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이미 브라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외국인 선수)] ---- [include(틀:LG 트윈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개막전 선발 투수)] ---- [include(틀:LG 트윈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제이미 브라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4.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06년 한국시리즈|{{{#ffffff 2006}}}]]''' ||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29번}}}''' || || [[마틴 바르가스|바르가스]](2005) || → || '''브라운(2006~2007)''' || → || [[이상목]](2008) || ||<-5>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ffffff 등번호 29번}}}''' || || [[김유선(야구선수)|김유선]](2007) || → || '''브라운(2008~2008.5.11.)''' || → || [[로베르토 페타지니|페타지니]](2008.5.12.~2009) || }}} || }}} || ---- ||<-2> [[파일:/image/003/2006/06/10/2006-06-10T200945Z_01_NOOTR_NISIDSP_2_120060610200405516.jpg]] || ||<-2> [[삼성 라이온즈]] 시절 || ||<-2> [[파일:/image/117/2008/04/24/200804241011352225_1.jpg]] || ||<-2> [[LG 트윈스]] 시절 || || '''이름''' || 제이미 먼로 브라운(Jamie Monroe Brown) || || '''생년월일''' || [[1977년]] [[3월 31일]] || || '''신체''' || 186cm, 92kg || || '''국적''' || [[미국]] || || '''출신지''' || [[미시시피]]주 메리디안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1996년 드래프트 21라운드(전체 633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CLE]]) || || '''소속팀''' || [[보스턴 레드삭스]] (2004) [br] [[한신 타이거즈]] (2005) [br] '''[[삼성 라이온즈]] (2006~2007)''' [br] [[LG 트윈스]] (2008)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에서 활동한 [[외국인 선수]]. 2022년 기준 [[데이비드 뷰캐넌]]과 함께 삼성 소속으로 2년 연속 두자릿수 승수를 기록한 둘 뿐인 외국인 투수다. == 선수 생활 == 1997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지명되어 입단한 브라운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간 더블A에서 활동했을 정도로 한동안 성장이 정체되었다. 그러다가 2003년 시즌 중 [[보스턴 레드삭스]]로 이적했다. 200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해 계투로서 4경기에 등판해 승패 없이 5.8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브라운이 메이저로 콜업되었을때 대신 마이너로 내려간 선수가 [[김병현]]이다.] 2005년 [[한신 타이거즈]]에 입단했는데, 11경기에 등판해 4승 1패 5.18의 평균자책점으로 그다지 좋은 모습은 보이지 못했다.[* 다만 이완 별개로, [[일본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중간계투]]진인 [[JFK(한신)]]의 명칭의 유래와 연관되기도 한 바 있다. 자세한 건 항목 참고.] 2006년 [[삼성 라이온즈]]가 브라운을 영입했다. 브라운은 기교파 투수였는데, 2005년 강속구를 갖고 있던 [[루서 해크먼]]과 [[마틴 바르가스]]가 실패한 반면 시즌 중반에 합류한 기교파 [[팀 하리칼라]]가 좋은 모습을 보여줬기에 [[선동열]] 감독이 기교파 투수를 원했다고 한다. 비록 메이저리그에서와 일본에서는 그리 좋은 모습을 보이지는 못했지만, 일본통인 [[선동열]] 감독이 뽑았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기대를 걸만 했다. 사실 미국 일본에서 좋은 모습을 보였으면 한국에 올 리가 없기도 하고. [[배영수]]-[[팀 하리칼라]]에 이은 3선발을 맡게 되었지만 브라운은 입단 후 잔부상으로 스프링캠프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고, 정규시즌 초반에는 제구력 난조로 일찍부터 퇴출 대상으로 거론되었다. 4월 30일 [[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완투승을 거뒀지만 그 이후로도 전반기 동안은 기복 심한 모습을 보였다. 