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GX/등장인물]][[분류:카이바 세토]] [목차]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 >'''"정의는 JUSTICE! 언제나 MUST VICTORY!"''' 카이바 랜드에서 개최하고 있는 히어로 쇼의 마스코트 히어로로 등장. 여기서의 명칭은 '듀얼리스트 엠페러 카이바맨'으로, 사회를 맡고 있는 [[카이바 모쿠바]]가 부르면 나타나서 악의 듀얼리스트들과 싸우고 있다.[* 참고로 여기서 악역을 맡는 인물들은 가상 세계에서 용케 돌아와 재취직한 [[빅5(유희왕)|빅5]]의 임원들이다. 모쿠바는 '빅 와루다 파이브(ビッグワルダーファイブ)'라고 불렀다.] 말투는 전형적인 열혈 히어로 캐릭터. 아이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듯 하며, [[카와이 시즈카]]도 그의 엄청난 팬인 것으로 나온다. 게임 내에서 시즈카는 어쩌다 보니 히로인 역할을 맡게 되는데, 마침 주인공 일행도 쇼를 보러 와있던지라 [[죠노우치 카츠야]]가 본의 아니게 공연에 끼어들어 구해주는 모양새가 되었다. 주인공과의 듀얼에서 패배한 빅5가 [[F·G·D]]으로 융합 합체하자, 그제서야 다같이 부른 뒤에 나타나 [[궁극룡 기사]]를 불러내서 해치우고 사라진다. 배우를 맡고 있는 사람의 정체는 다름아닌 [[이소노]].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 [[파일:ultimate-D34-1.jpg|width=500]]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세븐 스타즈 편|세븐 스타즈 편]] 34화에서 등장. 성우는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카이바 세토]]와 동일한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츠다 켄지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장성호(성우)|장성호]][* DM 때보다는 말투가 좀 더 부드러워졌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에릭 스튜어트]]. [[세븐 스타즈]] [[카뮬라]]와의 어둠의 듀얼에서 처음으로 희생자가 생기는 것[* 사실 최초는 [[타이탄(유희왕 GX)|타이탄]]이지만 이때의 타이탄은 단순히 어둠의 듀얼리스트인 척 하는 사기꾼이었고 쥬다이도 아직 어둠의 게임이 미신인 줄 알았기에 마술 같은 걸로 사라진 줄 알았다. 반면 카뮬라 때는 쥬다이가 아군들이 인형으로 변하는 거나 카뮬라가 환마의 문을 사용한 대가로 소멸하는 것을 똑똑히 봤다.]을 경험하고 심란해하던 [[유우키 쥬다이]]가 동료들과 온천욕 중에 갑자기 [[정령계]]에 떨어졌을 때 만난 정령들의 대표자. >카이바맨: '''흥, 실망시키지 말라고. 이 녀석이 네놈과 싸우길 원하고 있거든.''' >쥬다이: '''푸른 눈의 백룡!''' >만죠메: '''전설의 듀얼리스트 카이바 세토의 충직한 심복이라 불리는 카드!''' >쇼: 저게? >하야토: '''직접 보는 건 처음이야.''' 사용 덱은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이 들어간 [[푸른 눈의 백룡]] 덱. [[만죠메 쥰]]은 '''카이바 세토의 덱 그 자체'''라고 했다. 일단 푸른 눈의 백룡이 전 세계에 3장 밖에 안 남아있으니 그럴만도 하다.[* 중간에 [[만수의 신]] 효과로 [[나이트 오브 화이트 드래곤|백룡강림]] 서치를 하는 장면에서 [[코스트 다운]], [[데블의 성역]], [[스워드 스토커]], [[카이저 씨호스]], [[트와이라이트존 드래곤]]이 나오는데, 이중 데블의 성역을 제외한 4장은 전부 카이바가 사용한 전적이 있는 카드고 데블의 성역또한 카이바 본인이 직접 쓴 적은 없지만 유우기가 카이바의 카드라며 일시적으로 쓴 적이 있었다.] 