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모에]][[분류:의류]] [목차] == 개요 == 서브컬처에서의 [[제복]]을 소개하는 문서. == 상세 사항 == 제복은 서브컬쳐 계열에서는 널리 퍼져있는 옷차림 중 하나다. 당장 학원물 중 교복이 나오는 작품이 몇이나 되는지 떠올려보면 된다. '''안 나오는 경우가 더 찾기 힘들다.''' 보통 제복 계열의 팬들은 [[군복]] 등 단정하고 딱딱한 양복 계열의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금속 장식이 많이 달려있거나 화려하면 더더욱 주가 상승. 여기서 파생되어 제복으로 널리 쓰일 법한 양복 계열 디자인인 경우 그게 유니폼이 아니더라도 제복 속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군사기관이나 [[비밀결사]], 혹은 그처럼 꽉 짜여진 조직에 소속된 캐릭터들이 이 속성을 부여받는 경우가 많다. 입고 있으면 [[간지]]가 나기 때문인지 제복 디자인이 호평인 만화는 [[코스프레]]에서 각광받는다. 대표적인 경우가 [[코믹월드]]에서 자주 보이는 [[D.Gray-man|디그레이맨]], [[종말의 세라프]] 코스. 그러나 장식이 많이 달리고 복잡한 디자인의 제복인 경우 의상 수주비는 상상에 맡긴다.(...) 단 서브컬쳐계에서는 제복이라고 해도 개개인에 따라 디자인이 세세하게 바뀌는 경우도 있다. 현실에서는 규율위반감이지만, 캐릭터별로 개성을 부여하다 보니 이렇게 되는 경우도. 심하면 대체 어디가 같은 옷인지 알 수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자프트]]''' 한국이나 일본, 중국 등의 국가에서는 간지난다는 이유로 [[나치 독일]]의 독일 국방군 군복이나 [[슈츠슈타펠]] 계열의 [[나치 독일군]]복에 모에하기도 하는데, 둘째 치고서라도 원본 디자인 자체가 상당히 간지가 나기 때문인지 동서양을 막론하고 디자인 자체는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다. 당연한 급부로 창작자들 역시 나치 군복의 디자인을 약간 변형하여 디자인에 차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지만 웬만하면 자제하는게 좋다. 이쪽은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한 고증 등의 이유가 아니면 나치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하켄크로이츠]] 같은 문양조차도 금기시되는 사회다. 최근 네오나치랑 우경화 때문에 극우 요소에 민감해진 국내 웹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걸고 넘어가거나 혹은 서양권에서 이러한 것을 터부시한다고 착각하는 일이 잦은데, 완전히 희화화한 경우나, '나(우리)는 나쁜 자들이오'하고 처음부터 깔고 들어가는 악역 측 집단이 나치 제복을 입고 나오는 경우라면 별로 문제가 될 일은 없다. 다만 논란이 되는건 개그나 풍자가 아니라 그냥 멋지게 나오는 것인데 [[네오 나치]]들 같이 나치를 찬양하는 --머저리-- 집단이 착용하고 돌아다니며 어그로를 끈다던가, 창작물에서 나치 관련 인물을 선역으로 미화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에야 이런 경우가 비판받을 일은 사실상 거의 없지만 악역이 아니거나 아예 선역이라면 말이 달라질 수 있다. 보통 이런 면에서 비판을 받는 동양 쪽 창작물은 이러한 집단이 간지나게 등장하거나 선역으로 등장하는 경우라 논란이 된다고 봐야 한다. 한 예로 나치를 패러디한 개그 영화 [[아이언 스카이]]는 그 독일(...)에서 개봉했다. 해당 영화에서는 비슷한 디자인으로 변형한 것도 아니고 아예 '''[[슈츠슈타펠]] 제복과 [[하켄크로이츠]] 자체를 그대로 갔다 썼는데 말이다!''' 게다가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나치 독일군]] 군복의 요소를 차용한 디자인은 상당히 자주 볼 수 있다. [[마블 코믹스]]의 [[히드라(마블 코믹스)|히드라]], [[레드 스컬]] 같은 예시가 대표적인데, 대놓고 [[나치 독일]] 요소를 가져왔지만 누구도 뭐라고 비판하는 일은 없다. 왜냐하면 찬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역사적 고증을 목적으로 한 역사물이라던가 리인액트먼트 같은 경우도 비슷한 경우. 