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芝龍 [[1604년]] 4월 16일 ~ [[1661년]] 11월 24일 [목차] == 개요 == 동아시아의 격동기였던 [[명나라]] 말기와 [[청나라]] 초기('''[[명청교체기]]''')에 활약한 대상인이자, 해적이었으며 부흥 정권인 [[남명]]의 수군 장수였다. 자는 비황(飛黃), 호는 비홍(飛虹), 아명은 일관(一官)이었으며, 대만 섬에 건국된 정씨 [[동녕 왕국]]의 건국자인 [[정성공]]의 아버지로 '''정사표'''(鄭士表)와 황씨(黃氏)의 아들이었다. 세례명은 니콜라스 가스파르드 이콴(Nicholas Gaspard Iquan)이었다. == 생애 == 명나라 남부 [[복건성]] [[취안저우시|천주시]] 남안현 사람으로 하급 관리 집안에서 태어나 18세 때 가출해 상인인 외삼촌 황정을 따라 [[일본]], [[중국]], [[대만]] 등을 오가며 무역을 하면서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세력을 키웠다. 그러다가 거상 이단의 부하가 되어 일본의 히라도번으로 건너가 이단의 총애를 받았으며, 이단의 양아들이 되고, [[안사제]]의 딸과 결혼하는 방법을 통해 조직 내에서 세력을 키웠다. 일본 [[나가사키]] [[히라도]]에서 히라도번의 번사 다가와 시치자에몬의 딸인 다가와 마츠(田川松)와 혼인해 훗날 [[타이완 섬]]에 [[동녕 왕국]]([[명정(동녕 왕국)|명정]])을 건국하는 [[정성공]](아명은 '후쿠마츠')을 낳았다. 정지룡은 어린 정성공을 일본에 두고 다시 중국으로 떠나 [[포르투갈령 마카오]] 등에서 활동했고, 민남어, 남경관화, 일본어, 네덜란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에 능통했기에 [[1624년]]에는 팽호항에서 네덜란드어의 통역을 맡았다. [[1625년]]에 주군인 이단과 장인인 안사제가 죽자 그 둘의 세력을 흡수하고 이국조, 허심소 등의 경쟁자들을 격파해 그 세력을 흡수했다. 결국 북경의 명나라 조정에게 세력을 인정받아 [[1628년]]에 도독동지에 임명되었고, [[1630년]]에는 정성공을 중국으로 데려왔다. 정지룡은 비록 자신은 거칠게 살아왔지만, 아들은 확실하게 중국식 유학 교육으로 엘리트 코스를 밟게 하겠다고 생각해 아들의 교육에 각별히 공을 들였다. 이는 정성공의 생애에 큰 영향을 미쳤다. [[1633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한스 푸트만스가 중국 연안으로 오자 [[진먼현|금문]]의 '''요라만 해전'''에서 격파해 조약을 맺었으며, 유향이 푸트만스에게 가담한 것을 알고 추격해 [[1635년]]에 일어난 '''광동 해전'''에서 승리해 죽게 만들어 이때의 공으로 복주도독이 되었다. 이후 복건성의 8개 지역이 정씨의 땅이 되었다는 말이 떠돌거나, 동인도회사가 일본 함선으로 위장해 정씨의 깃발을 사야 할 정도로 세력을 떨쳤다. [[1644년]] 농민 반란인 [[이자성의 난]]으로 제16대 의종 [[숭정제]]가 자결하고, 명나라가 멸망하자 처음에는 [[남명]]을 받들어 반청복명운동에 가담해 남명 제2대 [[융무제]]를 섬겼지만, 곧 청나라가 대세임을 깨닫고 [[1646년]]에 투항해 북경에서 동안후에 봉해졌다. 그러나 장성한 아들이었던 정성공이 철저한 유학 교육으로 인해 명나라에 대해서 일편단심이라, 아버지와 갈라서고 계속해서 청나라에 대항하자 [[1655년]]에 정지룡은 투옥되었다. 이후 청나라 조정의 명령으로 아들 성공에게 귀순을 권유했지만 실패했고, 이 일로 이용가치가 바닥나자 결국 모반죄를 적용받아 [[1661년]] 11월 북경의 시시에서 처형되었다.[* 공교롭게도 정지룡이 처형되고 1년 후에 정성공은 말라리아에 걸려서 병사했다.] [[분류:명나라의 인물]][[분류:청나라의 인물]][[분류:동녕국]][[분류:동중국해의 해적]][[분류:17세기 해적]][[분류:1604년 출생]][[분류:1661년 사망]][[분류:취안저우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