압도적인 실력으로 유우키 쥬다이를 바른 뒤 '''"지고 나서 일어서라, 유우키 쥬다이!"''' 같은 격언과 여러 충고를 해준 대인배. 그리고 애니메이션판 유희왕 GX 후반까지도 잊히지 않는 떡밥인 정령계와 현계는 이어져 있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생긴 건 카이바가 푸른 눈의 백룡 탈을 뒤집어 쓴 모습. 성우도 카이바와 동일하다. 또한 밑의 정황들 때문에 카이바맨의 정령이 아니라 어떤 이유로 정령계에 있던 카이바 본인이 아니냐는 추측이 정설처럼 퍼져있다. * 잘 보면 카이바맨의 정령은 카드 일러스트의 카이바맨에게는 없는 펜던트가 달린 목걸이를 걸고 있는데 이 펜던트는 카이바 형제가 목에 걸고다니는 것[* 서로의 사진을 넣어둔 그 목걸이 맞다.]과 동일하게 생겼다. * 카이바맨은 듀얼 중 쥬다이가 푸른 눈의 백룡이 공격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카이바맨은 [[멸망의 폭렬질풍탄]]을 사용한 턴이였기 때문에 당시 필드의 푸른 눈의 백룡은 공격 선언이 불가능했다.] 안심하는 모습을 보고는 [[만수의 신]]을 소환 후 효과로 백룡강림을 발동하여 [[백룡의 성기사]]를 소환하는 콤보로 쥬다이를 직접 공격하면서 '네놈도 어디서 굴러먹던 [[죠노우치 카츠야|범골 듀얼리스트]][* 죠노우치를 범골이라고 부르는 건 카이바와 이소노밖에 없다.]와 똑같은 거냐' 라고 발언했다. * 듀얼이 쥬다이의 패배로 끝나고 다들 돌아갈 방법을 고민하자 그 방법을 알려주는데 다른 정령들은 눈 깜빡할 새에 사라졌지만 카이바맨은 '걸어서' 어디론가 사라졌다. 정황상 이때 본인도 쥬다이 일행처럼 귀환한 것이라는 것. * '''푸른 눈의 백룡 그 자체.''' 이 세계에서 푸른 눈의 백룡은 카이바가 가진 3장과 [[무토우 스고로쿠]]가 가진 찢어진 1장이 전부다. 즉 카이바 외에 백룡을 사용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건 100% 가짜 카드. 또 카이바가 자신의 인생 그 자체나 다름없는 푸른 눈의 백룡 덱을 누군가한테 빌려줄 리도 만무하다.[* 어렸을 때 부터 이 카드를 가지고 싶어했고, 고대편 전생에서 [[키사라(유희왕)|키사라]]와의 인연이 엮여 있다.] 정령이라서 같은 정령을 부렸다기에 작중 설정상 푸른 눈의 백룡은 정령으로서의 격이 '''삼환신'''에 필적해서 인간형 몬스터출신 정령따위가 부릴 수 있는 존재가 아니고 애초에 푸른 눈의 백룡의 정령체는 '''[[키사라(유희왕)|여성]]'''이다. * 푸른 눈의 백룡을 소환할 때 나의 심복이라 하는 것 등 말투와 성격도 카이바와 유사하다. 게다가, 바로 다음화에 카이바 본인이 뒷모습으로 등장해서 카이바맨이 계속해서 언급하던 '미래를 향하는 로드'라는 말을 계속 언급한다. [[카이바 세토]]가 [[오컬트]]적인, 즉 정령같은 과학적으로 존재 자체를 입증하기 어려운 것들을 입에도 담기 싫어하던 사람이지만,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이 가진 신의 파워를 직접 체험하고 과거, 정확히는 왕의 기억까지 가 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이후의 카이바라면 믿을지도 모른다. 과학으론 절대 증명할 수 없을 온갖 사건을 겪었으니까. 실제로 왕의 기억편 막판에 유우기와 아템이 분리된 것을 보여주는 죠노우치에게 "이제와서 뭐가 어떻든 놀랍지 않다"며 오컬트로 겪은 산전수전의 감정을 드러냈다. 쥬다이를 보고선 푸른 눈이 싸우고 싶다고 했다던가 푸른 눈을 실망시키지 말라는 등의 이야기를 하는 걸 보면 본인이 원해서 왔다기보단 인간과 정령이 공존하는 쥬다이의 기운에 푸른 눈이 흥미를 느껴서 부탁했던 모양. 단역이지만 컬트적인 인기가 많아서, 각종 유희왕 게임에 은근슬쩍 등장한다. 게다가 니코니코 동화의 매드 시리즈에서는, 카이바가 변신해서 카이바맨이 된다는 통설이 지배적이라 심심치 않게 나온다. 