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정선군 농어촌버스 중 신동읍 방향 노선들이다. == 노선 정보 == === 정선 출발 노선 ===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6번(함백)}}}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정선버스터미널)||<-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함백종점)|| ||<|2><:>종점행||<:>첫차||<:>12:00||<|2><:>기점행||<:>첫차||<:>13:30|| ||<:>막차||<:>12:00||<:>막차||<:>13:30|| ||<-2><:>배차 간격||<-4><:>1일 1회|| ||<-2><:>노선||<-4><:>[[정선버스터미널]] - (→ 정선농협 →/← 정선신협 ←) - 봉양5리 - 여성회관 - 까칠재터널 - 덕우리.대촌 - 덕우삼거리 - 쇄재터널 - 낙동삼거리 - 성심광업소 - 남면환승장 - 문곡사거리 - 마차재 - 가사리 - 예미농협 - 신동우체국 - 신동읍사무소 - 예미역 - 변전소앞 - 길운삼거리 - 개미촌 - 조동시장 - 함백초등학교 - 함백중고 - 농공단지 - 용화동 - 함백종점||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7번(천포.새골.함백)}}}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정선버스터미널)||<-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함백종점)|| ||<|2><:>종점행||<:>첫차||<:>07:20||<|2><:>기점행||<:>첫차||<:>08:50|| ||<:>막차||<:>17:10||<:>막차||<:>18:40|| ||<-2><:>배차 간격||<-4><:>1일 2회|| ||<-2><:>노선||<-4><:>[[정선버스터미널]] - (→ 정선농협 →/← 정선신협 ←) - 봉양5리 - 여성회관 - 까칠재터널 - 덕우리.대촌 - 덕우삼거리 - 쇄재터널 - 낙동삼거리 - 성심광업소 - 남면환승장 - 문곡사거리 - 마차재 - 가사리 - 예미농협 - 신동우체국 - 신동읍사무소 - (→ 천포리 →) - 예미역 - 변전소앞 - 길운삼거리 - 개미촌 - 조동시장 - (→ 새골아파트 →) - 함백초등학교 - 함백중고 - 농공단지 - 용화동 - 함백종점|| 노선번호는 민영제 시절 그대로 번호가 존치되었으며, 27번은 함백으로 갈 때 천포리와 새골아파트 경유가 추가되었다. === 고한터미널 출발 노선 ===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52번(신동)}}}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신동환승장)|| ||<|2><:>종점행||<:>첫차||<:>10:40||<|2><:>기점행||<:>첫차||<:>11:50|| ||<:>막차||<:>14:20||<:>막차||<:>15:50|| ||<-2><:>배차 간격||<-4><:>1일 2회|| ||<-2><:>노선||<-4><:>[[고한사북공영버스터미널]] -정선군립병원 - 사북버스정류장 - 사북읍행정복지센터 - 사북시장 - 사북교차로 - 도사곡 - 멀미아파트 - 묵산아파트 - 민둥산역 - 문곡사거리 - 남면환승장 - 곰골 - 마차재 - 가사리 - 원가사 - 납돌 - 예미초등학교 - 예미농협 - 신동읍사무소 - 신동환승장|| 공영제 시행으로 신설된 노선으로, 그간에 거리는 가까웠으나 서로간의 교류가 어려웠던 고한, 사북 지역을 잇는 노선이다. 정선에서 출발하는 노선과 달리 신동환승장에서 회차한다. ||<-10><:><#008000>{{{#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52번 운행시각표}}}[br]{{{#ffffff 2020년 7월 20일 시행}}}|| ||<:>횟수||<:>고한터미널||<:>사북교차로||<:>민둥산역||<:>남면환승장||<:>신동환승장||<:>남면환승장||<:>민둥산역||<:>사북시장|| ||<:>1||<:>10:40||<:>10:50||<:>11:00||<:>11:15||<:>11:50||<:>12:15||<:>12:25||<:>12:40|| ||<:>2||<:>14:20||<:>14:30||<:>14:45||<:>14:55||<:>15:50||<:>16:15||<:>16:25||<:>16:40|| === 지선 === 신동환승장을 기점으로 운행하는 지선 노선이다. ==== 26-1번 ====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6-1번(새골.함백)}}}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신동환승장)||<-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조동리(함백종점)|| ||<|2><:>종점행||<:>첫차||<:>10:00||<|2><:>기점행||<:>첫차||<:>10:15|| ||<:>막차||<:>16:50||<:>막차||<:>17:50|| ||<-2><:>배차 간격||<-4><:>1일 5회|| ||<-2><:>노선||<-4><:>신동환승장 - 예미농협 - 신동읍사무소 - 예미역 - 동강택배앞 - 변전소앞 - 함백종고 - 길운삼거리 - 개미촌 - 조동3리 - 조동시장 - (→ 함백의용소방대 → 새골아파트 → 함백의용소방대 →) - 함백초등학교 - 함백중고 - 농공단지 - 용화동 - 함백종점|| 영월군 농어촌버스가 대신 들어가줬던 새골아파트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
