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承可 (? ~ 1388) [[고려]] 말기의 인물. 대호군을 지내다가 [[1383년]] 가을 9월에 5도 체복사에 임명되어 군용의 허실, 싸울 때의 근무 태도를 살펴보라는 지시를 받았고 겨울 10월에 [[왜구]]와 양구에서 싸웠지만 패해 춘주로 달아났다. 그러나 왜구가 추격해 춘주까지 함락되었고 1385년 가을 9월에 심덕부, 홍징, 안주, 황희석 등과 함께 홍원의 대문령 북쪽에서 왜구와 싸웠다. [[1388년]] [[3월]]에 [[우왕]]이 [[최영]]의 딸을 맞아들이려고 하였으나 최영이 이를 거절하자, [[안소]]와 함께 우왕의 뜻에 맞추어 최영이 거절하려는 뜻을 꺾도록 했으며, 4월에는 요동 정벌군을 위로하기 위해 문달한, 김종연, 조순, [[김완(고려)|김완]] 등과 함께 사신으로 파견되어 좌, 우 도통사, 장수들에게는 금은으로 된 술그릇, 도진무에 이르기까지는 의복을 내렸다. 6월에 [[위화도 회군]]이 일어나자 [[이성계]], [[조민수(고려)|조민수]] 등이 이끄는 군사를 막기 위해 군사를 모으면서 개경에 집결할 때 응양군 상호군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성계]]가 개경을 장악하자 최영의 일파로 지목되었고 정승가는 달아나 숨었지만 체포되어 순군에 수감되었으며, [[7월]]에 영해로 유배되었다가 그 곳에서 참수당했다. 드라마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 등장한다. 배우는 '신원균'분으로 15회에 처음으로 등장하여, 요동 정벌과 [[위화도 회군]]이 메인 스토리가 되면서부터 다시 등장한다. 위화도의 공요군에게 금은 술잔을 전달하며 군량이 모자라면 약탈을 하면 될 일이라는 식의 뻘소리로 이성계와 조민수를 열받게 한다. [각주] [[분류:고려의 인물]][[분류:138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