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데스리가 단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 제바스티안 켈의 역임 직책 ''' }}} }}}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d2d2b 20%, #ffe600 20%, #ffe600 80%, #2d2d2b 80%, #000)" {{{#00000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주장 ''' }}} }}} || || [[크리스티안 뵈른스]][br]{{{-1 (2004~2008) }}} || {{{+1 {{{#000000 ▶ }}} }}} || '''{{{#ffe600 제바스티안 켈[br]{{{-1 (2008~2014)}}}}}}''' || {{{+1 {{{#000000 ▶ }}} }}} || [[마츠 후멜스]][br]{{{-1 (2014~2016)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d2d2b 20%, #ffe600 20%, #ffe600 80%, #2d2d2b 80%, #000);"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html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3> {{{#ffe600 '''Ballspiel-Verein Borussia 09 e. V. Dortmund'''}}}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orussia-Dortmunds-Sebastian-Kehl-before-the-Club-Brugge-Champions-League-Group-Stage-match-Nov-2018.jpg|width=100%]]}}} || ||<-2> {{{#ffe600 '''이름'''}}} || '''{{{+1 제바스티안 켈}}} [br] Sebastian Kehl''' || ||<-2> {{{#ffe600 '''본명'''}}} ||제바스티안 발터 켈 [br] Sebastian Walter Kehl || ||<-2> {{{#ffe600 '''출생'''}}} ||[[1980년]] [[2월 13일]] ([age(1980-02-13)]세) / [br] {{{-1 [[서독]] [[헤센]] 주 [[풀다]]}}} || ||<-2> {{{#ffe60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 {{{#ffe600 '''신체'''}}} ||[[키(신체)|키]] 187cm / [[체중|몸무게]] 87kg || ||<-2> {{{#ffe600 '''직업'''}}} ||[[축구선수]] ([[수비형 미드필더]] / ^^은퇴^^) [br] [[축구행정가]] || ||<|2> {{{#ffe600 '''소속'''}}} || {{{#ffe600 '''선수'''}}} ||SV 라어바흐 (1985~1994 / ^^유스^^)[br][[보루시아 풀다]] (1994~1996 / ^^유스^^)[br][[하노버 96]] (1996~1998 / ^^유스^^)[br][[하노버 96]] (1998~2000)[br][[SC 프라이부르크]] (2000~2001)[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01~2015)''' || || {{{#ffe600 '''경영'''}}}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9~2022 / ^^고문^^)}}}[br]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22~ / ^^단장^^)'''}}}|| ||<-2> {{{#ffe600 '''국가대표'''}}} ||31경기 2골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2001~2006)^^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ehl clap.jpg|width=100%]]}}}|| 독일의 전 축구선수. 선수 시절의 대부분과 전성기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서 보냈으며, [[도르트문트]] 소속 당시 주장직에 걸맞은 바른 언행과 성품으로 동료들과 팬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았던 선수였다. 현재는 자신이 오랫동안 몸담았던 도르트문트에서 단장직을 수행 중이다. == 클럽 경력 == === [[하노버 96]] === 지방 클럽 유소년팀을 거친후 17세에 [[하노버 96]]에 입단하였다. 그리고 1998년 8월 10일 [[빌레펠트]] 전에서 프로선수로 데뷔하였다. 2시즌동안 32경기 2골을 기록하며 상위권팀의 영입제안을 받기도 하였다. === [[SC 프라이부르크]] === 그러나 이러한 제안을 모두 거절하고 [[SC 프라이부르크]]로 이적하였다. 이 팀에서 25경기 2득점으로 팀의 리그 6위로 마칠 수 있게 공헌하였고, 이러한 활약을 인정받아 분데스리가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었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c2a7741-0001-0004-0000-000000347953_w1200_r1.33_fpx57.26_fpy50.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ehl-pokal-1200.jpg|width=100%]]}}}|| 2001-02 시즌에서도 15경기 2골을 기록하는 도중 2001년 겨울 320만 유로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로 이적하였다.[* 전반기 중위권이었던 프라이부르크는 켈의 공백을 메우지 못하고 강등당했다.] 이적한 첫시즌부터 소속팀의 리그 우승에 공헌하는 등 변함없는 활약을 이어나가고 있다. 2008-09 시즌부터 클럽의 주장을 맡았다. 이후 계속해서 도르트문트 부동의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었다. 