동양 창작물 쪽에서 나치 군복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긴 하지만, 딱히 미국이나 서양권이라고 나치 관련 소재를 터부시하는 것도 아니다. 서양권의 제복 페티시물에 단골로 쓰이는게 이쪽 제복이며, 이 분야의 시발점인 영화 "[[일사]]"를 만든 나라가 가장 박터지게 싸운 나라 중 하나인 미국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답이 나오는 문제. 상술한 것과 같은 어그로나 찬양 행위를 하지 않는다면 금기라고 부를만한 소재도 아니며, 쉬쉬거릴 소재도 아니다. 그외에 여성이 거의 [[비키니]] 수준으로 줄인 제복을 입고 섹시함을 강조하는 페티시도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키니에 제복모만 착용하고 제복이라고 우기는 경우도 다수 존재.(...) 이런 경우에는 그냥 제복만 입는 경우는 거의 없고, 주로 해당물품을 같이 들어서 직업 코스프레임을 어필한다. 사실 제복의 멋 그 자체[* 진성 제복 모에를 가진 사람들은 '투희' + '섹시한 누님' 속성보다는 오히려 제복 특유의 그 칼같은 각으로 인한 직선미를 선호하므로 이쪽은 사도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에 열광하는 진성 [[덕후]]가 아닌한 이쪽을 더 선호하는 라이트한 덕들도 많다. [[바디슈트]]도 일종의 제복이라 볼 수 있고 이 계열도 인기가 많다. 주로 섹시함을 어필 하는데 사용된다. 뭐, 정상적인 제복 모에도 없다는건 아니다. '''물론 모에이니만큼 현실과 같을거란 기대는 버리자.'''[* 근데 저 시대 군복이란게 사실상 양복의 변형이라 색깔이나 디자인 세세한 곳을 조금만 손보면 대부분 거기서 거기다.] 2013년에는 일부 여덕들을 중심으로 [[이탈리아 헌병군]] 제복이 떠오르기도 했다. 디자인은 항목 상단으로. '''[[아르마니]]'''가 디자인한 검은색과 붉은색이 오묘하게 조합된 모습이 나치 군복의 뺨을 후려칠 정도로 간지폭풍이라 [[버틸 수가 없다!|버틸 수가 없다]]를 [[https://threadic.com/loli/1298769003/l50|단체로 시전하는 스레]]가 있을 정도. 남성 캐릭터의 경우 [[올빽]] 속성과 조합되는 경우도 있다. 여성 캐릭터의 제복에 짧은 치마가 들어갈 경우, 높은 확률로 [[스타킹]], [[니 삭스]] 또는 [[사이하이 삭스]] 속성과 조합된다. == 종류 == 특정한 집단 내에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정해진 복장이면 뭐든 제복으로 부르기 때문에, 의외로 그 범위는 넓다. 대표적인 경우가 교복이나 군복, 항공사 유니폼. 넓게 보자면 의료 종사자의 [[흰 가운]]이나 환자의 [[환자복]] 역시 해당되며 [[패스트푸드]]점 등에서 종업원이 입는 유니폼 역시 제복이다. 아래에 하위 항목에 해당하는 종류와 착용자를 서술. 별표(★)는 민간인이 함부로 입거나 소지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다. * [[간호복]] / [[간호사]] * [[경찰공무원/제복|경찰복]] / [[경찰관]] ★[* [[경찰제복 및 경찰장비의 규제에 관한 법률]]에 명시되어 있다.] * [[소방공무원/제복|소방복]] / [[소방관]] ★ * [[교복]] / [[학생]][* 단, 입지 않는 학교도 있다. 대다수의 초등학교는 입지 않으며, 중고등학교는 일부에 해당된다. 참고로 1980년대 교복자율화 시절때는 중고등학교도 입지 않는 학교가 많았다.][* 체육복 등도 일종의 제복에 포함된다.] * [[군복]] / [[군인]] ★[* [[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에 명시되어 있다. [[군복]] 문서의 해당 문서에 나와 있다.] * 제복 / [[사회복무요원]] * [[메이드복]] / [[메이드]] * [[수단(의복)|수단]] / [[성직자]] * [[수도복]] / [[수도자]] * [[승복]] / [[스님]] * 의사 가운 / [[의사]] * [[교도관제복]] / [[교도관]] * [[죄수복]] / [[수감자]] --★--[* 법률에는 없지만 민간인이 입으면 탈옥수로 오해를 살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단 취소선 처리.] * 왕실예복 / [[왕실]] * 제복 / [[철도기관사|기관사]], [[승무원]] * 제복 / [[비행기 기장]], [[항공정비사]][* 항공정비사도 탑승정비시엔 제복과 견장을 착용하며, 메카닉에서 엔지니어로 진급하면 상시 제복을 입는다. 