드물게 카이바와 카이바맨이 싸우는 영상도 있다. 여담으로 이 캐릭터 자체는 카이바 랜드에서 이미 나온 적 있는 캐릭터이며 듀얼중에 나오듯 카드화까지 이루어지기도 했다. 제작자가 페가수스인지 카이바인지는 불명확하지만 둘 다 단 3장밖에 없는 카드를 위한 지원카드를 굳이 만들고도 남을 정도의 괴짜라 추측이 힘들다는게 함정(...). 매드무비에서 주로 사용되는 "강인! 무적! 최강!!"[* 이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카이바가 사용한 적이 있으며 아예 [[푸른 눈#s-6.8.1카드]]로 나왔다.] "분쇄! 옥쇄! 대갈채!!"[* 더빙판에서는 파괴하라! 소멸하라! 다 쓸어버려!로 번역]의 주인공. [[유희왕 5D's]]의 [[안티노미]]의 첫 등장 시 날리는 대사들이 묘하게 카이바맨틱하다. === 주요 대사 === >'''"어설퍼! [[유우키 쥬다이|네놈]]도 그 주변에 굴러다니는, [[죠노우치 카츠야|범골 듀얼리스트]]나 마찬가지냐!?"''' >'''"부끄러운줄 알아라! 네놈이 정점을 노린다면, 바로 나를 뛰어넘어 가라!!"''' >'''"강인! 무적! 최강!"''' >'''"분쇄! 옥쇄! 대갈채!"''' >'''"끝없이 이어지는 싸움의 길, 그것이 네놈의 미래가 될 것이다!"''' >'''"망설임은 떨쳐냈나, [[유우키 쥬다이]]? 네놈이 걸어온 듀얼의 길은 아직 입구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에는 아직 미지의 듀얼이 있지! 보게 될 거다. 끝없이 이어지는 싸움의 길을! 헌데 네놈은 이런 곳에서 멈춰설테냐?!"''' >(쥬다이 : 멈출까보냐!) >'''"그렇다! 네놈의 듀얼을, 네놈의 덱을 믿고 나아가라! 그렇게 밟아온 길, 그것이 네놈의 미래가 되는거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유희왕 러시 듀얼))]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 == [[닌텐도 DS]]용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08에서는 질서의 세계에서 듀얼을 하며 놀다 보면 하단 구석에 낮은 확률로 나타나 '듀얼 중 푸른 눈의 백룡을 1번이라도 소환해서 이길 것'이라는 조건이 달린 듀얼을 건다. 카이바맨 자신이 사용하는 덱은 물론 푸른 눈의 백룡 덱. 이겨도 보통 듀얼이 아닌 테마 듀얼 취급인지라 300DP밖에 받지 못하지만, 카이바맨에게 이기는 것이 월드 챔피언십 모드에서 [[카이바 세토]]가 등장하는 조건이기 때문에 한번은 도전해야 한다. 카이바 세토 등장 이후에도 계속 등장하지만 물론 이때부터는 카이바맨의 팬이 아닌 이상 그냥 시간 낭비다. 참고로 이 게임에서 카이바맨과 카이바 세토는 듀얼 중 대사가 똑같고, 카이바 세토를 10번 이기면 카이바맨이 쓰던 듀얼 디스크를 얻을 수 있다. 또 카이바맨을 이겼을 때 '다음에는 지지 않겠다'라며 떠나는 동시에 카이바 세토가 추가되는지라 이래저래 의미심장하다. == 이 항목의 3. 에서 파생된 캐릭터 카드화를 일컫는 은어 == 이 카드의 등장 전후로 주역의 모습을 닮은 몬스터 카드가 다수 발매되었다.[* 극히 일부 사례로 '''애니메이션에서의 이름 그대로''' 발매되는 경우도 왕왕 있다.] 주로 자신이 사용하는 카드군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발매된다는 것이 특징이지만 아닌 경우도 다수 있다. 팬들 사이에선 초대의 이름을 따 정의의 XX XX맨이란 이름으로도 불린다.(예시: TG 스타 가디언 - 사용자인 브루노의 이름에서 '정의의 휠러 브루노맨') 몇몇은 반대로 몬스터 카드가 캐릭터화한 사례가 있다.[* 정령계 설정이 존재하는 GX, 5D's에서 캐릭터화 된 카드들는 다수있다. 다만 캐릭터로써의 카드의 행적은 실제 카드의 설정와 다를 수도 있다. 