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1994년 출생]][[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Chovy 닉네임을 쓰는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rd1=정지훈(2001))]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 ||<-2> [[파일:201505041333775689_5546f6b65021c.jpg|width=220]] || ||<-2> '''{{{#white 프로필 }}}''' || || 이름 || 정지훈 || || 로마자 이름 || Jung Ji-hoon || || 생년월일 || [[1994년]] [[2월 16일]] ([age(1994-02-16)]세) || || 국적/출생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 || 혈액형 || [[B형]] || || 종족 || [[테란]] || || 現 소속 || 은퇴 || || ID || '''jjakji'''[* 짝지라고 읽는다. 유래는 스타1 연습생 시절에 동명이인의 정지훈이 같은 숙소에 있었는데 본인의 키가 작아서 '작은 지훈'을 줄여 짝지라고 불리게 된걸 따왔다고 직접 밝혔다.] || || 2013 WCS 순위/점수 || 85위/525점 || || 2014 WCS 순위/점수 || 11위/3475점 || || 2015 WCS 순위/점수 || 99위/275점 || || 2016 WCS Korea 순위/점수 || 공동 50위/200점 || || 2017 WCS Korea 순위/점수 || 26위/775점 || || 2018 WCS Korea 순위/점수 || 공동 42위/200점 || || SNS || [[https://twitter.com/SC2_JJAKJI|트위터]]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3182463763|페이스북]] [br] [[http://www.cyworld.com/Jh_8640|미니홈피]] || || 방송국 || [[https://www.twitch.tv/my45900|트위치]] || ||<-2> 소속 기록 || || [[eSTRO]] || 2008 ~ 2010 || || [[NS호서]] || 2011-02-25 ~ 2013-07-31 || || [[mYinsanity]] || 2013-08-01 ~ 2015-05-04 || || [[스베누(프로게임단)|SBENU]] || 2015-05-04 ~ 2015-12-01 || || [[kt 롤스터]] || 2015-12-01 ~ 2016-10-18[* kt롤스터의 공식적인 해단은 10월 18일이다. 일부 선수들은 계약이 [[2016 WCS Global Finals]]의 지원까지로 연장되었다.] || || Team RevolutioN || 2017-01-27 ~ 2017-12-31 || || [[TitanEX1]] || 2018-01-05 ~ 2018-06-02 || [목차] [clearfix] == 경력 == [include(틀:역대 GSL 우승자)]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 2010년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2]] 64강 * 2011년 * [[펩시 GSL Aug.]] [[코드 A]] 8강/[[승강전]]/[[코드 S]] 승격 * [[Sony Ericsson GSL Oct.]] [[코드 S]] 32강 * [[Sony Ericsson GSL Nov.]] [[코드 S]] '''우승''' (VS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4:2) * 2012년 * [[2012 HOT6 GSL Season 1]] [[코드 S]] 16강/[[코드 A]] 3라운드 통과 * [[2012 HOT6 GSL Season 2]] [[코드 S]] 32강/[[코드 A]] 3라운드 * [[Iron Squid Chapter 1]] 8강 (VS [[임재덕]] 2:3) *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승강전]] → [[코드 A]] 2라운드 (VS [[장현우(프로게이머)|장현우]] 1:2) * [[IPL 4]] 9-12th * [[2012 HOT6 GSL Season 4]] [[승강전]] → 코드 A 1라운드 (VS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0:2) * [[2012 HOT6 GSL Season 5]] [[코드 A]] 1라운드 (VS [[ * 기타대회 * [[IPL Tournament of Champions]] 우승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 2013년 *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16강 (VS [[정윤종]] 2:3)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챌린저 리그 2라운드→ 그룹 스테이지 통과 * [[JOGUNSHOP GSL]] 코드 S 6위 (VS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1:3) * [[HomeStory Cup]] VIII 3위 (VS [[강동현]] 3:1) * ASUS ROG