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카드군)] [include(틀:후도 유세이 덱 관련 문서)] ||<:><-6>'''{{{#FDEEE1 {{{+3 정크}}}}}}''' || ||<-6><:><#fff,#191919>{{{#!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싱크로 체이스.png|width=100%]],,[[싱크로 체이스|{{{#595287 싱크로 체이스 --정작 이 카드 대상에 정크가 포함되지 않음--}}}]],,}}}|| || '''{{{#393558 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정크''' || || '''{{{#393558 일어판 명칭}}}''' ||<-5><#fff,#191919> '''ジャンク''' || || '''{{{#393558 영어판 명칭}}}''' ||<-5><#fff,#191919> '''Junk''' || ||<-2> '''{{{#393558 속성}}}''' ||<-2> '''{{{#393558 종족}}}''' ||<-2> '''{{{#393558 관련 카테고리}}}''' || ||<-2><^|1><#fff,#191919>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땅 속성이 많긴 하다. 정작 메이저인 [[정크 싱크론]]과 [[정크 워리어]]는 어둠 속성.][* 단, 정크 버서커와 스피더는 바람 속성이다.] ||<-2><^|1><#fff,#191919> [[전사족]], [[기계족]][* 기계족은 정크 자이언트, 정크리보만 해당. 나머지는 전사족.] ||<-2><^|1><#fff,#191919> 효과, 튜너, '''싱크로''', 링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의 카드군으로, 사용자는 [[유희왕 5D's]]의 [[후도 유세이]], [[쿠즈야마 테츠조]]. 테츠조의 덱을 보며 유세이가 '할아버지도 나와 같은 정크 덱인가?'라고 말한 것을 보면 본인은 자신의 덱을 정크 덱으로 여기고 있다. 실제로도 [[터보 워리어|터보]], [[니트로 워리어|니트로]], [[로드 워리어|로드]], [[드릴 워리어]] 등 다른 [[워리어(유희왕)|워리어]] 계통과는 달리 여러 종류의 몬스터를 소환해 그의 대표 카드군이라는 느낌을 줬으며, 코믹스에서는 아예 주력으로 사용한다. 유세이는 "쓸모없는 카드는 없다"는 신조를 가지고 있으며 버려진 카드를 주워서 자신의 덱을 만들었는데, 이 점을 부각시키는 것이 이 정크(쓰레기) 카드군이다. "정크"라고는 해도 정크 컬렉터 정도를 제외하면 디자인에서 쓰레기의 요소를 찾을 수는 없고, 나사 등 기계로서의 요소가 더욱 부각된다. OCG의 정크 카드군은 이름에 걸맞게 묘지의 카드를 이용하는 카드가 비교적 많다. 다만 전혀 무관한 효과도 많고 그 효과들도 들쭉날쭉해서 하나의 카드군으로서 기능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보통 일부 강력한 카드들을 싱크로 위주 덱에 투입하여 전개 수단으로 삼는 데에 사용된다. == 효과 몬스터 (튜너) == === 레벨 1 === ==== 정크 메일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23년)] [[파일:gn186897.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메일,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メイル, 영어판 명칭=Junk Mail, 레벨=1,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400, 수비력=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한 싱크로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턴에 묘지로 보내져 있지 않은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원래의 카드명에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싱크로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코믹스 28화에서 [[크로우 호건]]과 상대할 때 사용한 몬스터. [[라이트닝 워리어]]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되어 전투 내성을 주었으며 이 효과의 적용시 메일이라는 이름답게 라이트닝 워리어의 갑옷이 되었다. ①의 효과는 원작의 효과를 그대로 가져온 소소한 전투 내성. ②는 OCG화 되면서 추가된 효과인데 묘지로 보내진 턴에 발동하지 못하고 발동조건까지 있기때문에 [[그로우업 벌브]] 나 [[레볼루션 싱크론]]에 밀린다. 차별점이라면 전사족이기때문에 [[증원]]과 정크 몬스터이므로 [[제트 싱크론]]으로 서치가 가능하다는 정도. 대상 내성이나 효과 내성 부여 였다면 그나마 사용처가 있었을텐데 현재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많이 아쉬운 카드이다. === 레벨 2 === ==== 정크 앵커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4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5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앵커,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アンカー, 영어판 명칭=Junk Anchor, 레벨=2,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싱크론" 튜너 대신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튜너 이외의 자신 묘지의 "정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그 몬스터와 이 카드만을 소재로서\, "싱크론" 튜너를 소재로 하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싱크로 소환한다. 