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 [목차] == [[正]][[初]] == 정월의 초승. 또는 그해의 맨 처음. == [[正]][[草]] == 1. 과거 시험에 쓰던 종이. 2. 정서로 글의 초를 잡음. 또는 그 글. 3. 사초를 뽑을 때 중초를 보충하여 실록에 옮겨 쓰는 일. == [[定]][[草]] == 완전히 결정한 글의 [[기초]](起草). == [[定]][[礎]] == 1. 사물의 기초를 잡아 정함. 2. 기초 또는 주춧돌을 설치하는 일.[* 그래서 건물의 머릿돌에 표기된 한자말이 바로 '정초. ○○○○년 ○월 ○일'이다. 머릿돌의 또 다른 표현이 '정초석'인 것도 이 때문.] == [[庭]][[草]] == 뜰에 난 풀. == [[旌]][[招]] == 학덕이 높은 선비를 과거를 거치지 아니하고 유림(儒林)의 천거로 벼슬에 부르던 일. == [[鄭]][[招]] == (?~1434) 조선 [[세종(조선)|세종]] 때의 문신. 왕명으로 [[정인지]] 등과 함께 간의대를 만들었으며, ≪농사직설≫, ≪회례문무악장≫, ≪삼강행실도≫의 편찬을 주재하였고 역법을 개정하였다. 벼슬은 대제학에 이르렀다. == [[鄭]][[樵]] == (1104~1162) 중국 [[송나라]] 때의 사학자. 협제 선생이라고도 불렸으며, [[고종(송)|고종]] 때 추밀원, 편수관등의 지위에 올랐으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저소로 <[[통지]]>, <이아주>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