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건축]]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2e32722159e94e10875311f0305cba3b-4834.jpg|width=100%]]}}}|| || {{{#000000 {{{-1 [[서울도서관]](구 경성부청 및 서울시청).[br][[1926년]] 이와이 조사부로(岩井長三郞)가 디자인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관양식'''(帝冠樣式, Imperial Crown Style)은 20세기 초 [[일본 제국]]에서 발전한 건축양식으로, [[신고전주의]] 양식 건축물 위에 일본식 기와 등 지붕 구조를 얹는 형태를 말한다. 1930년대 일본에서 부흥한 이러한 '화양절충'의 건축양식은 본래 1919년 일본 제국의회청사(현 [[일본 국회의사당]]) 설계공모에서 시모다 기쿠타로(下田菊太郎 1866-1931)가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일본식 지붕을 적용한 설계도안을 제출하며 이를 '제관병합식(帝冠併合式)'이라 부른 데에서 시작하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ikan_heigo_shiki.png|width=100%]]}}}|| ||<:> {{{#000000 {{{-1 시모다 기쿠타로의 제국의회청사 설계안.}}}}}} || 당시 기쿠타로는 자신의 설계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였으나 반영되지 않았다. 이후 1930년대에 이토 주타(伊東忠太), 사노 도시카타(佐野利器), 다케다 고이치(武田五一) 등 건축가들이 이런 건축양식을 사용하여 확산되었고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절정에 이르렀다. == 한국 건축에 끼친 영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조건축)] [[북한]]에서도 [[인민대학습당]], [[인민문화궁전]], [[평양대극장]]처럼 전통건축의 외관만 본딴 콘크리트 건축을 세우기도 했는데 마찬가지로 제관양식의 아류가 아니냐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현존하는 건물 == * [[서울도서관]] {{{-2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당창건사적관]] {{{-2 ([[북한]] [[평양시]])}}} * [[일본 국회의사당]] * 나고야 시청 * [[총통부(대만)]] * [[가오슝역|가오슝 구 역사]] * [[홍콩 예빈부]] * 사할린 지역 박물관 [[파일:attachment/유즈노사할린스크/Example1.jpg|width=500]] *중국공산당 지린성위원회 청사(구 관동군 사령부) [[파일:CPC_Jilin_Provincial_Committee_(20230725105224) (1).jpg|width=500]] == 외부 링크 == * [[https://ja.wikipedia.org/wiki/%E5%B8%9D%E5%86%A0%E6%A7%98%E5%BC%8F|일본어 위키백과: 帝冠様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