그때의 싱크로 소재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으며 제외된다.)] [[V점프]] 정기 구독 특전으로 등장한 새로운 정크 몬스터. [[퀵 싱크론]]마냥 다른 싱크론을 대신해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으며, 패 1장을 코스트로 묘지의 정크와 함께 제외되면서 싱크론을 소재로 하는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머리 모양과 컬러링이 울트라맨 느낌이 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V점프]](2014년 5월) 1년 정기 구독 특전 || VJMP-JP09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ed Souls]] || CROS-EN091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 Vol.10 || PP10-KR037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정크 싱크론]] ==== ==== 정크 체인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117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체인저,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チェンジャー, 영어판 명칭=Junk Changer,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900, 효과외1="정크 체인저"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필드의 "정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대상 몬스터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대상 몬스터의 레벨을 1개 내린다.)] 정크 몬스터의 레벨을 조정해 다양한 레벨의 싱크로 소환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카드. 이 카드가 튜너이기에 정크 서번트와 함께라면 레벨 6~8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8 || PP18-JP002 || [[노멀]][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Premium Gold: Infinite Gold || PGL3-EN002 || [[골드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프리미엄 팩|프리미엄 팩 11]] || PP11-KR0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효과 몬스터 (非 튜너) == === 레벨 1 === ==== [[정크리보]] ==== === 레벨 2 === ==== [[정크 컨버터]] ==== === 레벨 3 === ==== 정크 디펜더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704_1.jpg]] || 한글판 명칭 ||<-4>'''정크 디펜더'''|| || 일어판 명칭 ||<-4>'''ジャンク・ディフェンダー'''|| || 영어판 명칭 ||<-4>'''Junk Defen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500 || 1800 || ||<-5>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또한, 1턴에 1번, 이 카드의 수비력을 {{{#red 턴 종료시}}}까지 300 포인트 올릴 수 있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 '''에라타 (공통)[br][[http://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9215&request_locale=ja|(2014.07.10)]]''' ||<-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 사실상 [[배틀 페이더]]의 하위 호환. 배틀 페이더와는 달리 이 녀석은 배틀 페이즈를 종료하지 않고 그냥 특수 소환되기 때문에 나오자마자 상대에게 맞아죽을 수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수비력은 2100이니 [[사이버 드래곤]]까지는 어떻게든 막을 수 있는 수준. 마침 공격력도 500이므로 [[데브리 드래곤]]으로 소생할 수도 있다. 다음 시리즈에서 등장한 [[가가가 가드너]]와 비슷한 듯 다른 느낌으로 운용할 수 있다. 딱 사이버 드래곤 정도까지 막는 건 이 카드가 더 유용하겠으나 가가가 가드너는 전투파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레벨 4라 소환과 사용 빈도가 높은 랭크 4의 엑시즈 몬스터를 소환하기 편리하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레벨 3, 공격력 500, 순간 수비력 2100까지 운용 가능하다는 점을 차이로 두어야 한다. 여담으로 상대 턴에 소환된 후 뻐겼다면 다음 턴에 정크 싱크론을 소환하여 효과로 레벨 2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다면 [[정크 디스트로이어]]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참고로 생긴 건 영락 없는 '''[[간멘]].'''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로모션 팩 2012 vol.2 || PR02-KR01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V 점프 카드 페스타 2010 프로모션 카드 || VJCF-JP00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 점프 페스타 2011 프로모션 팩 || JF11-JP005 || [[노멀]] || 일본 || || || 프로모션 팩 2 || PR02-JP005 || [[노멀]] || 일본 ||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EN09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LC5D-EN023 || [[노멀]] || 미국 || || ==== 정크 포워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171_1.jpg]] || 한글판 명칭 ||<-4>'''정크 포워드'''|| || 일어판 명칭 ||<-4>'''ジャンク・フォアード'''|| || 영어판 명칭 ||<-4>'''Junk Forwar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900 || 1500 || ||<-5>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특수 소환 가능 몬스터 중 특이하게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없어도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다. 레벨 3이므로 [[정크 가드너]], [[드릴 워리어]] 등의 싱크로 소재로 하기 편리하다. 그 외에도 랭크 3 [[엑시즈 소환]] 덱에 투입되기도 한다. 