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399 23%, #fff 23%, #fff 77%, #F9D537 77%)" '''{{{#003399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3399 {{{+1 정진근}}}[br]鄭鎭瑾 | Jeong Jin-ge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진근.jpg |width=100%]]}}} || ||<|2> '''출생''' ||[[1907년]] [[9월 29일]] ||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상북면(양산)|상북면]] 소석동[br](現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양산)|상북면]] 석계리 구소석마을 824번지)[* [[http://aks.ai/GC01401853|디지털양산문화대전]]] || ||<|2> '''사망''' ||[[1984년]] [[7월 25일]] (향년 76세) ||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상북면(양산)|상북면]] 석계리 자택 || || '''묘소'''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상북면(양산)|상북면]] 상삼리 산26번지 선영 || || '''학력''' ||상북공립보통학교 {{{-2 ([[졸업]])}}}[br][[보성고등학교(서울)|경성부 보성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와세다대학]] [[대학 전문부|전문부]] [[정치학과|정치학부]] {{{-2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 / [[중퇴]])}}} || || '''상훈'''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 생애 == 1907년 9월 29일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現 [[양산시]]) [[상북면(양산)|상북면]] 석계리 824번지에서 아버지 정순모(鄭舜謨)의 아들로 태어났다. 상북공립보통학교, [[보성고등학교(서울)|경성부 보성고등보통학교]](現 [[보성고등학교(서울)|서울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 [[대학 전문부|전문부]] [[정치학과|정치학부]] [[정치경제학|정치경제과]]에 입학했다. 이후 교내 독립운동 학생모임에 가입했고, 아버지와 상의해 독립운동 자금을 헌납했다. 그러나 이 사실이 탄로나 [[일본 제국 경찰]]의 수배를 받게 되자, 동기생이었던 [[윤치영]]과 함께 [[미국]]으로 망명할 계획을 세웠다. 이후 [[중화민국]] [[상하이시]]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미국으로 가는 항공편을 기다리던 중 일본 제국 경찰의 회유에 넘어간 아버지의 권유로 1934년 귀국했다. 귀국 후 [[경기도]] [[경성부]] [[종로]](現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던 본가로 갔다가 그곳에서 잠복 중이던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되어 수개월간 옥고를 치렀으며, 출옥 후에도 일본 제국 경찰의 감시대상에 올랐다. 1939년 상하이시로 다시 망명했으나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잠시 귀국했다. 그러나 양산군 본가로 가던 도중 경기도 경성부 [[영등포동|영등포정]](現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영등포역]]에서 잠복 중이던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돼 1년여 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가족들과 함께 낙향해 농업에 종사하던 중 [[8.15 광복]]을 맞았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양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서 활동하던 중 [[국회 프락치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지만, 윤치영의 도움으로 유학시절 독립운동자금 지원 등의 공적을 인정받아 구제받았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양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서장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남도 양산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무소속 [[지영진]]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1969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받았다. 1984년 7월 25일 오전 7시 30분 경상남도 양산군 상북면 석계리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407260032920202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7-26&officeId=00032&pageNo=2&printNo=11947&publishType=00020|사망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양산군]][* 제13선거구] ||<|3> [include(틀:무소속)] || '''12,184표 (54.67%)''' || '''당선 (1위)''' || '''초선'''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남 양산군[* 제14선거구] || 2,813표 (13.02%) || 낙선 (4위) ||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2,399표 (11.44%) || 낙선 (3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양산시 출신 인물]][[분류:1907년 출생]][[분류:1984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국민훈장 무궁화장]][[분류:보성고등학교(서울)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