NorthCon 2013 16강 * 2014년 * IEM Season VIII - Cologne 8강 (VS [[정윤종]] 1:3) * [[IEM Season Ⅷ - World Championship]] 8강 (VS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0:3) * IEM Season VIII - Sao Paulo 4강 (VS [[장민철]] 1:3) * --[[2014 HOT6 GSL Season 1]] 코드 S 출전--[* 활동지역을 유럽으로 바꾸었다.] * [[2014 WCS Europe Season 1]] 프리미어 리그 4강 (VS [[장민철]] 1:3) * [[2014 WCS Europe Season 2]] 프리미어 리그 1라운드 탈락 * [[2014 WCS Europe Season 3]] 프리미어 리그 1라운드 탈락 * [[2014 DreamHack Open: Bucharest]] 16강 (VS [[손석희(프로게이머)|손석희]] 1:2) * [[2014 DreamHack Open: Summer]] 16강 (VS [[MaNa]] 0:2) * [[HomeStory Cup]] IX 8강 (VS [[장민철]] 0:3) * IEM Season IX - Shenzhen 16강 * [[2014 DreamHack Open: Moscow]] 준우승 (VS [[문성원]] 1:3) * [[2014 DreamHack Open: Stockholm]] 16강 (VS [[조지현]] 0:2) * [[2014 WCS Global Finals]] 16강 (VS [[강초원(프로게이머)|강초원]] 0:3) * [[HomeStory Cup]] X 32강 * [[2014 DreamHack Open: Winter]] 4위 (VS [[윤영서]] 0:3) * 2015년 * [[2015 KeSPA Cup Season 2]] 16강 (VS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 0:3) * [[2015 GSL Season 3]] 코드 A 48강 (VS [[최성일]] 0:3) * 기타대회 * [[AIMAG 스타2 국가대표선발전]] B조 16강 ===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 2016년 * [[2016 GSL Season 1]] 코드 A 60강 (VS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0:3) * [[Starcraft 2 StarLeague 2016 Season 2]] 챌린지 탈락 * [[2016 GSL Season 2]] 코드 A 48강 (VS [[김명식(프로게이머)|김명식]] 1:3) * [[IEM Season XI - Gyeonggi]] 16강 * 2017년 * [[2017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24강 * [[SSL Challenge 2017 Season 1]] 퍼스트 스테이지 B조 5위 * [[VSL|2017 VSL Season 1]] 16강 * [[VSL|2017 VSL Season 1 - Team League]] '''우승''' (VS TEAM herO 4:3) * [[VSL|2017 VSL Season 2]] 16강 * [[SSL Challenge 2017 Season 2]] 세컨드 스테이지 5위 * [[2017 GSL Season 3]] 코드 S 32강 * [[HomeStory Cup]] XVI 16강 * 2018년 * [[2018 GSL Season 1]] 코드 S 32강 == 상세 == 과거 [[스타크래프트]] 시절에는 [[eSTRO]]의 연습생으로 활동했었다. 오픈시즌에서 탈락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NS호서]]에 입단한 뒤 래더에서 한 시즌에 랭킹 1,2,3위에 모두 본인의 계정을 올려놓는 괴물같은 모습을 보여주며 무서운 테란 선수 중 손꼽히는 게이머가 되었다. [[2011 GSTL 시즌 1]]이 열리고 호서가 처음으로 GSTL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황영재]], [[안준영(게임 해설가)|안준영]] 등의 해설위원들은 경기 중 시청자들에게 생소한 이름인 정지훈이 언젠가 세상을 놀래킬 선수라 단호하게 장담하였고 GSTL에서 올킬을 하며 본인의 팀을 비너스 디비전 조 1위로 이끄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추후 치러진 정지훈의 결승전에서 안준영에 말에 따르면 본인이 꽤 많은 경기수를 관전했지만 정지훈이 단 한 판도 지지않았다고. 이후 개인리그에서도 돌풍을 일으키며 코드 S를 밟아본지 2번째 시즌만에 우승을 움켜쥐며 새로운 테란 우승자 라인에 이름을 올리며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다음해에 우승자 징크스를 피하지못하고 부진을 보여주며 시즌3에는 결국 예선까지 떨어지게 된다. NS호서의 해체로 인해 팀의 에이스였던 그의 거취에 관심이 모여졌고, 결과적으로 그의 소속은 손석희가 속해있는 MYinsanity라는 것이 결정되었다. 일단 2013년은 국내에서 활동을 계속했지만[* 정승일, 박진영과 비슷한 경우.], 2014년 팀의 소재지역인 유럽으로 활동지역을 옮겼다. == 플레이 스타일 ==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초중반 운영을 빈틈없이 가져가고, 이후 터져나오는 물량이 경이로운 선수이다.