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include(틀: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의 경비함)]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0606122117.jpg]] 2011년 취역한 제민12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소속의 대형경비함이며 현재 12척이 배치되어있다. 해경이 보유한 경비구난함[* 헬리콥터 착륙장을 보유하고 승조원중 구조직별을 보유한 승조원이 있는 함정] 중 가장 작은 규모의 함정이나 배수량은 1500톤급[* 실제 배수량은 2,000톤이 넘는다. [[http://panzercho.egloos.com/m/2757676|만재배수량은 2,220톤~2700톤]].]으로 약 1220톤급의 [[포항급]] [[초계함]]보다 크다. 하지만 경비함정답게 무장은 [[노봉|40mm 자동포]], 20mm [[발칸포]] 등으로 간소한 편이다.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1501(%B8%F1%C6%F7).jpg|width=100%]] || || 퇴역한 舊 1501함(제민1호) || || [[파일:노후대체 1501함.jpg|width=100%]] || || 2021년 취역한 新 1501함 ||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1502(%C1%A6%C1%D6).gif|width=100%]] || || 1502함(제민2호) || 1980년대 산업경제 발달에 따른 [[원양어업]]과 상선 증가로 해난사고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였다. 늘어나는 해난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 1500톤급 최신예 전천후 경비구난함 건조가 추진되어 [[1986년]] [[9월 9일]] 착공된 첫 번째 1500톤급 함정인 1501함(제민1호)은 [[1988년]] [[목포]]해양경찰서에 배치되었다. [[경제]]의 모티브가 된 경세제민(經世濟民)의 ‘구할 제(濟)’와 ‘백성 민(民)’ 두 글자를 따서 제민이라고 명명하였다. 더욱이 [[제주도]]민을 가리키는 중의적인 표현일수도 있는데 ~~이름값 하려는듯~~ 이듬해인 [[1989년]] 제주해양경찰서로 재배치 되어 [[남해]]안의 해상치안과 [[동중국해]]에서 조난을 당하는 우리 어선들을 구조하는 임무를 맡았다. 하지만 1500톤급 경비함 1척으로는 증가하는 원해 치안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고 [[1993년]]부터 두 번째 1500톤급 경비함 1502함 건조를 추진하여 [[1996년]] 완공하여 [[제주]]해양경찰서에 배치하였다. 두 경비함의 특징은 이후 건조된 1500톤급 경비함들과 달리 헬기갑판이 없고 좌초·침몰선을 위한 구난장비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1994년]]에 취역한 [[태평양급|태평양1호(3001함)]]와 같이 경비구난함으로서 건조되었으나 3척 모두 이들 장비를 활용한 실적은 거의 없다. 실제사고에서 민간구난업체의 역할이 커짐에 따라 90년대 이후로는 기관고장선박 예인을 위한 최소한의 구난장비를 갖춘 경비구난함을 건조하고 있다.] || [[파일:external/743b95fe7ba7c557f8092e3c61ef72638c891551fbe4a60c6ddead2ff19fb613.jpg|width=100%]] || || 1503함의 주포는 [[20mm]] [[발칸포]]였으나 [[40mm]] [[노봉]]으로 교체되었다. || ||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0082200319_2.jpg|width=100%]] || || 함수에 무장이 집중되어있는 1511함(1510함도 같은 배치형태이다.) || 한편 [[1996년]] [[배타적 경제수역]](EEZ)선포에 따른 관할 해역 광역화로 원해에서도 임무수행이 가능하고, 어업협정 등 신해양 시대에 걸맞은 국가주권확보와 해상 물동량 증가에 따른 안전보장 및 어민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 광역경비체제 구축을 위해 3세대 1500톤급 경비함의 건조가 [[1997년]]부터 추진되어 [[2008년]]까지 총 8척이 도입되었다. [[고속단정]] 2척을 양현에 탑재하고 또한 수색 및 구조 능률을 높이기 위해 해상에서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헬기 이착륙 설비와 넓은 갑판을 보유하고 있고, 헬기 급유시설도 구비되어 있다. 