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초계 정씨]][[분류:춘천시 출신 인물]][[분류:1868년 출생]][[분류:1902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정인회}}}'''[br]'''鄭寅會'''}}}}}} || ||<|2> '''출생''' ||[[1868년]] || ||[[강원도]] [[춘천시|춘천도호부]] 북내면 우두리[br](현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춘천)|우두동]])[* [[초계 정씨]] 집성촌이다.] || ||<|2> '''사망''' ||[[1902년]] [[1월 1일]] || ||[[강원도]] [[춘천시|춘천군]] || || '''본관''' ||[[초계 정씨]]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정인회는 1868년생이며 강원도 춘천도호부 북내면 우두리(현 춘천시 우두동) 출신이다. 그는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이 잇달아 발발하자 1896년 1월 18일 춘천진어영의 초관(哨官) 출신 [[성익현]], 상인 박현성(朴玄成)을 규합하여 포군 400여 명과 함께 봉기한 뒤 명망높은 유학자 [[이소응(조선)|이소응]]을 의병대장으로 추대했다. 이후 춘천관찰부를 습격하여 의병의 본영으로 삼았고, 전임 춘천유수 민두호(閔斗鎬)의 생사당(生祠堂)을 불태우고, 그의 아들 민영준(敏泳駿)의 향제(鄕第)에 난입하여 집기를 불태웠다. 그러나 얼마 후 관군의 반격으로 의진이 해체되었을 때 체포되어 서울로 끌려가 모진 고문을 받았고, 풀려난 후 자택에 은거했으나 고문의 후유증을 이기지 못하고 1902년 1월 1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0년 정인회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1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