그동안 2010-11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 2011-12시즌 더블, 2012-13 시즌 챔피언스리그 결승 진출을 이끌었다. 14-15 시즌에 [[마츠 후멜스]]에게 주장 완장을 넘겼다. 이젠 은퇴를 바라보고 있는 나이라 그런 모양. 폭망해버린 14-15 시즌의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를 끝까지 이끌어가며 [[DFB-포칼]] 결승 진출도 이뤄내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한다. 그리고 2015년 5월 23일 [[베르더 브레멘]] 전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은퇴했다. == 국가대표 == 2001년의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 전에서 A 대표로 데뷔하였다. 2001년 8월 15일 헝가리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과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도 슈퍼 서브로 출전하였다. == 행정가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30273455.jpg|width=100%]]}}}|| 은퇴 후 2018년 6월부터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군 선수단을 보좌하는 고문직에서 일하고 있다. 홈, 원정 가리지 않고 경기가 있는 날에 선수단과 동행하고 있다. 기존에 단장직을 역임 중인 [[미하엘 초르크]]가 2022년을 끝으로 은퇴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단장직을 이어받을 유력한 후보로 켈이 떠오르고 있다. 10월 12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소속팀]]과 재계약을 체결했다. 기간은 [[미하엘 초르크]]가 은퇴하는 2022년 6월까지. 이 계약은 현재 재임 중인 '선수단 고문'으로써의 계약이다.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단장 === 한국 시각 2021년 6월 28일, 기존의 단장이었던 [[미하엘 초르크]]를 승계한다는 계약에 서명했다는 오피셜이 떴다. 임기는 2022년 7월부터 2025년 6월이 끝나는 날까지다. 2022년 여름 이적시장에서 [[카림 아데예미]], [[니코 슐로터베크]] 영입에 성공하고, 쾰른의 미드필더 [[살리 외즈잔]]의 영입도 앞두며 자신이 맡는 첫 이적시장부터 평가가 크게 올라가는 중이다. 또한 이번 이적시장에 클럽 레코드를 갈아 치우며 데려온 스트라이커 [[세바스티앵 알레]]가 갑작스럽게 장기부상을 당하자, 알레의 대체자로 리그 내 탑급 스트라이커인 [[앙토니 모데스테]]를 빠르게 영입하며 켈의 단장으로서의 능력을 다시 한 번 증명해내는가 싶었는데, 모데스테의 저조한 활약으로 비판을 받았다. 다만 이 부분은 켈이 아닌 감독 테르지치가 주도한 영입이었음이 밝혀지면서 팬들로부터 다시 신뢰를 회복했다. 2022년 겨울 이적시장에서는 뫼니에의 장기부상으로 우니온 베를린의 [[율리안 라이어슨]]의 바이아웃을 지르고 영입함으로써 오랜만에 풀백 포지션을 보강하는데에 성공하였다. 그동안 수비 측면에서 많은 비판을 받은 게헤이루 대신 뤼에르손을 기용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경기를 운용할 수 있게 된 것은 덤. 그러나 2023/24시즌 선수 영입과 관련해서 [[에딘 테르지치]] 감독과도 손발이 안 맞는 모습을 보이는 등 이적시장에서의 지지부진한 행적, 그리고 그로 인한 감독-단장과의 갈등, 구단 직원들과의 불화 등등으로 인해 팬들의 비판을 많이 받고 있는 상황이다. == 플레이 스타일 == 우월한 피지컬을 활용해 중원에서 수비적으로 존재감을 발휘하는 선수였다. 공격 가담 능력도 굉장히 좋아서 중요한 순간에서 득점도 많이 했었다. 또한 강력한 왼발 킥력을 가지고 있어 종종 중거리 슈팅으로 득점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는 2014-15시즌 [[DFB-포칼]] 8강 [[TSG 1899 호펜하임]]전 연장 전반에 터뜨린 결승골. [[야쿠프 브와슈치코프스키|쿠바]]의 크로스가 수비 맞고 튀어나온 세컨볼을 그대로 하프 발리로 때렸는데 엄청난 아웃프런트 궤적으로 휘어들어갔다.] 큰 키로 인해 세트피스 상황에서도 위협적이었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01~2015) * [[분데스리가]] : 2001-02, 2010-11, 2011-12 * [[DFB-포칼]]: 2011-12 * [[DFL-슈퍼컵]]: 2013, 2014 *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2012-13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 [[FIFA 월드컵]] 준우승: 2002 === 개인 수상 === * [[Kicker|키커]] [[분데스리가]] 올해의 팀 : 2000-01, 2008-09 [각주] [[분류:1980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2015년 은퇴]][[분류:풀다 출신 인물]][[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하노버 96/은퇴, 이적]][[분류:SC 프라이부르크/은퇴, 이적]][[분류: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은퇴, 이적]][[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참가 선수]][[분류: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분류:독일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04 참가 선수]][[분류:1997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이집트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