후반기 들어 안정된 모습으로 11승 9패 2.6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삼성은 브라운과 재계약을 맺었다. 2006년 시즌 후 [[배영수]]가 [[토미 존 서저리]]로 이탈하고, [[팀 하리칼라]]와 재계약을 포기하면서 2007년에는 브라운이 1선발을 맡게 되었다. 5월 중순 8번째 등판 경기에서야 첫 승을 기록했는데 브라운이 못한 탓이 아니라 타선의 지원을 못 받아서였다. 주전 타자 대부분이 30대 이상이었을 정도로 당시 삼성 타선은 노쇠화가 심했다. 비록 1선발로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지만 12승(8패)을 거두면서 팀내 다승 1위를 했다. 정규시즌 후 [[한화 이글스]]와의 준플레이오프 1차전에 선발 등판하여 [[류현진]]과 맞대결을 펼쳤으나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삼성은 준플레이오프에서 1승 2패로 패배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이 좌절되자, 브라운이 2년간 한국에서 활동하면서 타팀 타자들에게 파악이 되어 더 이상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 힘들다고 판단해 재계약을 포기했다. 앞서 하리칼라와 마찬가지로 [[선동열]] 감독의 성적 압박에 시달렸던 브라운은 삼성 시절은 하루하루가 악몽이었다고 말했다. 하리칼라보다 더 날 선 발언이었는데, 선동열 감독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브라운을 5이닝용 투수라고 평가했던 것 때문이었다. 감독이 시즌 내내 5이닝, 길어야 6이닝 정도 쓰고 칼 같이 교체했으면서 언론에는 선수를 탓했으니 선수 입장에서 화가 날 수 밖에. 그리고 [[LG 트윈스]]의 [[김재박]] 감독은 준수했던 선수를 왜 포기했냐 하면서 브라운을 영입했다. 하지만 브라운은 8경기에 등판해 1승 5패 7.93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결국 5월 중순 퇴출되었다. 비록 하리칼라에 이어서 2년 연속 [[선동열]]의 투수 보는 안목이 틀리지 않았음을 입증하고 말았지만, [[로베르토 페타지니]]를 영입하면서 도리어 [[전화위복]]이 되었다. LG에서 퇴출된 후 브라운에 대한 근황은 알려진 게 없다. == 연도별 성적 == ||<-12>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4 || [[보스턴 레드삭스]] || 4 || 7⅔ || 0 || 0 || 0 || 0 || 5.87 || 15 || 4 || 6 || || {{{#000000 연도}}} || {{{#000000 소속팀}}} || {{{#000000 경기수}}} || {{{#000000 이닝}}} || {{{#000000 승}}} || {{{#000000 패}}} || {{{#000000 세}}} || {{{#000000 홀}}} || {{{#000000 ERA}}} || {{{#000000 피안타}}} || {{{#000000 사사구}}} || {{{#000000 탈삼진}}} || || 2005 || [[한신 타이거즈]] || 11 || 33 || 4 || 1 || 0 || 0 || 5.18 || 44 || 16 || 24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6 ||<|2> [[삼성 라이온즈]] || 27 || 154⅓ || 11 || 9 || 0 || 0 || '''2.68'''[br](2위) || 118 || 57 || 92 || || 2007 || 30 || 162⅓ || '''12'''[br](5위) || 8 || 0 || 0 || 3.33 || 150 || 57 || 6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8 || [[LG 트윈스]] || 8 || 36⅓ || 1 || 5 || 0 ||0|| 7.93 || 57 || 18 || 15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0275d8 MLB}}}]] 통산'''(1시즌) || 4 || 7⅔ || 0 || 0 || 0 || 0 || 5.87 || 15 || 4 || 6 || ||<-2> '''[[일본프로야구|{{{#0275d8 NPB}}}]] 통산'''(1시즌) || 11 || 33 || 4 || 1 || 0 || 0 || 5.18 || 44 || 16 || 24 || ||<-2> '''[[KBO 리그|{{{#0275d8 KBO}}}]] 통산'''(3시즌) || 65 || 353 || 24 || 22 || 0 || 0 || 3.52 || 330 || 132 || 17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머리디언(미시시피) 출신 인물]][[분류:1977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2008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보스턴 레드삭스/은퇴, 이적]][[분류:한신 타이거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