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창패럴림픽 대한민국 휠체어컬링 국가대표)] ----- ||<-2>
'''{{{+1 정승원}}}[br]Jung Seungw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컬링 정승원.jpg|width=100%]]}}} || ||<|2> '''출생''' ||[[1958년]] [[12월 25일]] ([age(1958-12-25)]세) || ||[[전라남도]] [[목포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종목''' ||[[컬링|휠체어 컬링]] || || '''소속팀''' ||한전KDN(전남연맹)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컬링|휠체어 컬링]] 선수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때 대표팀 서드로,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 중 최고령 선수였다. == 생애 == 원래는 건설업에 종사했었다. 10년 간 해외에서 근무를 하다가 1994년에 잠깐 귀국했다. 회사에서 안산-시흥고속도로 건설 현장일을 도와달라고 부탁해 찾아간 건설 현장에서 자재에 깔리는 사고를 당했다. 도합 2톤에 달하는 자재 무게 때문에 사람들 모두 정승원이 죽은 줄 알았으나, 사고 소식을 듣고 찾아온 어머니가 아직 숨이 붙어 있는 걸 확인했다. 기적적으로 목숨은 건졌지만 하반신이 마비되어 3년간 병원에서 누워 지냈고, 그러면서 엉덩이에는 욕창이 생겨 엉덩이살을 대부분 다 떼내야만 했다. 병원 생활 중 3차례나 자살 기도를 했으나, 지인이 '지금은 장애인도 국가대표가 될 수 있는 세상이다'라는 말에 용기를 갖고 퇴원 후 장애인 체육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론볼]]을 시작해 서울장애인론볼협회장도 맡기도 했었고 이후 휠체어 컬링으로 바꿨다. 원래 실업팀 입단을 목표로 했지만 나이가 많다 보니 실업팀 입단이 좌절됐다.[* 서울시청이 공식적으로 창단되기 이전 서울연맹(해치서울)에서 [[서순석]], [[방민자]], [[차진호]]와 같이 활동했으나 정승원 혼자만 창단 멤버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그에 굴하지 않고 노력한 끝에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대표팀에 선발됐다. 동계패럴림픽 동안 팀원 중 가장 나이가 많고 외모가 [[이계인]]을 닮아 '큰형님', '모팔모'[* 드라마 [[주몽(드라마)|주몽]]에서 이계인의 배역이다.] 등의 별명을 얻었다. 은퇴한 이후 경기도연맹 코치를 맡으려고 했으나 전남연맹의 제안을 받고 전남연맹(전남 스나이퍼)으로 소속팀을 옮겼고, 전남장애인체육회의 지역기업 취업연계 사업에 따라 한전KDN의 지원을 받으며 선수 생활을 이어가게 됐다. 2021-2022 시즌 국가대표 선발전에서는 의정부 롤링스톤에게 지는 바람에 최종 2위로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 수상 기록 == ||<-3>
{{{#ffffff 세계선수권}}} || || 은메달 || 2012 춘천 || 단체전 || || 동메달 || 2016 루체른 || 단체전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컬링 선수]][[분류:목포시 출신 인물]][[분류:1958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패럴림픽 참가 선수]][[분류: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