종언의 왕 데미스는 카드 설정상 세계를 파괴하는 초월적인 존재로 언급되었지만, GX에서는 그냥 패왕의 부하 중 한명으로 나온다.] === DM === * [[레전드 오브 하트|전설의 기사]] -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애니메이션 등장 당시 각각 주인과 동일한 외모를 가지고 있었다. * [[어둠의 유우기]] - [[레전드 오브 하트|전설의 기사 티마이오스]] * [[카이바 세토]] - [[레전드 오브 하트|전설의 기사 크리티우스]] * [[죠노우치 카츠야]] - [[레전드 오브 하트|전설의 기사 헤르모스]] * [[죠노우치 카츠야]] - [[범골의 의지]], [[범인의 자비]], [[로드 오브 더 레드]][* 이 카드의 경우 카드 자체는 죠노우치와 닮지 않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 죠노우치 본인이 직접 로드 오브 더 레드가 된 전적이 있기에 기술.] * [[키사라(유희왕)|키사라]] - [[파란 눈의 소녀]], [[파란 눈의 무녀]] * [[샤디 신]] -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신직|묘지기의 신직]], [[밀레니엄 시커]] * [[묘지기(유희왕)|묘지기]] - 원작에서는 묘지기 카드와 별 관련이 없지만, 해당하는 인물들이 모두 묘지기와 관련이 있는 무덤 수호 일족의 인물들이라서 어느 순간부터 공식 측에서도 묘지기와 무덤 수호 일족의 연관성을 의식하고 비슷하게 생긴 카드를 내기 시작했다. * [[마리크 이슈타르]] -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후예|묘지기의 후예]] * [[이시즈 이슈타르]] -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무녀|묘지기의 무녀]] * [[리시드]] -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소환사|묘지기의 소환사]] * [[바쿠라 료]] -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이단자|묘지기의 이단자]],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이능자|묘지기의 이능자]] * [[카지키 료타]] - [[전설의 어부 2세]] * [[마하드]] - [[블랙 매지션]], [[수호신관 마하드]] * [[마나(유희왕)|마나]] - [[블랙 매지션 걸]], [[수호신관 마나]] === GX === * [[무사신]] - GX와 관련이 없는 카드군이지만 디자인을 GX 주역 캐릭터들에게서 따왔다. * [[유우키 쥬다이]] - [[무사신#무사신-야마토|무사신-야마토]] * [[만죠메 쥰]] - [[무사신#무사신-미카즈치|무사신-미카즈치]] * [[미사와 다이치]] - [[무사신#무사신-아라스다|무사신-아라스다]] * [[텐죠인 아스카]] - [[무사신#무사신-히루메|무사신-히루메]] * [[사이오 타쿠마]] - [[무사신#무사신-히루코|무사신-히루코]] * [[사이오 미즈치]] - [[무사신희-아하시마]]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 [[무사신#무사신-마히토츠|무사신-마히토츠]] *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어니스트(유희왕)|어니스트]]) - [[무사신#무사신-토리후네|무사신-토리후네]] * [[요한 안데르센]] - [[보옥수#보옥의 수호자|보옥의 수호자]] * [[암흑사도 요한]] - [[보옥수#보옥의 선도자|보옥의 선도자]] === 5D's === * [[후도 유세이]](의 D휠 유성호) - [[시그널 워리어]], [[휠 싱크론]] * [[잭 아틀라스]] - [[절대왕 백 잭]], [[모두의 킹]][* 이쪽은 닮은 걸 넘어서 대놓고 잭을 그려놨고 카드 플레이버 텍스트에서도 "잭 아틀라스"라는 이름만 언급을 안했을 뿐 