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e5e5e5 정인교의 수상 이력 및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L 역대 3점슛상)] ---- [include(틀:부천 신세계 쿨캣 감독)] ---- [include(틀: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감독)] ---- ||<-5>
'''{{{#ECCC2B [[원주 DB 프로미|'''{{{#ECCC2B 원주 나래 블루버드}}}''']] 등번호 5번}}}''' || || 팀 창단 || → || '''{{{#1560BD 정인교[br](1997~1998)}}}''' || → || [[신기성]][br](1998~2001) || ||<-5> '''{{{#fff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fff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등번호 8번}}}''' || || [[김정인(농구)|김정인]][br](1997~1998) || → || '''{{{#fff 정인교[br](1998~2000)}}}''' || → || [[이상영(농구)|이상영]][br](2002~2003) || ||<-5> '''{{{#fff [[수원 kt 소닉붐|{{{#fff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등번호 5번}}}''' || || 김영주[br](1997~1999) || → || '''{{{#fff 정인교[br](2000~2002)}}}''' || → || [[옥범준]][br](2003~2004) || ||<-5> '''{{{#ffffff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ffffff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등번호 5번}}}''' || || [[강동희]][br](1997~2002) || → || '''{{{#000000 정인교[br](2002~2003)}}}''' || → || R.F. 바셋[br](2003~2004) || ||<-5>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6번}}}''' || || [[김정재(농구)|김정재]][br](2002~2003) || → || '''{{{#074ca1 정인교[br](2003~2004)}}}''' || → || [[김동욱(농구선수)|김동욱]][br](2005~2006)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대한민국의 농구 감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인교 신한 감독.jpg|width=100%]]}}} || ||<-3> '''{{{+2 {{{#000000 정인교}}}}}}[br]{{{#000000 鄭仁敎}}}''' || ||<|2><-2> {{{#000000 ''' 출생 ''' }}} ||[[1969년]] [[11월 28일]] ([age(1969-11-28)]세) || ||[[서울특별시]] || ||<-2> {{{#000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2> {{{#000000 ''' 종교 ''' }}} ||[[개신교]][* [[http://www.fgnews.co.kr/html/2014/0803/14080310441019120000.htm|참조]].] || ||<-2> {{{#000000 ''' 신체 ''' }}} ||182cm, 87kg || ||<-2> {{{#000000 ''' 직업 ''' }}} ||[[농구 선수]] ([[슈팅 가드]]/ ^^은퇴^^)[br][[농구 감독]] || ||<-2> {{{#000000 ''' 학력 ''' }}} ||서울강동초등학교 {{{-2 (졸업)}}}[br][[휘문중학교]] {{{-2 (졸업)}}}[br][[휘문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2 (학사)}}} || ||<-2> {{{#000000 ''' 실업 입단 ''' }}} ||[[1993년]] [[한국산업은행]] 농구단 || ||<-2> {{{#000000 ''' 현역 시절 등번호 ''' }}} ||5[* 나래, 모비스, 골드뱅크 및 코리아텐더 시절], 8[* 기아 시절], 6[* 삼성 시절] || ||<|4>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한국산업은행]] (1993~1996) [br] '''[[원주 DB 프로미|원주 나래 