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겟타로보 시리즈/등장인물]] [[파일:Teiou_Gorr.jpg|width=550&align=right]] [목차] [clearfix] == 개요 == 帝王 ゴール / Emperor Gore [[겟타로보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공룡제국]]의 제왕. 성우는 [[진 히로무]](TVA) / [[우츠미 켄지]](슈퍼로봇대전, 네오 겟타 vs 진 겟타로보). == 상세 == === TVA [[겟타로보]] === TVA 겟타로보의 [[최종 보스]]. [[겟타선]]에 의해 몰락한 공룡제국을 부흥시키기 위해 매번 메카자우르스를 인간세계에 보내 공격한다. 하지만 [[겟타로보(로봇)|겟타로보]]에 의해 항상 실패한다. 공룡제국의 지배자는 [[대마인 유라]]지만 유라는 앉아서 고르에게 겟타로보를 없애라고 명령만 내릴뿐이고 실질적으로 전투지휘는 고르가 한다. 휘하에 [[배트 장군]]과 가레리 총감을 두고있다. 임무에 실패한 부하를 마그마 밑으로 떨어트려 처형하는 등 냉혹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딸인 [[사오토메 미유키|고라 왕녀]]가 죽게되자 오열하며 슬퍼하는 인간적인 장면도 나온다. 최종화에서 유라에게 [[무적전함 다이]]를 받아 겟타로보를 파괴하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커맨드 머신을 타고 돌진하는 [[토모에 무사시]]의 자폭공격으로 인해 폭주하게 된 다이에 의해 사망한다.[* 정확히는 천장에있는 샹들리에가 떨어지고 그방향으로 달려갔다가 거기에 깔려 과다출혈로 사망한다.] === 코믹스판 [[겟타로보]] === 원작 만화에서는 대마인 유라가 등장하지 않아서 그가 공룡제국 최고 권력자이다. 인류 퇴화계획이나 기후 변화 장치 등등을 사용하면서 수많은 인간들을 학살하기도 하는 잔혹한 작전을 펼친다. 겟타로보를 상대로 열심히 싸우지만 병력의 상당수를 겟타로보에게 [[우라돌격]]시켰다가 무사시의 자폭으로 날려먹고,[* 이 때 모습을 보면 겟타선을 감당할 수 있는 메카자우르스를 개발 중이었지만, 복수심과 동면기로 인한 초조함으로 인해서 지금껏 겟타로보와 싸웠던 메카자우르스 급도 아닌 질낮은 메카자우르스까지 닥치는대로 사용하면서 인해전술로 겟타로보를 해치우려한다.] [[백귀 제국]]이 등장하면서 공룡제국이 개발살나는 바람에[* 배트 장군은 백귀 제국의 공격에 몰살의 위기에 처하면서 다음을 기약하면서 머신 랜드와 함께 후퇴할 수 밖에 없었고, 겟타를 공격하고 있던 고르는 머신 랜드에 타지 못하고 홀로 지상에 남겨져 버렸다.] 결국 겟타[* 정확히는 겟타로보의 홀로그램을 입힌 겟타로보G. 무사시의 특공과 자폭으로 시간을 벌어서 가까스로 완성됐다.]에게 돌격하면서 최후를 맞이한다.[* 그나마 이것도 백귀수가 꼽싸리끼는 바람에 겟타로보G에게 타격을 입히지 못하고 백귀수의 공격에 당해 꼬치신세가 된 것으로 끝났다.] === [[진 겟타로보]] === [[겟타 드래곤]]이 곤충인류를 여럿 흡수해 진화한 이후, 사오토메 연구소 내에 [[겟타선]] 수치가 오르면서 일어난 심령현상을 통해 등장. 이때 밝혀지길 브라이 대제와 함께 겟타선에 동화되었으며, 비록 자신은 죽었어도 파충류는 아직 멸종하지 않았지만, 머지 않아 [[곤충인류]]에 의해 파충류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죽을거라며 [[사오토메 박사]]를 돕겠다는 말을 전한다. 이후 고르뿐만 아니라 겟타로보한테 죽은 파충인류의 영혼들이 나타나 겟타선 플러그를 옮겨 진 겟타로보를 충전시켜준다. === [[겟타로보 아크]] === [[곤충인류]]에 의해 몇차례 부활했던 [[브라이]] 대제와는 달리 여전히 고인. 대신 그의 아들인 '''고르 3세'''가 뒤를 이어 공룡제국을 지배하고 있었다. 애니판에서는 백귀제국한테 당한 상태로 해저에 묻혀있는 모습으로 등장. === [[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 === [[파일:gore_amagedon1.png|width=450]] 2화에서 [[사오토메 박사]]가 배양하던 인조생명체로 [[브라이]]와 함께 등장. 