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월 군주)] ||<-3> '''{{{#ece5b6 월(越)나라 39대 국군[br] 7대 왕[br]{{{+1 월왕 제구}}}[br]越王 諸咎}}}''' || ||<-2> '''[[성씨|{{{#ece5b6 성}}}]]''' || 미(羋) || ||<-2> '''[[휘|{{{#ece5b6 휘}}}]]''' || 제구(諸咎) || ||<-2> '''{{{#ece5b6 아버지}}}''' || [[예(월나라)|월왕 예]] (越王 翳)[* 불광(不光) 또는 수(授)라 하기도 한다.]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375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375년 (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춘추전국시대]] [[월나라]]의 제40대 군주이자, 제7대 왕. 월왕 [[예(월나라)|예]]의 아들. 월왕 [[착지]]의 아버지. 그가 월왕 예를 죽이고 즉위했으나 그도 곧 죽었다. == 생애 == 월왕 예 33년(기원전 378년), 월나라가 쇠락해 낭야(琅琊)에서 수도를 옛 오나라 땅으로 옮겼다. 월왕 예 36년(기원전 375년), 월왕 예(翳)의 동생인 공자 예(豫)가 월왕 예의 3명의 아들을 죽이고 왕이 될 야심을 품어 태자 제구를 살해하라고 부추겼으나 월왕 예는 듣지 않았다. 7월 태자 제구는 살해 당할 것이 두려워 병사를 거느리고 공자 예를 몰아내기 위해 왕궁을 포위했는데 그 여파로 월왕 예가 죽었다. 10월 월나라 사람들이 월왕 제구를 죽이고 그 아들인 착지를 왕으로 추대하니 그가 월왕 착지다. [[분류:월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37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