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함경남도의 시군)] {{{+1 定平郡 / Jŏngphyŏng County }}} ||<-2> {{{+2 정평군}}} [br] 定平郡 / Jŏngphyŏng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1,143㎢ || || 광역시도 || [[함경남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8면 || || 인구 || 179,114명 || || 시간대 || UTC+9 || ||<:><-2>[include(틀:지도, 장소=정평군, 높이=224px, 너비=100%)] || [목차] == 개요 == ||[youtube(SOU4rS2AXcw)]|| || 2011년 9월의 정평군 || [[함경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 서쪽은 [[요덕군]]과 [[평안남도]] [[대흥군]]에, 남쪽은 [[금야군]]에, 북쪽은 [[함주군]]에 접해 있으며, 동쪽은 동해에 면해 있다. == 역사 == [[옥저]], [[고구려]], [[신라]], [[발해]]의 영토였다. [[고려]] 초기 파지(巴只)라 하였다가 1041년 정주로 이름을 바꾸었다. 고려시대 북방 국경선인 [[천리장성]]의 동쪽 끝이 이 정평군의 도련포([[광포]])에 있었다.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 빼앗겨 [[쌍성총관부]]가 들어섰지만 [[공민왕]] 때 수복하였다. 조선 때 [[평안도]] [[정주시|정주]]와 구분하기 위해 정평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정평군의 남부 지역에 해당하는 신상면, 장원면, 문산면, 귀림면, 광덕면(1개 리)을 분리하여 [[신상군]]을 신설하고 함주군 주지면의 13개 리를 넘겨받았다. 1954년에는 [[흥상군]][* 1974년 함주군에 폐합되었다.]을 신설하면서 정평군 북부 14개 리를 넘겨주었다. 1974년 신상군이 폐지되면서 신상군 전역을 넘겨받았다. == 교통 == 국도는 [[7번 국도]] 이외 철도는 [[평라선]]이 지나간다. [[문봉역]], [[신상역]], [[부평역(평라선)|부평역]], [[정평역(평라선)|정평역]]이 있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함경남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함경남도 정평군 군기.svg|width=250]] 군기 || [[파일:정평군.jpg]] || 동쪽은 [[함주군]], 서쪽은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평안남도]] [[영원군]], 남쪽은 [[영흥군]]과 접하였고, 광복 당시 8개 면을 관할했다. * '''정평면'''(定平面) * 관할 리 : __동천(東川)__, 경흥(慶興), 광흥(光興), 구상(龜上), 남산(南山), 남흥(南興), 대흥(大興), 덕동(德洞), 덕봉(德峰), 덕풍(德豊), 동현(銅峴), 문봉(文峯), 봉대(鳳坮), 봉양(鳳陽), 서흥(瑞興), 송정(松亭), 송흥(松興), 신동(新東), 신서(新西), 연정(蓮井), 영풍(永豊), 예성(禮成), 운봉(運峰), 원흥(元興), 중흥(中興), 직상(稷上), 태양(太陽), 포상(浦上), 포양(浦陽), 포중(浦中), 풍남(豊南), 풍성(豊成), 풍양(豊陽), 풍천(豊川), 풍흥(豊興), 호남(湖南), 흥덕(興德), 흥상(興上), 흥성(興城) * 면사무소와 군청이 동천리에 있었다. [[부군면 통폐합]] 당시 부내면(府內面)이었으나 1940년에 개칭하였다.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정평역(평라선)|정평역]]이 있다. * '''고산면'''(高山面) * 관할 리 : __흥봉(興峰)__, 고양(高陽), 구창(舊倉), 남양(南陽), 덕흥(德興), 상서(上西), 신경(新京), 신성(新城), 신풍(新豊), 풍서(豊西), 풍송(豊松), 풍양(豊陽), 흥천(興川) * 정평군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이름 그대로 면의 경계선을 따라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고산준봉들이 늘어서 있다. 