원작과는 달리 지성이 없는 괴물이다. 고르는 [[나가레 료마(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료마]]의 클론이고 브라이는 [[진 하야토(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하야토]]의 클론으로 [[고우(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고우]]와 같은 신인류가 되었어야 했지만 사오토메 박사가 치명상을 입은 것을 보고 폭주한 고우와 [[진 드래곤]]이 공명한 영향으로 고르와 브라이를 닮은 괴물로 변질되었다. 이후 [[진 겟타로보(로봇)|진 겟타 1]]의 겟타 빔에 날아가나 브라이와 [[인베이더(겟타로보)|인베이더]]와 재생/합체/융합해 거대화된 인베이더가 되었다. 그후 [[겟타 3]]에 탑승한 [[토모에 무사시|무사시]]를 살해하고, 중양자 ICBM이 진 드래곤에 직격하고 폭발한 이후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 [[진 겟타로보 VS 네오 겟타로보]] === || [[파일:emperor gore in shin vs neo 1.png|width=550]][br]프롤로그에서 첫 등장 당시 || || [[파일:emperor gore in shin vs neo 2.png|width=550]][br]회복이 끝난 후 4화에서의 최종결전에서 모습을 드러냈을 때[* 프롤로그에서 입었던 부상으로 좌반신(눈, 팔 등)을 기계로 대체하였으며 이후 복부에서도 빔 조사장치가 있음이 드러난다.] || 프롤로그에서 뉴욕에 머신 랜드를 부상시켜서 대기와 물을 자기들에게 유리하게 바꾸는 것을 시작으로, 대량의 메카자우루스 군단으로 [[토모에 무사시|무사시]]가 탄 [[겟타로보(로봇)|겟타로보]]와 싸운다. 필사적으로 싸우는 무사시였으나 결국 수적우세에 압도당하고, 마지막으로 고르가 직접 숨통을 끊으려는 찰나, 무사시의 자폭으로 중상을 입고 4년 동안 남극 밑에서 몸을 치료하고 있었다. 진 겟타로보의 봉인이 풀리면서 거의 동시에 회복이 완료되고, 직접 등장해 [[메가노이드|매크로머신 비스무리한 장치위에 올라가 거대화 빔을 맞고 진 겟타의 3배 이상으로 거대해진 후]] 진 겟타를 일방적으로 몰아붙이지만[* 최종결전의 무대가 되는 전함에 겟타선을 차단해버리는 배리어를 설치해 진 겟타를 너프시킨 덕분도 있다. 물론 저런 핸디캡을 감안해도 공룡제국을 상대로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여준 진 겟타를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는 점에서 최종보스 버프를 제대로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만일 전함 내부로 진입한 사오토메 박사 일행이 배리어를 해제해주지 않았더라면 진 겟타는 그대로 파괴되어 끝장났을지도 모른다.] 겟타선 버프를 받은 진 겟타한테 패배하면서 "원통하도다! 겟타선이여, 어째서 인류를 선택한 것이냐! 공룡제국에 영광 있으라!"는 말을 남기고 사망. 디자인이 상당히 위압적이면서 간지나는 모습이고 성우 또한 초대작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간지폭풍을 자랑하는지라 원작에서의 그 찌질하던 고르와 전작인 세계 최후의 날에서의 그 취급이 나쁘던 인조생명체 고르에 비해 환골탈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2001년 [[슈퍼로봇대전 알파 외전]]에서 처음 등장했다. 겟타로보 자체는 시리즈 처음부터 꾸준히 참전했으나, 스토리가 재현된 작품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꽤나 늦은 등장. 타고 나오는 [[무적전함 다이]]의 스펙과 정신기 난무로 인해 엄청난 방어력을 자랑한다. 그 후 2차 알파, 3차 알파에도 등장한다. OVA가 참전한 2차 Z 파계편과 R, GC에서는 해당 OVA버전으로 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