블루버드]] (1997~1998)''' [br]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998~2000) [br][[수원 kt 소닉붐|여수 골드뱅크-코리아텐더]] (2000~2002)[br][[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2~2003) [br] [[서울 삼성 썬더스]] (2003~2004) || || {{{#000000,#e5e5e5 ''' 감독 ''' }}} ||[[부천 하나원큐|부천 신세계 쿨캣]] (2006 / ^^대행^^)[br][[부천 하나원큐|부천 신세계 쿨캣]] (2007~2012)[br][[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2014~2016) || || {{{#000000,#e5e5e5 ''' 코치 ''' }}} ||[[부천 하나원큐|광주/부천 신세계 쿨캣]] (2005~2006)[br][[숭의여자고등학교]] (2019~ ) || || {{{#000000,#e5e5e5 ''' 해설 ''' }}} ||[[MBC ESPN]] (2004~2005)[br][[SBS ESPN]]-[[SBS SPORTS]] (2012~2013, 2014)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출신 [[농구 감독|감독]]. 사랑의 3점 슈터라는 별명을 얻으며 뒤늦게 스타로 발돋움했지만 챔피언 결정전에서 2차례나 준우승만 경험한 아쉬운 선수였다. 슛 능력 하나만큼은 거의 본좌급으로서 눈 가리고 던져도 다 넣었을 정도였고 농구대잔치 시절부터 프로 초창기까지 신기에 가까운 슛감을 바탕으로 [[3점 슛]] 분야를 거의 휩쓸었다. 그러나 약한 체력과 182cm의 작은 키였음에도 [[스몰 포워드|포워드]]를 봐야 했던 수비적인 약점이 점차 문제가 되었는데 단조로운 스타일, 발이 너무 느려서 속공 상황에선 허무하게 골을 내준 경우가 많았고, 수비가 너무 안 좋아서 상대 슈터에게 사실상 오픈 찬스 상황을 만든 바람에 [[저니맨]] 취급을 받았을 정도였다. == 선수 경력 == [[휘문고등학교]]를 거쳐 [[고려대학교]]에 진학했는데 당시 선배 [[김상식(농구)|김상식]], 동기 [[정한신]], 후배 [[윤호영(1970)|윤호영]] 등과 함께 고려대학교의 암흑기[* [[김병철(농구)|김병철]], [[전희철]], [[양희승]]이 입학한 시기까지 88-93년 고연전 6연패, 연대는 [[유도훈]], [[오성식(농구)|오성식]], [[이상범(농구)|이상범]], [[정재근(농구)|정재근]], [[김재훈(농구)|김재훈]] 등 이후 [[문경은]], [[이상민(농구)|이상민]]으로 이어진 시대]에 고군분투를 했다. 여담이지만 입학 후 내내 지기만 하다가 졸업 직전 간신히 한 번 이긴 적도 있었다. 대학 졸업을 한 뒤, 실업팀에서의 여러 제의가 있었다가 1993년 금융팀인 [[한국산업은행]]에 입단한 이후, 3점슛 왕을 2번이나 차지하고 팀의 주 득점포로 활약했지만 소속팀 [[한국산업은행]]이 전력이 약해 항상 꼴찌를 맴돈 탓에 스타로 대접받긴 힘들었다.[* 당시 공중파 농구 중계에서는 현대, 삼성, 연세대, 고려대 등 인기팀 위주로만 중계해서 산은, 기은, 한은 등 은행팀들의 중계는 보기 힘들었다. 신문기사에서나 정인교가 3점슛왕이라는 내용을 접한 농구팬들은 '정인교가 도대체 누구지?'하고 궁금해하다가 KBL 출범 후에야 그의 모습을 방송에서 처음으로 볼 수 있었다.] [[한국산업은행]] 해체 후, 새로 창단한 [[원주 DB 프로미|나래이동통신]] 소속으로 프로 출범 전 마지막 [[농구대잔치]]였던 [[1996-97 농구대잔치|96-97 농구대잔치]]에서도 득점왕, 3점슛왕을 동시에 차지했지만 팀이 7개팀 중 6위를 기록하는 등, 전혀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했다. [[파일:정인교_나래.jpg|align=center]] 하지만 [[한국프로농구|프로농구]] 출범 이후에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프로 초창기 전설적인 용병이었던 [[제이슨 윌리포드]], [[칼 레이 해리스]]와 콤비를 이루면서 2년 연속 3점슛 성공률 1위를 기록했고, 당시 3점슛 1개를 성공시킬 때마다 [[유니세프]]에 1만원씩을 적립하는 봉사 활동으로 '사랑의 3점 슈터'라는 애칭을 얻는다. 그러면서 당시 [[부산 kt 소닉붐|광주 나산 플라망스]]와 함께 2약으로 평가받던 [[원주 DB 프로미|원주 나래 블루버드]]를 프로 원년 챔피언 결정전에 올려놓는 기염을 토했다. 나래의 초대 프랜차이즈 스타로서 원주에 농구 붐을 일으킨 전국구 스타로 인기가 대단했다. ||
