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jpg]] [목차] == 개요 == 8세기 [[통일신라]]에서 [[일본]]으로 수출한 1300년 전 [[숟가락]] 유물 346점. 현재 일본 [[정창원]]에 소장 중이다. == 내용 ==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2.jpg]] 일본 [[동대사]]의 [[정창원]](正倉院)에는 서기 700년 무럽 [[통일신라]]로부터 수입한 물품들이 많이 소장되었다. 대표적으로 [[가야금]](伽倻琴)의 전통을 이어받은 [[정창원 신라금|신라금]](新羅琴)과 [[정창원 신라 먹|신라산 먹]], [[정창원 신라 양탄자|신라산 양탄자]], [[정창원 신라 유기그릇|신라산 유기그릇]], [[정창원 신라 유기접시|신라산 유기접시]], [[민정문서]]와 [[제2신라문서]] 등이 이 곳에 있다. 이 숟가락들 또한 당시 신라에서 만들어져 일본으로 수출된 것들이다.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4.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5.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6.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7.jpg]]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15.jpg]] 제작한 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숟가락 세트 346점은 신라에서 처음 수출할 당시 [[포장]]까지 그대로이다. [[일본]]에서 신라 물건을 살 수 있었던 사람은 고위 [[귀족]]들 또는 유력자(有力者)들이었던 관계로, 이 숟가락은 일본 왕실에서 직접 관리할 정도로 당시 [[일본인]]들에게 대단한 호사(豪奢)품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고도로 발전된 금속공예술을 통해 금속 숟가락을 양산했던 신라와 달리, 당시 일본에서는 가비라고 일컬어지는 [[조개]]껍데기를 [[나무]]에 엮어 숟가락 대신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3.jpg]]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4.jpg]]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5.jpg]]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6.jpg]] * 사진 출처 : 韓半島の高錫青銅器の熱処理技術・製作技術研究.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芸術文化学部 정창원에 소장된 이 숟가락들은 전반적으로 2세기~6세기경 [[한반도]]의 [[밀양]], [[창원]], [[거제]] 등에서 사용했던 숟가락과 모습이 비슷하다.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7.jpg|width=600]]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8.jpg|width=600]]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9.jpg|width=600]]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10.jpg|width=600]]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11.jpg]] <[[안압지]]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숟가락들> 또한 신라의 궁궐터 중 [[안압지]]에서는 3만 2천여 점에 이르는 신라시대 왕실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그중 왕실에서 사용했던 숟가락도 수백여 점이 출토되었다. 이때 발견된 안압지 숟가락들은 그 형태가 정창원 숟가락과 거의 동일하여 서기 700년대 무렵 신라와 일본의 활발한 교류를 증명한다. 정창원(正倉院)의 보물로 상징되는 8세기 일본 문화를 덴표(天平) 문화라고 한다. [[일본]]이라는 [[국호]](國號)도 이때 처음 사용된다. 정창원 숟가락을 비롯한 신라시대 유물들은 신라의 선진문물을 흡수하여 문화적 성장을 꾀하던 일본의 모습을 보여준다.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12.jpg]]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13.jpg]]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14.jpg]] [[https://ehddu.tistory.com/2127|사진 출처 : 나라국립박물관奈良国立博物館1 : 정창원전正倉院展]] [[분류:신라의 공예]] [[분류:해외 소재 문화재]] [[분류:쇼소인 소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