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이콥 주니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65번}}}''' || || 조시 루프[br](2010) || {{{+1 →}}} || '''제이콥 주니스[br](2017~2020)''' || {{{+1 →}}} || [[딜런 콜먼]][br](2021~2023) || ||<-5> '''{{{#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ffffff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24번}}}''' || || 미치 메이어[br](2018~2019) || {{{+1 →}}} || '''제이콥 주니스[br](2021)''' || {{{+1 →}}} || [[아미르 개럿]][br](2022)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34번}}}''' || || [[케빈 가우스먼]][br](2020~2021) || {{{+1 →}}} || '''{{{#ffffff 제이콥 주니스[br](2022~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주니스.jpg|width=100%]]}}} || ||<-2> '''{{{+2 제이콥 주니스}}}[br]Jakob Junis''' || || '''본명 ''' ||제이콥 벤자민 리 주니스[br]Jakob Benjamin Lee Junis[* 발음 JOO-nis] || ||<|2> '''출생''' ||[[1992년]] [[9월 16일]] ([age(1992-09-16)]세) || ||[[아칸소|아칸소 주]] 잭슨빌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록 폴스 타운십 고등학교 || || '''신체''' ||190cm / 9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1년 드래프트 29라운드 (전체 876번, [[캔자스시티 로열스|KC]]) || || '''소속팀''' ||[[캔자스시티 로열스]] (2017~2021)[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2~2023) || || '''SNS''' ||[[https://www.facebook.com/jbljuni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jbljuni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bljunis)]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캔자스시티 로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akob Junis.jpg|width=100%]]}}}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2022년 3월 14일, 샌프란시스코와 1년 175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2년|2022 시즌]] ==== 4월 22일 [[앤서니 데스클라파니]]가 부상자 명단에 올라 처음 콜업되어 당일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원정경기에 등판했다. [[샘 롱]]에 이은 두번째 투수로 3회에 등판해 7회까지 5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승리투수가 되었다. 4월 27일 오클랜드전에서도 [[샘 롱]]의 뒤를 이어 벌크가이로 올라와 5이닝 무실점 6K의 완벽투를 선보였다. 다만 이번엔 팀 타선이 끝까지 터지지 않으며 승리투수가 되지 못했다. 28일 마이너로 내려갔다. 5월 8일 세인트루이스전을 앞두고 [[그레고리 산토스]]가 마이너로 내려가며 콜업, 2회초 [[후안 예페스]]에게 데뷔 첫 홈런을 허용했지만 5이닝 2실점 5K로 오늘도 준수한 투구를 하고 승리투수 요건을 갖추고 내려갔으나 [[도미닉 레온]]의 블론세이브로 승리가 날아갔다. 현재까지 bWAR은 0.9로, 단 3경기만 뛰고 팀내 3위를 기록중이다.[* 1위는 1.5의 [[카를로스 로돈]], 2위는 0.9의 [[로건 웹]].] 5월 14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2회말 [[브렌던 도노반]]에게 적시 2루타, 5회말 [[토미 에드먼]]에게 솔로포를 맞았고, 6회말 2사에서 [[코리 디커슨]]과 [[야디어 몰리나]]에게 연속안타를 맞고 5⅔이닝 2실점 3K로 내려갔다. 이후 팀이 0:4로 완패하면서 시즌 첫 패전을 기록하게 되었다. 5월 20일 샌디에이고전에서 2회초까지 순항하다 3회초 갑자기 [[호르헤 알파로]]와 [[제이크 크로넨워스]]에게 적시 2루타와 투런포를 맞고 폭투로 [[매니 마차도]]를 득점시키며 4실점을 했다. 