6만 톤급의 조난선박을 약 7노트의 속력으로 예인할 수 있는 예선기와 선박화재 진압을 지원하기 위해 1,200㎥/h 용량의 엔진구동식 소화펌프 및 방사포가 설치되어 있다. [[파일:/image/001/2011/12/18/PYH2011121800390006200_P2.jpg]] 4세대 1500톤급 경비함은 [[2007년]] [[독도]]·[[이어도]] 해역 및 [[배타적 경제수역]] 등에서 해양 주권수호 역량강화를 위해 추진중이던 신형 대형경비함을 [[해상보안청|주변국]] [[중국 해경|함정]] 수준으로 성능을 강화하여 국가적 대응세력을 연차별로 확보하고자 도입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1512,1513함이 [[2011년]]까지 도입되어 [[동해지방해양경찰청]] 동해해양경찰서에 배치되었다. 최고속력 30노트로 고속 추진이 가능해 각종 해양사고 발생 시 대응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40노트급 [[고속단정]] 2척과 분당 20톤을 분사 가능한 소화포 설비를 갖추었다. 3000톤급의 절반 크기이기는 하지만 1500톤 이상만 되어도 대형함정이라면 으레 있는 [[사우나]]실, [[탁구]]장과 러닝머신과 같은 운동기구들도 있고 의경도 3인 1실이나 4인 1실 이런 식으로 방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거주성은 해경함정 중에서도 좋은 편에 속한다. 비슷한 크기인 해군의 [[포항급 초계함|PCC]]와는 차원이 다르다. 다만 톤수가 1500톤이라 선박을 통틀어서는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황천]]1급이나 풍랑주의보 같은 악천후의 상황에서는 3000톤보다는 흔들거림(전문용어로는 롤링과 피칭)이 좀 있는 편이나 웬만한 상황에서는 느끼지 못할 정도이다. 황천 1급은 해군, 해경 통틀어 수상전투함 중 제일 톤수가 큰 [[세종대왕급 구축함]]도 피항가는 등급이다. 아니, 그보다 높은 파고를 표현하는 등급이 없어서(..), 진짜 목숨을 걸 만한 목적이 있거나 훈련이 아니면 --무슨 롤러코스터 매니아도 아니고-- 일부러 그걸 감수하고 들어가진 않는다. 몇 만 톤짜리 민항 화물선도 마찬가지. == 제원 == || 항목 || 舊 1501함 || 1502함 || 1503~1511함 || 1512~1513함 || 新 1501함 || || 만재배수량 || 2106톤 || 2240톤 || 2727t || 2265t || 2950t || || 전장 || 77.6m || 88.6m || 97.75m (1503,1505함)[br]98.1m (기타) || 102.4m || 102.2m || || 폭 || 13.5m || 14.5m || 14m || 13.2m || 14m || || 흘수 || 4.3m || 3.79m || 4.3m || 3.8m || 4.2m || || 높이 || 24.9m || 26.5m || 27m || 27.8m || ? || || 항속거리 || 3500마일 |||| 4500마일 || 4000마일 || ? || || 속도 || 18노트 || 21노트 || 20노트 || 30노트 || 25노트 || || 추진기 |||||| CPP || 워터제트 || CPP || || 엔진 || [[MTU(기업)|MTU]] 16V 1163 TB62(4115hp) x2 |||| MTU 16V 1163 TB83 (6331hp) x2 |||| MTU 20V 1163 TB93 (9925hp) ×4 |||| || 무장 |||| 20mm [[발칸포]]x1 || 40mm [[노봉]] 혹은 브레다x1, [br]20mm [[발칸포]]x1 [br]혹은 20mm [[발칸포]]x1 || 40mm [[노봉]]x1,[br] 20mm [[발칸포]]x1 || 40mm 브레다x1, 20mm 발칸포x1 || == 함정 목록 == ||
|| 함번 || 함명 || 배치서 || 준공일 || 인수일 || 퇴역일 || 건조금액 || 건조사 || || 1 || 1501 || 제민1호 || [[남해지방해양경찰청|남해청]] 부산 || [[1987년]] [[12월 28일]] || [[1988년]] [[5월 26일]] || [[2020년]] [[10월 5일]] || 73.8억 원 || 대우중공업 || || 2 || 1502 || 제민2호 || [[중부지방해양경찰청|중부청]] 평택 || [[1996년]] [[1월 13일]] || [[1996년]] [[2월 23일]] || || 181억 원 || 현대중공업 || || 3 || 1503 || 제민3호 || [[남해지방해양경찰청|남해청]] 부산 || [[2000년]] [[1월 24일]] || [[2000년]] [[1월 28일]] || || 250.8억 원 || 한진중공업 || || 4 || 1505 || 제민5호 || [[제주지방해양경찰청|제주청]] 제주 || [[2001년]] [[4월 