면적 540.64㎢로, 정평군 면적의 47%를 차지하는 면. 평안남도 [[영원군]]과 경계한다. * '''광덕면'''(廣德面) * 관할 리 : __장동(長洞)__, 도흥(都興), 문창(文昌), 부평(富坪), 선흥(宣興), 송오(松塢), 송천(松川), 신천(新川), 오상(五上), 용봉(用峯), 용응(用應), 원상(元上), 원흥(元興), 유흥(儒興), 율봉(栗峯), 율성(栗城), 인흥(仁興), 작동(鵲洞), 장천(長川), 장흥(長興), 중양(中陽), 중흥(中興), 향동(香洞), 향중(香中), 향흥(香興) * [[평라선]] 철도가 면의 동부를 지나며 관내에 [[부평역(평라선)|부평역]]이 있다. 역이 있는 부평리가 면의 동남쪽 끄트머리에 있다. 부평역에서 동쪽으로 명칭불명의 지선철도가 바로 옆 함주군 선덕면 방면으로 나 있다. * '''귀림면'''(歸林面) * 관할 리 : __하남(河南)__, 내동(內洞), 동상(東上), 동성(東成), 동하(東下), 상풍(上豊), 송문(松門), 송흥(松興), 신성(新城), 신평(新坪), 유성(楡城), 장흥(長興), 중하(仲下), 중흥(中興), 포상(浦上), 하동(河東), 하양(河陽) * 금진천(金津川) 이남 지역으로 [[동해]]와 접한다. * '''문산면'''(文山面) * 관할 리 : __동천(東川)__, 기산(岐山), 남양(南陽), 덕화(德化), 문흥(文興), 소항(所項), 수천(洙川), 원봉(元峰), 윤봉(輪峰), 은흥(殷興), 중흥(中興), 지양(芝陽), 평흥(坪興), 풍성(豊城), 풍양(豊陽) * 금진천 이남 지역이다. [[평라선]] 철도가 면의 동쪽 경계를 스쳐지나가며 관내에 [[문봉역]]이 있다. * '''신상면'''(新上面) * 관할 리 : __영곡(靈谷)__, 광흥(光興), 남흥(南興), 덕흥(德興), 도흥(道興), 동흥(東興), 문진(問津), 복흥(復興), 부암(傅巖), 부암(富巖), 상흥(上興), 선덕(宣德), 시흥(始興), 신상(新上), 신성(新成), 신포(新浦), 신풍(新豊), 신하(新下), 신흥(新興), 영흥(靈興), 용천(用川), 월성(月城), 유중(柳中), 유흥(儒興), 조양(朝陽), 중흥(中興), 포덕(布德), 향동(香洞), 화동(禾洞) * [[부군면 통폐합]] 당시 춘류면(春柳面)이었으나 1940년에 개칭하였다. 면소재지 일대는 통칭 '번춘장(橎春場)'이라 불렸다. * 동해안에 포덕리해수욕장이 있다. [[평라선]] 철도가 면의 중부를 지나며 관내에 [[신상역]]이 있다. * 북한 행정구역상 한때 존재했던 [[신상군]] 소재지. * '''장원면'''(長原面) * 관할 리 : __양동(陽東)__, 관평(館坪), 노하(路下), 교항(橋項), 동계(東溪), 동양(東陽), 봉림(鳳林), 사수(泗洙), 서성(西成), 신흥(新興), 아동(衙洞), 용연(用淵), 용흥(用興), 율천(栗川), 장자(長者), 중평(仲坪), 하대(河大) * 면소재지 일대는 통칭 '[[초원]](草原)'이라 불렸다. * '''주이면'''(朱伊面) * 관할 리 : __동봉(東峯)__, 노동(蘆洞), 보상(甫上), 보중(甫中), 보흥(甫興), 복흥(復興), 석마(石馬), 신경(新京), 신덕(新德), 신성(新成), 신흥(新興), 영성(嶺城), 오리평(五里坪), 왕락(王樂), 왕상(王上), 용강(龍江), 용상(龍上), 운봉(雲峰), 중흥(中興), 추상(楸上), 포항(浦項), 풍양(豊陽) * [[평라선]] 철도가 면의 동남부를 지나지면 관내에 역이 없다. * 북한 행정구역상 [[함주군]] 소재지([[흥상군|흥상]], 함주군 주지면)와 매우 가깝다. == 출신 인물 == * [[강근호(독립운동가)|강근호]]: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육군]] 군인 * [[김격식]] * [[윤봉춘]](1902~1975): 영화배우, 감독. 출생지는 정평이지만 어린 시절을 [[회령시|회령]]에서 보냈다. [[분류:함경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