이때 엔지니어의 견장은 비행기 조종사처럼 금줄이 있는것까지는 동일하나, 사이사이에 빨간줄이 들어가있다. 선박의 선장과 기관장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 제복 / [[해기사]] * 제복 / [[은행원]] * 제복 / [[관세청|세관원]] * --[[구세군]]--[* 직업이라기엔 애매하지만...] == 이 속성을 가진 캐릭터 == ||※ [[교복]]은 제외|| * [[86 -에이티식스-]] - [[블라디레나 밀리제]]외 군인 캐릭터 전원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바리아]], [[밀피오레 패밀리]] 전원(블랙 스펠은 검은색, 화이트 스펠은 흰색) * [[감옥학원]] - 수감생 전원 * [[강철의 연금술사]] - [[군인]] 캐릭터 전원 * [[검은방]] - [[류태현]][* 2편과 3편에서 순경복을 입고 나온다. 4편에서 순경복은 코스튬으로 구입해야 한다.] * [[귀멸의 칼날]] - [[귀살대]] 소속 대원 전원 * [[괭이갈매기 울 적에]] - [[연옥의 일곱 자매]], 이단심문관 전원 * 꼭두각시 卍 버스트의 [[카가미네 렌]][* 노래는 부르지 않지만 공식 PV를 보면 [[KAITO]], [[MEIKO]], [[메구리네 루카]]도 착용하고 있다.] * [[날아라 슈퍼보드 -환상서유기-]] - [[제복 미소녀 세자매]] * [[레고 닌자고]] - 상어군단 장교들 * [[단간론파 시리즈]] - [[모나카(단간론파 시리즈)|모나카]] * [[도검난무]] - 아와타구치 도파 캐릭터 전원[* 단도 캐릭터 대부분(이마노츠루기, 사요 사몬지, 아이젠 쿠니토시 제외), 나마즈오 토시로&호네바미 토시로(와키자시), 이치고히토후리(태도), 나키기츠네(타도)], [[모노요시 사다무네]] * [[도서관 전쟁]]의 [[도서대]] 캐릭터 전원 * [[동방 프로젝트]] - [[레이센 우동게인 이나바]][* 얼핏 블레이저 교복 같아 보이지만 달토끼들의 제복이라고 한다. 이후 동방맹월초에서 등장한 [[레이센(동방맹월초)|레이센]]도 같은 복장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레터 비]]의 배달원 전원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이즈미 카나기]] * [[마도정병의 슬레이브]] - [[와쿠라 유우키]]를 제외한 [[마방대]] 전원.[* 대원들마다 디자인이 조금씩 차이 나는데 원작해서는 디자인 뿐만 아니라 색감 마저 천차만별이라 호불호가 매우 심하게 갈린다. 대표적인 예시가 [[이즈모 텐카]].] * [[메이플스토리]] - [[제로(메이플스토리)|제로]], [[팬텀(메이플스토리)|팬텀]], [[데몬(메이플스토리)|데몬]], [[아크(메이플스토리)|아크]], [[아델(메이플스토리)|아델]] *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 -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 [[한스 악셀 폰 페르센]], 제로델 * [[복면가왕]] - [[우리 동네 음악대장]] * [[블랙 마리아]] - 김선민[* [[경장(계급)|경장]] 직급의 경찰이다.], [[마리아 투르캉 휴 마샤|마리아]][* 작중 입고 나오는 옷이 화성의 대 테러부 경찰의 제복이다.] * [[블리치]] - [[슈테른릿터]] * [[블레이블루 시리즈|블레이블루]] - [[세계 허공정보 통제기구]] * [[수호캐릭터]]의 [[가디언]] 소속 인물 전원[* 교복 속성이지만 전 학생이 입는 것이 아니라 가디언 소속 인물만 입는 제복이므로 예외 사례로 추가했다.] * [[소녀전선]] - [[네게브(소녀전선)]], [[IWS 2000(소녀전선)]] ,[[카르카노 M1891(소녀전선)]], [[카르카노 M91/38(소녀전선)]] * [[스크라이드]] - [[홀리]]소속 앨터 능력자 전원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아크튜러스 멩스크]], [[발레리안 멩스크]], [[제라드 듀갈]], [[알렉세이 스투코프]], [[맷 호너]] * [[스타워즈]] - [[타킨]], [[율라렌]] 등 제국군 장교들 * [[스텔라비스]] - 모든 크루세이더 단원들 * [[신센구미]] 및 신센구미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 대부분 (톱니 문양이 있는 옥색 하오리) * [[아카메가 벤다!]] - [[에스데스]], [[세류 유비키타스]] * [[알드노아. 