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이집트 파라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B76B 0%, #DECD87 20%, #DECD87 80%, #BDB76B)" {{{#A0522D '''고대 이집트 제5왕조 8대 파라오[br]{{{+1 제드카레 이세시}}}[br]Djedkare Isesi'''}}}}}}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rt_of_a_door_jamb_showing_the_cartouche_of_Djedkare_Isesi._From_the_Sun_Temple_of_Nyuserre_Ini_at_Abu_Gurob,_Egypt._c._2430_BCE._Neues_Museum.jpg|width=100%]][br]{{{-2 제드카레 이세시의 카르투슈가 새겨진 문턱의 일부[br][[베를린]] 신 박물관에 전시중이다.}}}}}} || ||<-2> '''휘''' ||제드카레(Djedkare)[* [[라(이집트 신화)|라]]는 영원한 영혼이라는 뜻이다.] || ||<-2> '''부왕''' ||[[멩카우호르]] 혹은 [[니우세르레]] || ||<-2> '''선대''' ||[[멩카우호르]] || ||<-2> '''후대''' ||[[우나스]] || ||<-2> '''묘지''' ||제드카르 이세시의 피라미드 || ||<-2> '''왕비''' ||세팁호르(Setibhor) || ||<-2> '''자녀''' ||네세르카우호르(Neserkauhor)♂[br]케케레트네브티(Kekheretnebti)♀[br]메레트-이세시(Meret-Isesi)♀[br]헤제트네부(Hedjetnebu)♀[br]네브티엠네페레스(Nebtyemneferes)♀[br]라엠카(Raemka)♂[*추측][br]켐체넨트(Khaemtjenent)♂[*추측][br]이세시-앙크(Isesi-ankh)♂[*추측][br][[우나스]](Unas)♂[*추측]|| ||<-2><|2> '''재위''' || '''{{{#000 이집트 파라오}}}''' || ||[[기원전]] 25세기 후반~24세기 중반[br]재위기간 최소 33년에서 최대 44년 이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이집트]]의 5왕조의 8대 파라오이다. 이집트의 개혁을 시도했으나 오히려 분열을 불러 일으키고 말았다. == 통치 == 제드카레는 이집트의 전체적인 개혁을 하였다. 우선 태양신 [[라(이집트 신화)|라]]의 사원을 더이상 짓지 않았다. 이는 [[오시리스]]를 더 중요시하게 여기기 시작했던 것이 이유로 꼽힌다. 제드카레는 [[시나이 반도]]로 [[구리]]와 터키옥을 조달하기 위해 두 번의 원정을 보냈다. 그의 이름은 [[아스완]], [[아비도스]]에 남겨져 있다. 또한 [[누비아]]지역의 벽화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뿔]] 지방에 [[금]]과 [[섬록암]]을 채취하기 위해 원정대롤 보냈고, [[레반트]] 지역의 바빌로스 지역과 좋은 외교 및 무역관계를 맺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의 집권기간동안 중앙 정부의 힘은 약화되고, 지방 행정의 힘은 강화되었다. 그의 집권기간동안 사제와 관리들의 역할과 직함이 개편되었는데, 이는 [[파라오]]의 권력을 약화시켜 이후에 제1중간기를 만드는 계기가 된다. == 사후 == 그가 죽은 후 후대에 의해 약 200년동안 숭배의 대상이였으나 사람들에게 잊혀졌고, 신왕국 시대에 들어서 다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제드카레 이세시의 피라미드 == [[파일:Pyramid_of_Djedkare,_Saqqara,_1990ies.png]] ||이름||네페르 제드카레(Nefer Djedkare)|| ||뜻||아름다운 것은 제드카레|| ||높이||52.5m[*과거][br]24m[*현재]|| ||경사||52°|| [[분류:파라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