경기 시간이 20분대에 들어설 때 까지 광물과 가스가 200을 넘지 않고 계속 생산을 해 대는 모습은 경이로울 정도. 저그를 상대로는 날빌도 잘 찌르지만 오히려 회전력으로 맞불을 놓는 테란 중 한 명이다. 교전컨을 바탕으로 미네랄만 소비하는 해병으로 저그의 맹독충, 뮤탈리스크 등 가스 유닛을 교환해 주며 저그를 조금씩 조금씩 침몰시키는 회전력이 무시무시하다. 6여왕 빌드가 탄생하며 테저전 밸런스가 저그 쪽으로 기운 2012년 중반 테란이 결국 최종적으로 도달한 테저전의 메커니즘과 굉장히 흡사한 운영이었기 때문에 2012년 중반 이후에도 저그를 상대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토스 전에서는 타이밍 찌르기가 굉장히 무서운 선수인데, 토스의 빌드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서 절묘한 타이밍에 강한 찌르기가 들어와 많은 토스 선수들을 잡아냈다. 테란이 토스전을 어려워 하던 시절에도 토스는 어렵지 않게 잡아냈다. 약점은 테테전. 숨겨진 테막이다. 기본기가 좋아서 물량이 많이 나온다고는 하지만 사실 테테전에서 해병 물량은 너무나 순식간에 뒤집히기 쉬운 요소다. 공성전차 물량이야 한 게임에서 많아야 열 댓 기 나오는 유닛인데 큰 차이가 날 리 없다. HP 는 낮은 대신 화력은 강해 눈깜짝할 사이에 순삭 대전이 되어 버리는 테테전에서 이정훈처럼 너무 상대방에게 달려드는 게 문제. [[윤영서]]를 상대로는 공성전차 포격전에서 완패했고,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을 상대로는 한번 막아낸 병력을 신내서 추적하다가 역공에 병력이 전멸하고 패배했다. 그래서 승률이 65%, 64%에 달하는 저그전, 토스전과 달리 테테전 승률은 52% 정도에 그친다. 2012년 초중반에 찾아온 부진과 슬럼프도 사실 테테전이 원인. == 연도별 경기내용 == === [[정지훈(1994)/2010-11|2010-11년]] === === [[정지훈(1994)/2012|2012년]] === === [[정지훈(1994)/2013|2013년]] === === [[정지훈(1994)/2014|2014년]] === === 2015년 === === 2016년 === kt 롤스터로 이적했다. [[2016 GSL Season 1]] 코드 A에서 김도우에게 3:0으로 완패했다. 이영호의 빈자리를 대신하며 KT에 입단하였지만 프로리그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SSL, GSL 시즌2 양대 예선을 모두 뚫었지만 GSL은 코드 A에서 김명식에게 3:1로 패배, SSL 챌린지에서는 2승 7패 조 6위로 탈락했다. == 기타 == * [[Sony Ericsson GSL Nov.]] 항목 이후로는 업데이트가 뜸해질 정도였으며, [[WCS]]에서 이재호에게 충격의 패배를 당하기도 하는 등 기량의 하락이 눈에 보일 정도였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9월 5일 WCG 2012 대표 선발전 16강에서 해외에서 날아다니고 있는 테란 [[윤영서]]를 2:1로 꺾고, 9월 7일 [[2012 HOT6 GSTL Season 3]]에서 [[정종현]]을 상대로 승리하는 등 부활의 예고를 하고 있다. 하지만 WCG 8강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던 선수는 다름아닌 [[이정훈(프로게이머)|해병왕]]이었고, 결국 셧아웃당해 탈락했다. * 2015년 5월 4일에 소속팀 mYinsanity와 결별하고 스타테일에서 새롭게 출발하는 스베누로 이적했다. * 2015년 12월 1일부로 KT에서 은퇴한 [[이영호]]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서성민]]과 맞트레이드 되어 KT소속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 카톡으로 프로토스의 대한 분노를 감추지 않고 있다. 별명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119684|18테란]]이 되었다. *ID인 짝지는 '지훈'이라는 이름을 지닌 키가 큰 친구가 큰지였고, 키가 작았던 자신이 '짝지'였던 것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 2018년 7월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88895&page=1|훈련소]]에 입영하였다.. * 이후 GSL 10주년 토크쇼에서 [[전태양]]에 의해 밝혀진 바로는 복귀 생각이 있었으나 전태양이 반대했다고 한다. 그 이후 전태양의 극딜은 덤. * 현재는 전역 후 담원게임아카데미 코치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승현의 사건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깨지지않은 GSL 최연소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있다. 6월 2일 SNS를 통해서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c2&no=62451&page=1|은퇴]]를 선언한다. == 관련 문서 == * [[e스포츠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