최근엔, 간단한 특수 소환 조건이 주목받아 [[링크 소환]] 덱에도 투입되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 6 || PP06-KR02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 13 || PP13-JP001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벨 4 === ==== 정크 블레이더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7816_1.jpg]] || 한글판 명칭 ||<-4>'''정크 블레이더'''|| || 일어판 명칭 ||<-4>'''ジャンク・ブレーダー'''|| || 영어판 명칭 ||<-4>'''Junk Bla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1800 || 1000 || ||<-5>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정크"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이 카드의 공격력은 {{{#red 턴 종료시}}}까지 400 포인트 올린다.||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8735|(2014.07.10)]]'''||<-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코믹스 등장 카드.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는 없는 것보다는 낫지만, 정크 덱을 짜지 않는 이상은 쓰기 힘든 효과다. 다만 정크 컬렉터와 함께 전사족이라는 점을 높이 사서, [[매지컬 익스플로전]] 덱에 들어가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또한 제외 효과는 묘지에 정크 몬스터만 충분하다면 큰 공격력 상승을 노릴 수도 있으며 이 후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과의 연계도 생각해볼만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 6 || PP06-KR019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리미티드 에디션]] 17 || LE17-JP004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정크 서번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565_1.jpg]] || 한글판 명칭 ||<-4>'''정크 서번트'''|| || 일어판 명칭 ||<-4>'''ジャンク・サーバント'''|| || 영어판 명칭 ||<-4>'''Junk Servant'''||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전사족]] || 1500 || 1000 || ||<-5>자신 필드 위에 "정크" 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정크가 존재할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정크 싱크론]]과 함께 레벨 7~9 싱크로 소환을 하거나, 마침 레벨 4 정크 블레이더와 함께 랭크 4 엑시즈 소환을 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유희왕 5D's에서는 [[정크 싱크론]]을 소환한 후 특수 소환되어 [[정크 버서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고, [[정크 버서커]]의 효과 발동을 위해 제외되었다. 참고로 정크 포워드→정크 싱크론→정크 서번트 순서로 소환할 경우, 간단히 레벨 10 싱크로 소환이 가능해진다. 정크 싱크론의 효과를 사용하면 레벨 12 싱크로 소환도 가능.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익스트림 빅토리]] || EXVC-KR00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 EXVC-JP00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 EXVC-EN001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정크 브레이커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15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95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브레이커,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ブレイカー, 영어판 명칭=Junk Breaker,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카드 브레이커]]를 정크화시킨 디자인의 몬스터. '''하지만 효과랑 능력치가 카드 브레이커랑 비교도 안되게 좋다.''' 무려 일반 소환 하고 효과 발동하면 모든 몬스터한테 [[명왕결계파|띵결파]]를 날리는데, 그냥 평범한 4레벨 몬스터인 이 카드를 굳이 일반 소환권 써가며 소환해야 한다는게 문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V점프]] 1년 정기 구독 특전 || VJMP-JP099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 Vol.11 || PP11-KR00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5 === ==== 정크 컬렉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5085_1.jpg]] || 한글판 명칭 ||<-4>'''정크 컬렉터'''|| || 일어판 명칭 ||<-4>'''ジャンク・コレクター'''|| || 영어판 명칭 ||<-4>'''Junk Collecto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전사족]] || 1000 || 2200 || ||<-5>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하고 발동한다. 이 카드의 효과는,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게임에서 제외한 일반 함정 카드의 효과와 같아진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어둠의 함정]]과는 달리 함정 카드의 효과를 복사하는 효과는 몬스터 효과이기 때문에, [[왕궁의 포고령]]이 있더라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공격력이 1000이라서 리쿠르트가 잘 되고, [[리미트 리버스]]나 [[고철의 상]]으로도 소생이 가능하다. 