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image.yes24.com/5891309.jpg]] [[파일:external/image.yes24.com/6000465.jpg]] [[파일:external/image.yes24.com/6227906.jpg]] [[파일:external/image.yes24.com/7434196.jpg]] [[시드노벨]]에서 나온 [[라이트 노벨]]. 작가는 [[임달영]], 일러스트레이터는 만화 [[불꽃의 인페르노]]와 [[프리징]]을 그린 [[김광현]]. 게임 [[제로 흐름의 원]]의 노벨라이즈. 정확히는 리메이크 작이다. 큰 틀에서는 바뀌지 않았지만 소소한 사건이 조금씩 바뀌고 유이리를 만나는 사건이나 헥시드의 원형이 되는 영수기를 만나는 사건이 바뀌었다. 센풍과의 관계도 원작과 좀 다르게 묘사된다. 다만 흐름의 원 게임판이 아니라 소설판과 좀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소설판으로 나온 2권에서 완중난 걸 리메이크했다고 보는게 맞을 듯. 1권은 유기를 중심으로 한 현대편이고 구판과의 차이로는 시작의 관에도 나왔던 하씨 가문이 나온다. 사건 전개는 거의 똑같고 좀 진행되려고 하는 순간 전생편이 시작한다. 사실 임달영이 여러 작품에 동시에 손을 대고 완결을 안짓기로 유명한 작가이기는 하지만 제로 흐름의 원 같은 경우에는 이미 게임으로 완결 플롯이 다 짜여져 있는 상황이므로 각색하여 소설화하여도 되고 그가 원한다면 수정하여 금세 책으로 만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태까지 소설의 다음권이 안나오는 것은(증쇄가 몇번이나 된 작품이기 때문에 시드노벨에서 이 작품을 접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의 작가로서의 자질을 의심해봐야할 문제일 것이다. 일단 2015년내나 2016년내지로 책을 낸다는 발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예 접지는 않은 모양이다. [[파일:external/image.yes24.com/5896233.jpg]] 특별한정 패키지가 있었다. [[코믹GT]]에서 2016년 1월 22일부터 매주 월요일, 목요일에 연재하기 시작, 2016년 5월 1일에 해방의 관 파트까지 완결되었다. 해방의 관 파트의 스토리는 원작 게임과 완전히 다르다. 제로 시리즈에서 만화로 가장 잘 알려진 [[제로 시작의 관]]은 본편의 10년 전을 배경으로 하는데, 정작 본편을 먼저 만들고 시작의 관이 그 이후에 만들어진 관계로 본작에는 [[제로 시작의 관|시작의 관]]의 설정이나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메이크된 해방의 관에서는 시작의 관의 등장인물들[* 거의 모든 주연캐릭들이 재출연하며, 심지어 퍼펙트 디멘션보다 시작의 관 캐릭터들이 더 많을 정도. [[곤도 나오키]], [[타카야 로이넬]], [[하세가와 렌지]] 같은 조연들까지 꽤 비중있게 나온다. 작품 구조상 어쩔 수 없긴 하지만 거의 [[제로 시작의 관|시작의 관]] 완결편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 대거 등장하며, 시작의 관 시점부터 이어지는 거의 대부분의 떡밥을 정리했다. [[제로 시작의 관|시작의 관]]에서 끝까지 풀리지 않았던 '그래서 제로는 뭐고 제로 프로젝트는 뭐냐'에 대한 대답에서부터, 심지어는 [[유신]]의 정체까지 암시되고 있다. 단점이라면 시리즈 내내 마구 던지기만 하고 수십년간 회수되지 않았던 떡밥들을 짧은 분량 내에서 다 정리하려다보니 상당한 급전개라는 것. 해방의 관 파트는 작가가 다르기 때문에 스타일도 조금 차이가 있으며, 이 부분은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이제와서~~ 볼 사람이 있다면 [[제로 시작의 관|시작의 관]]을 다시 본 후 읽는 것을 추천. 본편의 노벨라이즈인 [[제로 퍼펙트 디멘션|퍼펙트 디멘션]] 자체는 같은 연재란에 있으므로 그냥 처음부터 읽으면 된다. 그리고 코믹gt가 망해서 이제 볼수가 없다. 완결 못본 사람들이 많을듯. [[분류:한국 라이트 노벨/목록]][[분류:2007년 소설]][[분류:게임 원작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