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음료수, rd1=스프라이트(음료))]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eroSpriteVG-TF03-EN.jpg|width=100%]]||<:>[[파일:제로 스프라이트.png|width=100%]]|| ||<:>카드 일러스트||<:>[[유희왕 듀얼링크스]]|| || 한글판 명칭 ||'''제로 스프라이트'''|| || 일어판 명칭 ||'''ゼロ・スプライト'''|| || 영어판 명칭 ||'''Zero Sprite'''|| |||| 지속 함정 || ||||자신 필드 위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고, 선택한 자신 몬스터에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은 0이 된다. 장착 몬스터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유희왕 GX]]에서 [[유벨]]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153화에서 선공 첫 턴에 발동한 [[매직 크로니클]]의 효과로 제외한 카드 5장(제로 스프라이트, [[데몬(유희왕)|데먼 로즈]], [[싸이크론]], [[초융합]], [[토치 골렘]]) 중 1장이다. 쥬다이가 발동한 [[융합(마법 카드)|융합]]과 [[융합 해제]]로 인해 크로니클 카운터가 2개 누적되고 매직 크로니클의 효과로 제일 먼저 패에 추가됐으며, [[히어로(유희왕)|히어로 베리어]]의 효과로 공격이 1번 무효화된 유벨에게 장착돼 수비 표시의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에게 추가 공격할 수 있게 했다. 154화에선 유벨로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에게 더블어택할 수 있게 했다. [[더블어택]] 효과를 부여하지만 장착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이 0이 되므로, 유벨처럼 전투 파괴 내성과 데미지 반사 효과가 있는 몬스터에 쓰는 게 좋다. 그 외에 공격력이 ?인 몬스터([[클리어 바이스 드래곤]], [[사신 아바타]], [[붉은 마수 다 이자]] 등)나, 자제 효과로 공격력을 복구할 수 있는 몬스터([[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토피아 가이]], [[칠흑의 줌발트]] 등)에게 쓸 수도 있다. 그 외에 기계족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고 [[기계 복제술]]을 발동해 몬스터를 추가 전개하는 사용법도 있다. OCG화 되진 않았지만, [[유희왕 태그 포스]]에 수록됐다. 만약 OCG화된다면 일본판과 한국판에서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와 이름이 겹치므로, 스프라이트 제로로 서치가 가능해진다. [* 영문판 스프라이트는 Spright로 철자가 다르다.] 일러스트에 있는 건 [[분노 유인원]]으로, 제로 스프라이트와는 궁합이 최악인 몬스터다. == 관련 문서 ==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