]의 뒤치다꺼리 격으로 [[윤원형]]이 이끄는 소윤이 대윤 일파의 잔당을 숙청한 사건이다. 1547년 9월에 경기도 [[과천시/역사|과천현]] 양재역[* 역은 [[역참]]을 이른다. 현재의 지하철 [[양재역]] 근처에 있다.]에서 부제학 [[정언각|정언각(鄭彦慤)]]과 선전관 이로(李櫓)가 붉은 글씨로 쓰인 익명의 벽서를 발견해 명종에게 올린 데서 시작했다. 문제의 벽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문정왕후|여주(女主)]]가 위에서 정권(政權)을 잡고 간신(奸臣) [[이기(조선)|이기(李芑)]] 등이 아래에서 권세를 농간하고 있으니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서서 기다릴 수 있게 되었다. 어찌 한심하지 않은가. [[8월 30일|중추월(仲秋月) 그믐날]].’이라고 하였다. 윤원형 등은 '''"[[을사사화|을사년]] 당시에 재앙의 근원들을 다 뿌리 뽑지 못한 데서 이런 일이 일어났으니, 지금이라도 발본색원해야 합니다."''' 하고 주장하여 피바람이 불었다. 그런데 이는 보통의 익명서로 인해 벌어진 사건과는 많이 다르다. 보통 익명서 사건이 벌어지면 의심가는 사람들을 잡아다 국문한다. 게다가 당시 상례로는 [[연산군]]이 익명서 때문에 의심가는 사람들을 잡아들였던 전례로 인해 태워버리는 것이 보통이었다. 하지만 정언각이 고이 떼어 바친건 그렇다고 쳐도 그에 대처하는게 "의심나는 자들을 잡아들이소서" 가 아니라 "이딴게 나오는걸 보니 아직도 잡아들여야 할 놈들이 많습니다." 라고 나왔으니 뭔가 다르긴 하다. 오죽하면 당시의 풍문은 물론이고 실록의 사관도 '[[주작|혹시 정언각의 조작 아닐까]]?'라는 의심을 했다. 사실 조선 4대 [[사화]]로 손꼽히는 을사사화보다도 정미사화가 연루된 자들이 더 많고 여파도 더 컸다. 종친 [[봉성군]], 송인수[* [[송시열]]의 종증조부. 송인수의 형 송구수의 증손자가 송시열이다.], 이약빙, 이약해, [[이언적]][* 을사사화 때만 해도 공신에 책봉되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윤임을 구할 수 없다는 건 명확했기에 윤임은 못 구하더라도 다른 사람을 구하기 위함에서 행동하였기에 그리되었지 실제로는 소윤측의 편에 서지 않았다.], [[노수신]], 정황, [[유희춘]], 권응정, 이천제, 권벌[* 을사사화 당시 윤임 옹호 상소를 올린 인물.], 백인걸[* 을사사화 당시 문정왕후가 명령을 승정원이 아닌 밀지를 통해 내렸다며 비판 상소를 올렸는데 본인은 이 상소가 문정왕후의 심기를 거슬릴 것을 알고 있었는지 상소를 올리기 전 가족들에게 오늘 상소를 올리면 의금부에 투옥되고 유배 조치가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등이 처벌받거나 처형되었다. 을사사화가 소윤이 대윤을 몰아내기 위한 시작점이었다면, 이 사건이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을사사화]]의 일부로 보기 때문에 한국사와 관련해서 잘 다뤄지진 않는다. [[명종(조선)|명종]] 8년(1553) 이후로도 그 폐단은 가시지 않았다. 명종은 윤원형을 견제하기 위하여 명종비 [[인순왕후]] 심씨의 외삼촌 [[이량#s-1|이량]]을 이조판서로 임명하고 그 외 인사를 등용하였으나, 이량 일파 또한 명종의 신임을 믿고 파벌을 조성하여 제2의 윤원형이 되어 세도를 부리기까지 했다. 명종 20년(1565)에 [[문정왕후]]가 사망하자 신진 사류가 다시 정계에 복귀하면서 귀양갔던 노수신 등이 요직을 차지하고 재야 신진 사류가 등용되어 정계는 사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사화의 주인공인 정언각은 이 때 일로 악명이 높아져서 민심이 대단히 나빴는데,[* 게다가 이것 말고도 '이홍윤의 옥사' 라는 대형 옥사를 옥사답게 키운 인물이기도 하다.] 그가 말을 타고 가던 중 낙마했다가 그대로 말에게 짓밟혀 죽자[* [[등자]]에 한 발이 끼인 상태로 낙마해 말이 날뛰면서 정언각을 짓밟고 바닥에 마구 끌고다녀 사람 모습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사람들은 그 말을 의로운 말(義馬)이라며 칭찬했다고. 심지어는 '정언각이 탔던 말은 을사사화로 죽은 임형수의 말이었기 때문에 주인의 복수를 한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떠돌았다. == 기타 == 사건의 배경이 되었던 곳은 양재역이라는 당시 [[영남대로]]의 [[역참]]으로서, 현대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 [[신분당선]] [[양재역]]이 생겼다. 7번 출구 쪽으로 나가면 양재역 터임을 알리는 비석이 자리잡고 있다. 경기도 과천의 양재역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소개되기도 하는데, 서울 [[서초구]] 일대가 당시에는 경기도 [[과천시/역사|과천현]]이었기 때문. [[분류:조선(16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