[[파일:정인교 코리아텐더.jpg|width=225]] || [[파일:모비스 정인교.jpg|width=225]] || [[파일:정인교썬더스.jpg|width=225]] || 그러나 [[1998년]] [[허재]]를 상대로 맞트레이드되어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로 옮긴 뒤에는[* 물론 팀 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실시한 트레이드였지만 [[원주시|원주]] 시민들은 [[원주시|원주]]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정인교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로 간다는 소식에 분노했고 그 여파는 한동안 상당했다. 나중에 [[허재]]가 나래에서 맹활약하면서 어느정도 수그러들긴 했지만.] 182cm의 작은 키와 느린 다리 때문에 속공이 주 공격 패턴인 기아의 농구에 적응하지 못해 주전 자리에서 밀려나면서 이 팀 저 팀 옮겨다니는 [[저니맨]] 신세가 되었다. [[부산 kt 소닉붐|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시절 FA 권리를 행사했다가 FA 미아가 되어 연봉 2천만원도 안 되어 수련선수 신세가 된 굴욕까지 맛보기도 했으며 이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모비스]]를 거쳐 [[서울 삼성 썬더스|삼성]]에서 마지막 불꽃을 태우고 은퇴했다. == 지도자/해설자 경력 == 은퇴 후, 여자농구팀 [[부천 하나원큐|부천 신세계 쿨캣]]의 [[코치(스포츠)|코치]]로 부임했다가 [[2006년]] [[감독 대행]]이 된 후, [[2007년]]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다. [[김정은(농구선수)|김정은]]을 길러 내며 신세계를 4강권에 안착시켰지만, 우승 도전을 위해 야심차게 영입한 [[김계령(농구)|김계령]] 카드가 실패하고,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레알 신한]]의 기세에 눌려 챔피언 결정전에는 진출하지 못하면서 [[세대교체]] 타이밍을 놓쳤다. 결국 2011-2012 시즌을 끝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되었으며, 신세계 쿨캣도 그 시즌을 끝으로 해체 직전까지 몰렸다가 현재의 [[부천 하나원큐|부천 KEB하나은행]]으로 재창단했다. 2012-2013 시즌부터 [[SBS Sports]]에서 여자프로농구 해설위원으로 데뷔했다. 이후 2014년 4월 30일, [[임달식]] 감독이 사임하자 [[임달식]]의 후임으로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의 감독에 부임했다. 하지만 지도자로서는 그다지 평이 좋지 않다. 이미 2007년 [[부천 하나원큐|부천 신세계 쿨캣]]에 처음 감독으로 부임하였을 때도 2007 겨울리그 빼고는 별다른 성적을 내지 못한데다 경기 운용면에서도 부실한 점이 많았었다. 이는 새로 둥지를 튼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는데, 신한은행이 2014-15 시즌 개막을 앞두고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힌 [[아산 우리은행 위비|춘천 우리은행 한새]]의 대항마로 떠올랐지만, 1위 싸움은 고사하고 우리은행에 압도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모자라 2015년 2월 기준으로 [[청주 KB 스타즈]]에게조차 2위를 빼앗길 위기에 놓이자 [[임달식]] 전 감독을 그리워하는 팬들까지 생겨나고 있다. 무엇보다 플레이오프 때 너무 안 좋았다. 신세계 감독 재임 시절에 '''8전 8패'''. 그럼에도 어찌저찌해서 정규리그 2위는 했지만, 리그 막판인 [[부산 BNK 썸|KDB]]전에서 고의적으로 대놓고 주전을 빼는 운영으로 역전패를 당하면서 [[프로농구 승부조작 사건|승부조작]]으로 망가진 남자농구의 사례를 보고도 정신 못 차렸다는 이유로 팬들~~과 토토쟁이들~~에게 분노를 사고 있다. ~~그리고 이 경기 다음 날 [[수원 현대건설/2014-15 시즌#s-3.6|더한 막장 행각]][* 그나마 신한은 순위가 확정된 마당+봄농구 맞상대가 아닌 팀과의 경기+구리 원정 경기라서 이런 거지만, 여긴 순위도 미정+봄배구 맞상대인 팀+수원 홈 경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딴 경기를 했다.]을 보인 [[양철호|모 여배감독]]과 같이 야무지게 까였다.~~ ~~근데 이 분은 다음 시즌 올스타전에서 팬 투표로 브라운팀 감독을 했다.~~ 그리고 [[청주 KB 스타즈|KB 스타즈]]와의 [[플레이오프]]에서 '''0승 2패'''로 [[스윕]]당해 결국 챔결에 올라가지 못하면서 플레이오프 무승 10패라는 굴욕이 추가되었다. 