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제 군주)] |||||| '''{{{#ece5b6 제(齊)나라 32대 국군 강씨 왕조 마지막 국군 {{{+1 강공}}} 康公}}}''' |||||| |||| '''[[시호|{{{#ece5b6 시호}}}]]''' |||| 강공(康公) || |||| '''[[성씨|{{{#ece5b6 성}}}]]''' |||| 강(姜) || |||| '''[[본관|{{{#ece5b6 씨}}}]]''' |||| 여(呂) || |||| '''[[휘|{{{#ece5b6 휘}}}]]''' |||| 대(貸) || |||| '''{{{#ece5b6 아버지}}}''' |||| [[제선공]](齊宣公) 강적(姜績)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379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404년 ~ 기원전 391년 || [목차] == 개요 == [[강씨|강성]]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의 제32대 군주이자, 마지막 [[군주]]. [[제선공]]의 아들. [[제태공|전화]]가 그를 즉위시키고 폐위했다. 그는 쫓겨난 뒤 식읍을 통해서 연명했지만, 결국은 늙어서 자식도 없이 죽어 강성 제나라(강제)는 멸망하고 만다. ==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건들 == 제강공 2년(기원전 403년), 한씨(韓氏), 조씨(趙氏), 위씨(魏氏)가 [[위열왕]]의 명령으로 제후가 되어서 [[진(춘추오패)|진(晉)나라]]는 [[곡옥#s-2|곡옥(曲沃)]]과 [[강(동음이의어)#s-9|강(絳)]]만 남았고, 결국은 작은 제후국으로 전락했다. 이때 제강공이 그것을 지켜 보았다. 제강공 19년(기원전 391년), 제강공은 전화(田和)에 의해 축출당해서 섬에 유배되고, 식읍은 1개 성이었다. 그리고 전화가 제나라의 군주를 칭하니, 그가 바로 [[제태공]]이다. 제강공 26년(기원전 379년), 그는 진(晉)나라 군주와는 달리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죽어 강제(姜齊)는 망했다. [[분류:제나라의 군주]] [[분류:폐위된 군주]] [[분류:기원전 379년 사망]][[분류:망국의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