이 카드의 재정은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와 같다. '''발동 조건은 무시하지 못하며, 코스트와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고 기재된 맹세 효과와 "이 카드의 발동 후 ~"라고 개재된 디메리트는 무시한다'''는 재정. 만약 이 카드로 [[마요괴#s-5.1|마요괴변생]]의 효과를 발동하려 한다면, 자신의 묘지나 제외된 카드 중에 대상이 될 "마요괴" 몬스터가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발동 전후로 자신은 마요괴가 아닌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해도 전혀 상관 없으며, 코스트로서 패 1장을 버릴 필요도 없다. 비슷하게 함정 카드의 효과를 베끼는 [[어둠의 함정]]은 코스트는 무시해도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까지는 무시하지 못 하는데,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름아닌 이 카드가 '카드의 발동'이 아닌 '효과의 발동'으로 효과를 베끼기 때문. 어둠의 함정은 일반 함정 카드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카드를 발동'하는 것으로 효과를 베끼게 되고, 이 과정에서 '카드를 발동'했기 때문에 어둠의 함정은 자연스레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를 피할 수가 없다. 하지만 이 카드는 필드에 나와 있다가 '효과를 발동'해서 함정 카드를 카피하는 것이지 '카드를 발동'해서 카피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를 '''베끼고 싶어도 베낄 수가 없는 것'''이다. 그 결과 이러한 재정 차이가 벌어지게 되는 것. 앞서 말한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또한 똑같은 논리로 [[붉은 눈 융합]] 등의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 맹세 효과를 무시한다.[* 맹세 효과의 종류에는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과 같은 텍스트도 있는데, 이 맹세 효과의 경우는 무시하지 못한다. [[누메론 다이렉트]]의 발동시의 효과를 [[누메론 네트워크]]나 [[데스티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로 베껴도 맹세 효과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 사실 예시라 하기도 뭣한 게 이런 경우는 누메론 다이렉트가 유일하며, 일반적으로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텍스트는 장착/지속/필드 마법 같은 지속물의 효과나 특이한 조건(묘지에서 발동한다거나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발동한다거나)에서 발동하는 효과에만 적용되어 있어 '발동시의 효과'를 카피하는 몬스터들이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 텍스트와 연관될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이 카드의 텍스트는 여전히 문제가 있는데, 9기 이후로 한 번도 재록되지 않아 어둠의 함정과 똑같은 "이 '''카드의 효과'''는 ~ 같아진다"라는 텍스트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어둠의 함정은 카드의 발동으로 효과를 베끼고, 이쪽은 효과의 발동으로 효과를 베끼는 엄연히 다른 효과인데, 이 카드의 텍스트가 갱신되지 않는 바람에 유저들 사이에선 종종 혼란이 발생한다. 추후 재록된다면 다른 효과 카피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이 '''효과'''는 ~ 같아진다"로 텍스트가 수정될 가능성이 높다. 묘지에 이미 이 카드가 있다면 [[매지컬 실크햇]]로 이 카드를 소생시키기 위한 [[고철의 상]] 1장과 발동하고 싶은 함정 카드 1장을 선택해서 묘지로 보내서 쓰는 방법도 있다. [[부비트랩 E]]와 같이 쓸 경우, 간접적으로 지속 함정도 쓸 수 있게 된다. [[길항승부]]와의 궁합은 강력해서 무슨 일이 있어도 1장은 남기게 된다는 길항승부의 단점은 이 카드만 필드에 있는 상태에서 그 효과를 카피한다면 완전히 상쇄되어 상대의 필드 클린을 가능케 한다. [[유희왕 5D's]] 72화에 등장. [[터보 싱크론]]의 효과로 패에서 특수 소환되어, 효과로 묘지의 [[긴급동조]]의 효과를 복사해 [[터보 워리어]]의 싱크로 소환에 일조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 6 || PP06-KR005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 디스크 유세이 Ver.DX || DDY2-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18 Mega-Tins || CT15-EN007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정크 드래곤센트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23년)] [[파일:gn186896.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드래곤센트,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ドラゴンセント, 영어판 명칭=Junk Dragonlet, 레벨=5,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21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800 올린다.)]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면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엑시즈나 링크, 혹은 튜너가 있다면 추가 싱크로로 연결하기 좋다. 2번 효과는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800 올리는 효과. 싱크로 소재로 묘지로 보내진 후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소소하게 타점을 불려준다. 원작에선 코믹스 파이브디즈에서 유세이가 크로우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몬스터. 라이트닝 워리어의 공격력을 올려 반격의 기회를 만들었다. 