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정 군주)] |||||| '''{{{#ece5b6 정(鄭)나라 23대 국군[br]{{{+1 성공}}}[br] 聲公}}}'''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정(鄭) || |||| '''[[휘|{{{#ece5b6 휘}}}]]''' |||| 승(勝) || |||| '''{{{#ece5b6 아버지}}}''' |||| [[정헌공]](鄭獻公) 희채(姬蠆)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464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500년 ~ 기원전 464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시대]] [[정나라]]의 제23대 [[군주]]. [[정헌공]]의 아들. [[정애공]]의 아버지. == 생애 == 정 헌공 13년(기원전 501년), 정 헌공이 사망하자, 그 아들 승이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정 성공(鄭聲公)이다. 당시 [[진(춘추오패)|진(晉)나라]]는 6경이 강성했고, 그들이 정나라의 땅을 노려 정나라는 기울어갔다. 정 성공 8년(기원전 493년), 진(晉)나라의 범씨(范氏)와 중항씨(中行氏)가 반란을 일으키자[* 아마 지씨가 만든 [[프로파간다]]이기도 하지만, 이들이 불법을 저지른 정황(주로 세력 확충을 위한 뇌물 수수)이 있어 그렇게만 보기도 힘든 측면이 있다.] 그 소식을 정나라에 전하니 정나라에서 구원했다. 그러나 진(晉)나라가 정나라를 쳐서 정나라가 패했다. 정 성공 14년(기원전 487년), [[송경공]]이 [[조나라|조(曹)나라]]를 멸했다. 정 성공 26년(기원전 481년),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의 권신 전상이 [[제간공]]을 살해하고 상국에 올랐다. 정 성공 28년(기원전 479년), [[초혜왕]]이 [[진(춘추전국시대)|진(陳)나라]]를 멸했다. 공자가 그 해에 죽었다. 정 성공 36년(기원전 465년), 진(晉)나라의 [[지양자|지백]]이 정나라를 쳐서 9개의 성읍을 취했다. 정 성공 37년(기원전 464년), 정 성공이 죽고 그 아들인 역이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정 애공이다. 이 해에 월왕 [[구천]]이 죽었다. [각주] [[분류:정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46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