제로]] - [[슬레인 트로이어드]] 를 포함한 화성 측 기사들. * [[약속의 네버랜드]] - [[엠마(약속의 네버랜드)|엠마]], [[노먼(약속의 네버랜드)|노먼]], [[레이(약속의 네버랜드)|레이]] 외의 [[그레이스 필드 하우스]] 아이들 [* 하얀색의 와이셔츠와 치마, 바지로 이루어진 제복을 입는다. 일종의 단복.][* 제3플랜트 탈주자들의 경우 GF편 한정.] * [[앨리스 시리즈(오토메 게임)|앨리스 시리즈]] - [[에이스(QuinRose)|에이스]], [[트위들 디·덤]] * [[엘소드]] - [[루시엘/카타스트로피]],[[청(엘소드)/센츄리온]] * [[엠파이어 어스]] - [[검은 제복단]] 전원 * [[오징어 게임]] - [[오징어 게임/등장인물/진행 요원|진행요원들]] * [[옥도사변]] - 등장 옥졸 캐릭터 전원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카이 테이오]],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일런스 스즈카]],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맥퀸]],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와 스칼렛]]등 승부복 한정. * [[역전재판 시리즈]] - [[마치오 마모루]][* 경찰관 제복 때문에 살해당했다.], [[하라바이 스스무]], [[카네이지 온레드]] * [[워크래프트]] 시리즈 - [[테레나스 메네실]], [[아서스 메네실]], [[안토니다스]], [[제이나 프라우드무어]][* 부친인 [[댈린 프라우드무어]]와 남동생인 [[탄드레드 프라우드무어]]는 상시 군복을 입고 댕긴다.] * [[월드 트리거]] - [[보더]] 소속 [[월드 트리거/등장인물|전투원 캐릭터 전원]][* 단, 부대별로 제복의 디자인이 다르다.] * [[유녀전기]] - 각국의 군인들 * [[유희왕]] 시리즈 * [[유희왕 ARC-V]] - [[아카바 레오]], [[오벨리스크 포스]] * [[은혼]] - [[곤도 이사오]], [[히지카타 토시로]] 등 진선조 대원 전원 * [[재배소년]] - 총통각하씨앗, 제국군씨앗 전원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 고부타, 베니마루, 가비루 등 [[리무루 템페스트|리무루]] 휘하 부대원들[* 우방국에 사절단으로 파견되거나 대전쟁 발발 시 제복을 입는다. ] * [[전지적 1인칭 시점]] - [[에이비(전지적 1인칭 시점)|에이비]] * [[종말의 세라프]] - 일본제귀군, [[흡혈귀(종말의 세라프)|흡혈귀]]에 소속된 인물 거의 대부분 * [[진격의 거인]] - [[병단(진격의 거인)|병단]]에 소속된, 사실상 작 중 주요 등장인물 전원 * [[철권 시리즈]] - [[세르게이 드라그노프]] * [[파르페 -쇼콜라 세컨드 브루-]]의 히로인 전원 * [[쿠키런 시리즈]] - [[캡틴 아이스 쿠키]], [[아몬드맛 쿠키]][*스킨한정1 마법도시 경찰청장 스킨 한정.], [[마들렌맛 쿠키]][*스킨한정2 화려한 기사의 예복 스킨 한정.], [[라즈베리맛 쿠키]], [[클로티드 크림 쿠키]], [[밀키웨이맛 쿠키]] * [[킬라킬]] - [[키류인 사츠키]] * [[트리니티 블러드]] - [[장미십자기사단]] 멤버들. 제복 디자인은 멤버들마다 다르다. 나중에 트레스와 카태리나도 합류해서 이걸 입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카인 나이트로드|카인]]은 검은색 제복을 입지 않는다. * [[구데리안(트리니티 블러드)|구데리안]] * [[디트리히 폰 로엔그린]] * [[멜키오르 폰 노이만]] * [[이자크 페르난도 폰 캠퍼]] * [[카테리나 스포르차]] * [[트레스 이쿠스]] * [[헬가 폰 포겔바이데]] * [[포켓몬스터]] - [[상행(포켓몬스터)|상행]],[[하행(포켓몬스터)|하행]] * [[하우스키퍼(웹툰)|하우스키퍼]] - [[슈퍼 솔저 부대]] 전원. * [[해피니스 프리큐어!]] - [[오레스키]] * [[AIKa]] - 데르모군단 전원 * [[D.Gray-man]]의 [[엑소시스트]] 캐릭터 전원 * [[Dies irae(게임)|Dies irae]] - [[성창 13 기사단]] * [[MARS RED]] - [[일본 제국 육군|대일본제국 육군]] 헌병 캐릭터 전원 * [[Re:CREATORS]] - [[군복 공주]] * [[K(애니메이션)|K]] - [[셉터 4]] * [[Library of Ruina]] - [[잔향악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복, version=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