콘센트인 이유도 전기 공격을 하는 라이트닝 워리어의 컨셉에 맞춘 듯. === 레벨 6 === ==== 정크 자이언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93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자이언트,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ジャイアント, 영어판 명칭=Junk Giant, 레벨=6,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2000, 수비력=2400, 효과1=①: 상대 필드에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소재로 한 싱크로 소환은 무효화되지 않고\, 그 싱크로 소환 성공시에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상대 필드에 고레벨 몬스터가 있다면 노 코스트 노 디메리트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자신을 소재로 하는 싱크로에 무효화 및 체인을 불가능하게 해 준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7 || PP17-JP001 || [[노멀]][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 Vol.10 || PP10-KR00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5 === ==== [[정크 워리어]] ==== ==== [[정크 스피더]] ==== === 레벨 6 === ==== [[정크 가드너]] ==== === 레벨 7 === ==== [[정크 아처]] ==== ==== [[정크 버서커]] ==== === 레벨 8 === ==== [[정크 디스트로이어]] ==== == 링크 몬스터 == === 링크 2 === ==== 정크 커넥터 ==== [[파일:ジャンク・コネク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정크 커넥터, 일어판명칭=ジャンク・コネクター, 영어판명칭=Junk Connector,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1700, 종족=전사족, link1=, link3=, 소재=튜너 1장 이상을 포함하는 전사족 / 기계족 효과 몬스터 2장,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만을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정크"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에 이어 싱크로 소환을 지원하는 2번째 링크 몬스터. 앞서 나온 하리파이버와는 다르게 종족 / 몬스터 종류 제한이 추가로 걸렸지만, 튜너만으로 링크 소환이 가능하다는 점은 동일하며 싱크로 위주의 덱에서는 충분히 좋은 효과이다. 기계족을 소재로 삼을 수 있으므로 [[크리스트론]] / [[초중무사]] 덱에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1번 효과는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들을 싱크로 소재로 하는 [[긴급동조]]와 거의 같은 [[유발 즉시 효과]]. 효과 특성상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을 소재로 사용하는 싱크로 소환만 가능한 대신, 배틀 페이즈는 물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도 발동 가능하므로, 상대 효과로 싱크로 소재가 견제받을 때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를 실행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2번 효과는 정크 덱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후속을 준비할 경우 [[정크 디스트로이어]] 이외의 몬스터를 뽑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괜찮은 건 제외 효과를 가진 정크 아처.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므로 묘지로 가거나 제외되어도 문제 없이 부활이 가능하다. 2020년 4월 마스터 룰이 개정되어 링크 소환 도입 이전처럼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을 링크 마커와 상관없이 할 수 있게 된 뒤에는 채용률이 많이 줄었는데, 1번 효과로 실시하는 싱크로 소환이 기존에 싱크로 소환을 하는 것보다 번거롭고 카운터를 맞기가 쉽기 때문이다. 능동적으로 추가 전개를 도울 수 있는 하리파이버와는 달리 이 카드는 상대에게 파괴당해야 한다는 것도 크다. ||수록 시리즈 || ||<(> 2017-12-1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20-JP003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2020]]'''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8-08-1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13-KR003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8-08-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T15-EN010 | '''2018 Mega-Tin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마법 카드 == "정크" 카드군은 몬스터만을 지정하기에 테마에서 마법, 함정에 접속할 수 없다. === [[스타라이트 정크션]] === === [[정크 어택]] === === [[정크 BOX]] === 이름은 정크가 붙지만 정작 내용은 [[디포머]] 지원 카드다. === [[정크 퍼핏]] === 이름을 제외하고는 연결 접점은 없는 순수 기믹 퍼핏 전용 카드이다. == 함정 카드 == === [[정크슬리프]] === 위와 마찬가지로 이름 이외엔 접점이 없다. == 서포트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제트 싱크론]] ==== == 서포트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5 === ==== [[중강갑 워리어]] ==== === 레벨 6 === ==== [[스타더스트 어썰트 워리어]] ==== == 서포트 함정 카드 == === [[고철의 상]] === == [[정크(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크(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