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손]][[분류:신경]] [include(틀:팔신경얼기)] ||||
{{{#000000 ''' ''median nerve'' '''}}}[br]{{{#000000 ''' ''(정중신경)'' '''}}} || |||| [[파일:정중신경.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정중신경([[正]][[中]][[神]][[經]], median n.)은 팔과 손 부위에 분포하는 말초신경으로, 특히 아래팔 앞칸에서 중요하게 분포하는 신경이다.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에서 분지되는 중요한 5개의 종말가지 중 하나이다. == 구조 == || [[파일:팔신경얼기.jpg|width=100%]] || [[파일:팔신경얼기모식도.jpg|width=100%]][*단어 MC=musculocutaneous, RAD=radial, MED=medial, AXI=axillary, ULN=ulnar.] || || {{{#000 '''팔신경얼기 전체 구조'''}}} || {{{#000 '''간단한 모식도'''}}} || 정중신경의 시작은 팔신경얼기의 가쪽다발(lateral cord) 종말가지인 '정중신경의 가쪽뿌리(C6, C7)'와 안쪽다발(medial cord) 종말가지인 '정중신경의 안쪽뿌리(C8, T1)'가 합쳐진 것이다. 위팔에서 정중신경과 [[자신경]](ulnar n.)은 가지를 내지 않은 채로 주행한다. 정중신경은 [[위팔동맥]](brachial a.)의 가쪽에서 주행하다가 팔오금에 다다를 때쯤 위팔동맥의 앞쪽으로 나와 가쪽에서 안쪽으로 위팔동맥을 가로지르고, 안쪽에 놓여서 [[위팔근]](brachialis m.)에 닿는다. 위팔근에 닿은 후에는 [[팔오금]](cubital fossa) 깊은 곳에 놓인다. 정중신경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곳은 아래팔의 앞칸이다. 팔오금을 떠날 때 이 근육은 [[원엎침근]](pronator teres m.)의 두 갈래 사이로 지나가서 밑쪽으로 향한다. 위팔에서 가지를 거의 내지 않는 정중신경은 이때 많은 근육가지들과 관절가지를 낸다. 일어나는 가지들에 대해서는 따로 서술한다. 그 후 [[손목]]에 다다르기 직전에,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힘줄과 [[노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radialis m.)의 힘줄 사이와 [[긴손바닥근]](palmaris longus m.) 힘줄 깊은쪽을 지나간다. 손목에 도달한 정중신경은 [[자동맥]](ulnar a.)과 함께 아래팔 앞칸에서 내려온 굽힘근들의 힘줄들, 굽힘근지지띠, [[손목터널]](carpal tunnel)을 차례로 지나서 손으로 들어간다. 이후 정중신경의 겉쪽에는 [[손바닥널힘줄]](palmar aponeurosis)과 [[얕은손바닥동맥활]](superficial palmar arch)이 오게 된다. 이때 정중신경이 안쪽개와 가쪽가지로 나뉘게 된다. 이후의 가지들에 대해서는 밑의 '가지' 문단 참조. === 가지 === || [[파일:정중신경분포.png|width=100%]] || [[파일:정중신경모식도.png|width=100%]] || || {{{#000 '''정중신경 전체 구조'''}}} || {{{#000 '''정중신경 구조 모식도'''}}} || 위팔에서는 위팔동맥으로 가는 신경가지를 내기는 하지만, 매우 작은 가지이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가지가 아래팔에서부터 나온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다만, 팔꿉관절 근처에서 팔꿉관절로의 관절가지(articular branch)와 [[원엎침근]](pronator teres m.)으로의 근육가지(muscular branch)가 일어나기는 한다. * 아래팔에서의 가지 * [[앞뼈사이신경]](anterior interosseous n.) - [[긴엄지굽힘근(손)|긴엄지굽힘근]](flexor pollicis longus m.),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m.)의 가쪽 부분,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 m.) 등에 근육가지를 내며, [[자동맥]] 가지인 [[앞뼈사이동맥]](anterior interosseus a.)과 함께 깊은손가락굽힘근과 긴엄지굽힘근 사이를 주행하여 손목관절이나 손목뼈사이관절들에도 관절가지를 낸다. * [[원엎침근]]으로의 가지 * [[노쪽손목굽힘근]]으로의 가지 * [[긴손바닥근]]으로의 가지 * [[얕은손가락굽힘근]]으로의 가지 * [[손바닥가지]](palmar cutaneous branch) - [[굽힘근지지띠]](flexor retinaculum)에 도달하기 직전에 나오는 가지. 손바닥에서 새끼손가락 쪽의 피부에서 감각신경으로 작용한다. ---- || [[파일:정중신경손가지.jpg|width=100%]] || || {{{#000 '''정중신경의 손에서의 가지'''}}} || * 손에서의 가지 - 굽힘근지지띠를 지난 이후 안쪽가지(medial branch)와 가쪽가지(lateral branch)가 내는 가지들이다. * [[정중신경 되돌이가지]](recurrent branch of median n.) - 굽힘근지지띠를 지난 직후에 갈라져 나와서 몸쪽으로 되돌아오는 가지로, 엄지두덩근육인 [[짧은엄지벌림근]](abductor pollicis brevis m.), [[짧은엄지굽힘근]](flexor pollicis brevis m.)의 얕은쪽, 그리고 [[엄지맞섬근]](opponens pollicis m.)을 지배한다. *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proper palmar digital n.)으로 나뉜 후, 다시 각 손가락으로 가는 [[온바닥쪽손가락신경]](common palamar digital nn.) 3개가 나온다. 온바닥쪽손가락신경에서 가쪽(=엄지손가락 쪽)의 [[벌레근(손)|벌레근]](lumbricals m.) 2개[* 즉, 첫째와 둘째 벌레근.]를 지배하는 근육가지가 나온다. == 분포 == || [[파일:팔과손피부신경.jpg|width=100%]][* 왼쪽이 손바닥면, 오른쪽이 손등면.] || || {{{#000000 '''아래팔과 손에서 감각신경의 분포'''}}} || 위에서 이미 본 것처럼 아래팔 앞칸 근육들과 엄지두덩근육, 벌레근 등의 근육들에 주로 분포한다. 손의 피부에서는 위 그림의 MN이라고 쓰인 부분에서 감각신경섬유들을 낸다. 구체적으로는 첫째~셋째 손가락 전부와 넷째 손가락의 가쪽 절반 부분에 해당하는 손바닥 피부 전체를 지배하며, 손등면 피부에서는 그보다 지배하는 부분이 적어 해당 손가락들의 먼쪽 절반 정도 피부만 지배한다. == 사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아래팔실제.jpg|width=100%]]}}} || || 아래팔 부분의 실제 해부된 모습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손바닥동맥실제.jpg|width=100%]]}}} || || 손바닥 부분의 실제 해부된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