15-16 시즌에도 부진은 여전했는데, 특히 2016년 1월 8일 [[부천 하나원큐|부천 KEB하나은행]]과의 원정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신한은행 역사상 첫 5연패를 달성했다.[* 현대에서 신한으로 바뀐 이후 처음 기록이지만, 꼴찌로 시즌을 마친 2005 겨울리그도 최다 연패가 4연패에 불과했는데, 그 기록을 깨 버렸다. 하지만 17-18 시즌에 7연패를 하며 기록이 또 깨졌다.] 그 경기로부터 이틀 뒤에 열린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에게도 패하면서 6연패로 다시 기록 달성. 아주 [[흑역사]]를 실시간으로 쓰고 있다. 새해 첫날부터 대첩[* 3쿼터 12점차 리드 4쿼터에 다 까먹고 연장전 역전패.]을 벌이더니 이틀만에 다시 대첩[* 단 9초만에 57:56이 57:59로 대역전패. 상대인 KB가 5초 바이얼레이션에 걸려 시간만 다 쓰거나 자유투만 제대로 넣어도 이길 경기였다. 하지만 자유투 2개 몽땅 놓치고 리바운드까지 뺐겼다,]. 그리고 1주일만에 또 대첩을 시전[* 2쿼터까지 14점에 그쳤고(42실점) 최대 32점차까지 점수차가 벌어졌고 15-16시즌 최다 점수차인 '''28점차'''(49:77)로 패했는데, 전 기록은 상대팀인 삼성생명이 우리은행에 기록한 27점.]하며 안 그래도 이전 시즌들에도 정인교 감독에 대한 [[평판]]이 그닥 좋은 편이 못 됐는데, 지난 시즌들보다 성적이 나아지기는커녕 도리어 더 부진해지자 급기야는 정인교 감독을 성토하는 신한 팬들이 늘어나고 있다. ~~[[임달식]]의 복귀가 절실합니다!~~ [[현재]]는 그의 [[사퇴]] 혹은 [[경질]]을 거론하는 팬들이 많아져 신한 팬들에게 거의 신뢰를 잃어 '''"무능교"''', '''"돌인교"''' 등이라 불리며 '''[[금지어]]'''로 전락했다. 여기에 최근엔 여자배구에 그와 필적하는 [[이성희(배구)|모 쓰레기 감독]]과 함께 감독도 아닌 수준으로 세트로 까이고 있다. 그나마 금지틀이 안 걸리고 [[이충희]]로 비유되는 게 다행인 것은 '''경기력만 문제'''인 것이란 거다. [[혹사]] 혐의나 핑계로 선수를 대놓고 [[디스(비판)|디스]]하는 짓거리는 안 하기 때문. ~~그러니까 [[이성희(배구)|돌성희]]보단 [[양반]]이란 얘기다.~~ 결국 [[2016년]] [[1월 12일]],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감독직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잔여 경기는 [[전형수]] 감독대행 체제로 시즌을 치르게 되었다. 시즌이 끝나고 새로 임명된 이는 [[신기성]]. 세월이 흘러 2019년 11월 4일, [[숭의여자고등학교]] 농구부 코치를 맡았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2021년]] [[2020 도쿄 올림픽]] 이후 [[전주원]] 전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의 후임 감독 선임 공모에 [[양지희]] 전 [[부산 BNK 썸]] 코치와 한 조로 지원하였으나, [[정선민]] 전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코치와 [[최윤아]] 전 [[부산 BNK 썸]] 수석코치[* 감독 [[정선민]] - 코치 [[최윤아]]] 조에 밀려 선임되지는 못하였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원주 DB 프로미/선수단]] * [[수원 kt 소닉붐/선수단]]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선수단]] * [[서울 삼성 썬더스/선수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인교, version=40)] [[분류:1969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휘문중학교 출신]][[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슈팅 가드]][[분류:1993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분류:원주 DB 프로미/은퇴, 이적]][[분류:수원 kt 소닉붐/은퇴, 이적]][[분류: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은퇴, 이적]][[분류:서울 삼성 썬더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농구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