그를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 확실하다.] * [[루아(유희왕)|루아]] & [[루카(유희왕)|루카]] - [[디포머#D·이어폰|D·이어폰]] * [[렉스 고드윈]] - [[지박#지박초신관|지박초신관]] * [[칼리 나기사]] - [[포츈 레이디#표츈 레이디 패스티|포츈 레이디 패스티]] * [[미스티 로라]] - [[레프티레스#레프티레스 멜루지느|레프티레스 멜루지느]] * [[브루노(유희왕)|브루노]] - [[TG 스타 가디언]] * [[붉은 용]] - [[붉은 용(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붉은 용]]~~, [[얼티마야 촐킨]]~~[* 붉은 용과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으나, 별개의 작품에서 등장한 별개의 인물이다.] * [[홍련의 악마의 종]] - [[스카레드 패밀리어]] === ZEXAL === * [[츠쿠모 유마]] - [[FNo.0 미래황 호프]] * [[제알]] - [[희망의 창조자]], [[승리의 방정식]], [[기적의 창조자]], [[SNo.0 호프 제알]] * [[텐조 카이토]] - [[넘버즈 헌터]] * [[코즈키 안나]] - [[열차(유희왕)#폭주궤도 플라잉 페가수스|폭주궤도 플라잉 페가수스]] * [[오비탈 7]] - [[오비탈 7(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오비탈 7]], [[포톤 오비탈]] * [[오보미]] - [[오보미]] * [[프린세스 코론]] - [[프린세스 코롱]] * [[오쿠다이라 후야]] - [[이차원 에스퍼 스타 로빈]] * 후야의 어머니 - [[No.83 갤럭시 퀸]] * [[데멧토 할아버지]] - [[데멧토 할아버지]] === ARC-V === * [[사카키 유우야]] - [[EM 스마일 매지션]], [[EM(엔터메이트)#EM 젠틀루드|EM 젠틀루드]], [[EM 희대의 듀얼리스트]], [[초중무사#초중신동 워커-U4|초중신동 워커-U4]], [[초중무사#초중신장 샤나-O|초중신장 샤나-O]] * [[히이라기 유즈]] - [[EM(엔터메이트)#EM 레이디앙쥬|EM 레이디앙쥬]] * [[곤겐자카 노보루]] - [[초중천신 마스라-O]] * [[아카바 레이지]] - [[GO-DDD 신령왕 제로 갓 레이지]] * [[사와타리 신고]] - [[요선수#요선수 시랑풍|요선수 시랑풍]], [[마계극단#마계극단-슈퍼 프로듀서|마계극단-슈퍼 프로듀서]] * [[그레이스 타일러]] -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의 은검사|아마조네스의 은검사]] * [[글로리아 타일러]] -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의 금편사|아마조네스의 금편사]] * [[자크(유희왕)|자크]] - [[마술사(유희왕)#EM 천공의 마술사|EM 천공의 마술사]] * [[아카바 레이]] - [[비욘드 더 펜듈럼]], [[엑시드 더 펜듈럼]] === VRAINS === * [[@이그니스터]]의 공격력 2300의 몬스터 - [[이그니스(유희왕)|이그니스]]들[* 몰론 생긴 건 닮지 않았으나, 해당 캐릭터의 특징이나 사용 카드군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 [[라이트닝(유희왕)|라이트닝]] *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 - [[윈디(유희왕)|윈디]] * [[어스 골렘@이그니스터]] - [[어스(유희왕)|어스]] * [[워터 리바이어던@이그니스터]] - [[아쿠아(유희왕)|아쿠아]] * [[파이어피닉스@이그니스터]] - [[플레임(유희왕)|플레임]] * [[다크나이트@이그니스터]] - [[아이(유희왕)|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