<-10><:><#008000>{{{#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6-1번 운행시각표}}}[br]{{{#ffffff 2020년 7월 20일 시행}}}|| ||<:>횟수||<:>신동환승장||<:>함백종점|| ||<:>1||<:>10:00||<:>10:15|| ||<:>2||<:>11:55||<:>12:10|| ||<:>3||<:>14:50||<:>15:10|| ||<:>4||<:>15:30||<:>15:45|| ||<:>5||<:>16:50||<:>17:05|| ==== 26-2번 ====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6-2번(남면)}}}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신동환승장)||<-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남면 문곡리(남면환승장)|| ||<|2><:>종점행||<:>첫차||<:>08:20||<|2><:>기점행||<:>첫차||<:>08:45|| ||<:>막차||<:>08:20||<:>막차||<:>08:45|| ||<-2><:>배차 간격||<-4><:>1일 1회|| ||<-2><:>노선||<-4><:>신동환승장 - 신동읍사무소 - 예미농협 - 신동삼거리 - 예미초등학교 - 납돌 - 원가사리 - 마차재 - 곰골 - 문곡사거리 - 남면환승장|| 남면환승장 까지만 운행하는 노선이다. ==== 26-3~5번 ====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6-3번(수동.운치.제장)}}}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신동환승장)||<-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운치리(수동쉼터)|| ||<|2><:>종점행||<:>첫차||<:>10:30||<|2><:>기점행||<:>첫차||<:>11:00|| ||<:>막차||<:>10:30||<:>막차||<:>11:00|| ||<-2><:>배차 간격||<-4><:>1일 1회|| ||<-2><:>노선||<-4><:>신동환승장 - 신동읍사무소 - 예미농협 - 신동삼거리 - 유문동 - 고성터널 - 고성1리 - 덕천삼거리 - 고성산성 - (← 제장마을 ←) - 운치삼거리 - (← 운치1리 ←) - 백운사입구 - 번들앞 - 수동쉼터||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6-4번(덕천.제장.운치.수동)}}}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신동환승장)||<-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운치리(수동쉼터)|| ||<|2><:>종점행||<:>첫차||<:>13:10||<|2><:>기점행||<:>첫차||<:>14:10|| ||<:>막차||<:>13:10||<:>막차||<:>14:10|| ||<-2><:>배차 간격||<-4><:>1일 1회|| ||<-2><:>노선||<-4><:>신동환승장 - 신동읍사무소 - 예미농협 - 신동삼거리 - 유문동 - 고성터널 - 고성1리 - 덕천삼거리 - 원덕천 - 고성산성 - (→ 제장마을 →) - 운치삼거리 - (→ 운치1리 →) - 백운사입구 - 번들앞 - 수동쉼터|| ||<-6> [[파일:정선군 CI_White.svg|width=60]] {{{#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26-5번(덕천.운치.수동)}}} || ||<-2><:>기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신동환승장)||<-2><:>종점||<:>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운치리(수동쉼터)|| ||<|2><:>종점행||<:>첫차||<:>06:50||<|2><:>기점행||<:>첫차||<:>07:30|| ||<:>막차||<:>17:20||<:>막차||<:>18:10|| ||<-2><:>배차 간격||<-4><:>1일 2회|| ||<-2><:>노선||<-4><:>신동환승장 - 신동읍사무소 - 예미농협 - 신동삼거리 - 유문동 - 고성터널 - 고성1리 - 덕천삼거리 - 원덕천 - 고성산성 - 운치삼거리 - (운치1리) - 백운사입구 - 번들앞 - 수동쉼터|| 세 노선 모두 운치회마을버스가 전신이며, 공영제 시행으로 사라졌다. 마을버스로 운행할 때는 예미역에서 출발하였으나, 지금은 신동환승장에서 출발한다. 동강의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노선이며, 수동쉼터에서는 정선으로 가는 9번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참고로 중간에 '''고성터널'''을 지나는데 이 터널은 '''터널 내에 LED'''는 고사하고 '''백열등''' 조차 없으며 '''왕복 1차로에 터널 입구가 상당히 좁고''' 심지어 '''비포장도로'''를 지난다. 전국에서 얼마 안남은 비포장도로를 지나는 버스인셈.[* 이는 사실 이 터널이 통행을 위한 터널이 아니라 덕천취수장에서 신동읍내로 취수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매설한 도수관을 관리하는 용도의 터널이기 때문이다. 정선군 측에서 교통편의를 위해 이 터널을 개방하고 있는 것. 현재 새 터널이 추진되고 있으며, 새 터널 개통시 이 터널은 자동으로 더 이상 자동차가 지나다니지 않을 예정이다.] 시간대마다 경유지가 모두 다르다. 경유지와 전체 시간표를 참고 할 것. ||
<-10><:><#008000>{{{#ffffff 정선군 농어촌버스 운치리 방면 운행시각표}}}[br]{{{#ffffff 2020년 7월 20일 시행}}}|| ||<:>횟수||<:>노선번호||<:>신동환승장||<:>경유지||<:>수동쉼터||<:>경유지|| ||<:>1||<:>26-5||<:>06:50||<:>원덕천||<:>07:30||<:>운치1리, 원덕천|| ||<:>2||<:>26-3||<:>10:30||<:>-||<:>11:00||<:>운치1리, 제장마을|| ||<:>3||<:>26-4||<:>12:10||<:>원덕천, 제장마을, 운치1리||<:>14:10||<:>원덕천|| ||<:>4||<:>26-5||<:>17:20||<:>원덕천, 운치1리||<:>18:10||<:>원덕천|| === 전체 시간표 === [[파일:신동환승장 시간표_20200720.png]]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선평역]], [[별어곡역]], [[예미역]], [[함백역]](일부 노선만 경유.) [[분류:정선군 농어촌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