4일]] || [[2001년]] [[4월 10일]] || || 266억 원 || 한진중공업 || || 5 || 1506 || 제민6호 || [[중부지방해양경찰청|중부청]] 태안 || [[2004년]] [[10월 5일]] || [[2004년]] [[10월 15일]] || || 277.1억 원 || 현대중공업 || || 6 || 1507 || 제민7호 || [[중부지방해양경찰청|중부청]] 태안 || [[2004년]] [[11월 19일]] || [[2004년]] [[11월 30일]] || || 277.1억 원 || 현대중공업 || || 7 || 1508 || 제민8호 || [[서해지방해양경찰청|서해청]] 목포 || [[2005년]] [[10월 5일]] || [[2005년]] [[10월 13일]] || || 279.4억 원 || 현대중공업 || || 8 || 1509 || 제민9호 || [[서해지방해양경찰청|서해청]] 목포 || [[2006년]] [[12월 18일]] || [[2006년]] [[12월 29일]] || || 293.4억 원 || 한진중공업 || || 9 || 1510 || 제민10호 || [[동해지방해양경찰청|동해청]] 포항 || [[2007년]] [[9월 5일]] || [[2007년]] [[9월 20일]] || || 320억 원 || 한진중공업 || || 10 || 1511 || 제민11호 || [[동해지방해양경찰청|동해청]] 속초 || [[2008년]] [[9월 5일]] || [[2008년]] [[9월 17일]] || || 326억 원 || 현대중공업 || || 11 || 1512 || 제민12호 || [[동해지방해양경찰청|동해청]] 동해 || [[2010년]] [[11월 30일]] || [[2010년]] [[12월 23일]] || || 484억 원 || STX조선해양 || || 12 || 1513 || 제민13호 || [[동해지방해양경찰청|동해청]] 동해 || [[2011년]] [[11월 30일]] || [[2011년]] [[12월 15일]] || || 529.4억 원 || STX조선해양 || || 13 || 1501 || 제민1호 || [[남해지방해양경찰청|남해청]] 부산 || [[2020년]] [[12월]] || [[2021년]] [[1월 5일]] || || 609.9억 원 || 삼강엠앤티 || 제민1호는 노후대체 사업이 진행되었는데 해경 경비함 최초로 무인항공기를 탑재하였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10517/106978126/1|#]] 제민13호에 해경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함장이 근무했었다.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9AAn&articleno=15672936&categoryId=758982®dt=20140830101707|출처]] ~~함장님이 부장님보다 나이가 더 어리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07/0200000000AKR20160107093200065.HTML?input=1195m|현재는 육상에서 근무 중이다.]] == 함정 사진 == || [[파일:external/korea.kr/49733f00ccdc97bc203097d8b97e024d.jpg|width=100%]] || || 1505함 ||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1506(%B8%F1%C6%F7).jpg|width=100%]] || || 1506함 || ||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C1%A6%B9%CE7%C8%A301.jpg|width=100%]] || || 1507함 || || [[파일:external/kbmaeil.com/local_news_c_1130232613.jpg|width=100%]] || || 1508함 || || [[파일:/image/001/2007/03/20/kp1_070320020600.jpg|width=100%]] || || 1509함 ||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2751.jpg|width=100%]] || || 1510함 || == 관련 문서 == * [[해누리급]]: 100톤급 * [[해우리급]]: 300톤급 및 250톤급 * [[태극급]]: 500톤급 * [[한강급]]: 1000톤급 * [[태평양급]]: 3000톤급 * [[삼봉급]]: 5000톤급 * [[원양초계함]]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분류:경비함]][[분류:1988년 출시]][[분류:202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