그래도 이후 3이닝을 실점없이 막고 6이닝 4실점 2K를 기록, [[다린 러프]]의 홈런 두 방으로 동점이 만들어지며 주니스의 패전도 지워졌지만 결국 팀은 연장 10회 승부끝에 8:7로 패하고 말았다. 5월 25일 메츠전에서 6이닝 2실점 4K로 호투, 타선이 메츠 마운드에 홈런 4방을 퍼붓고 9점을 지원해주며 무난하게 승리투수가 되었다. 시즌 2승째. 5월 31일 필라델피아전에서 3회말까지 철벽의 모습을 보이다가 4회말 [[진 세구라]]에게 안타, [[브라이스 하퍼]]에게 2루타를 맞고 무사 2, 3루에 몰렸다. [[J.T. 리얼무토]]의 땅볼 단 1실점으로 위기를 넘겼으나 5회말에도 1사에서 [[요한 카마고]]에게 안타를 맞자 팀에선 과감히 주니스를 교체, 4⅓이닝 1실점 3K를 기록하고 내려갔다. 팀은 연장 11회 승부끝에 7:4로 승리했다. 6월 5일 마이애미전에서 6이닝 1실점 8K를 기록, 6회말 [[개럿 쿠퍼]]에게 맞은 홈런을 제외하면 완벽한 피칭을 하며 시즌 3승을 거두었다. 현재까지 [[로건 웹]]이 작년의 압도적인 모습을 잃고 [[카를로스 로돈]], [[알렉스 콥]], [[알렉스 우드]] 등 이적생들이 모두 부진에 빠진 상황에서 샌프란시스코의 선발진을 이끌고 있다. 6월 10일 다저스전에서 5이닝을 2실점 5K로 버텼고, 타선이 7점을 뽑아주며 시즌 4승을 수확했다. 그러나 6회초 첫 타자 [[맥스 먼시]]를 상대하던 도중 4구 투구 후 갑자기 통증을 호소하며 강판당했고, 결국 다음날인 11일 왼쪽 햄스트링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7월 16일 복귀했고, 7월 17일 밀워키전에서 7회초 등판해 복귀전을 가졌지만 [[헌터 렌프로]]에게 적시타, 8회초 [[로우디 텔레즈]]에게 투런을 맞는 등 2이닝 3실점 2K로 부진해 2점대 평균자책점이 무너졌다. 7월 25일 애리조나전에서 4회말까지 무실점으로 버텼지만 5회말 [[제이크 맥카시]]에게 안타를 맞고 내려갔고, 뒤이어 올라온 [[할린 가르시아]]가 주자를 불러들이고 이후 팀이 0:7의 완패를 당해 4⅓이닝 1실점 2K로 시즌 2패를 기록했다. 7월 30일 컵스전에서 4회초까지 무실점으로 버텼지만 계속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국 4이닝 무실점 4K로 내려갔다. 팀은 4:5로 승리했고, 어쨌든 무실점을 기록하며 평균자책점은 다시 2.78로 낮아졌다. 8월 4일 다저스전에서 3회초까지 1실점으로 꾸역꾸역 버티다가 4회초 2사 1, 2루를 만들어놓고 강판, 뒤이어 올라온 [[존 브레비아]]가 [[무키 베츠]]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고 팀도 5:3으로 패해 다저스에게 홈 4연전 스윕을 내주며 시즌 3패를 기록했다. 8월 10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션 머나야]]가 4실점을 하자 이에 질세라 3회말 7타자 연속출루를 내줘 동점을 허용하고 무사 만루 위기에 몰렸다. [[김하성]]을 뜬공으로 잡았지만 결국 강판되었고, 뒤이어 올라온 [[알렉스 영]]이 주자 2명을 불러들여 2⅓이닝 6실점 3K를 기록, 평균자책점이 3.78까지 올랐다. 팀이 6회초 [[나빌 크리스맷]]을 상대로 동점을 만들어 패전은 면했으나 팀은 결국 6회말 [[유니오르 마르테]]와 [[할린 가르시아]]의 방화로 7:13의 대패를 당했다. 8월 16일 애리조나전에서 7이닝 1실점 7K로 호투했다. 그러나 팀 타선이 [[메릴 켈리]]-[[조 맨티플리]]-[[이안 케네디]]로 이어진 애리조나 투수진에 9회말 2사까지 단 한점도 뽑지 못해 패전투수가 될뻔했지만,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3루타와 [[브랜든 크로포드]]의 역전 끝내기 투런이 터지며 다행히 패전을 면했다. 8월 21일 콜로라도전에서 [[브라이언 서븐]]과 [[에로리스 몬테로]]에게 홈런 두 방을 맞았지만 팀이 6점을 지원해주고 본인도 더 이상의 실점을 하지 않으며 나름 순항중이었으나, 7회말 1사에서 [[샘 힐리아드]]의 라인드라이브 타구에 맞고 6⅔이닝 3실점 6K로 [[존 브레비아]]와 교체되었다. 그리고 내려가자마자 8회말 [[할린 가르시아]]가 [[랜달 그리칙]]에게 동점 투런을 맞고 승리가 날아갔다. 그나마 팀이 연장 11회 승부끝에 9:8로 승리한게 다행. 8월 28일 미네소타전에서 3회말 [[카를로스 코레아]]에게 적시타, 4회말 [[제이크 케이브]]에게 투런을 맞았고, 5회말에도 1사 1루에서 [[맥스 케플러]]와 [[호세 미란다]]에게 연속 2루타를 맞고 강판되었다. 뒤이어 올라온 [[알렉스 영]]이 주자를 모두 불러들여 4⅓이닝 6실점 2K로 시즌 4패를 기록했고, 평균자책점도 4.04로 상승했다. 9월 3일 필라델피아전에서 안타를 7개나 얻어맞는 와중에도 4⅓이닝을 3실점(2자책) 5K로 꾸역꾸역 버텼다. 팀은 다행히 4:5로 승리. 9월 8일 밀워키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2회말부터 등판해 4회말 [[크리스티안 옐리치]]와 [[헌터 렌프로]]에게 연속 적시타를 맞은 걸 제외하면 흔들리는 모습없이 6이닝 2실점 4K로 호투했으나, 타선이 [[코빈 번스]]에게 8이닝동안 14K를 당해주며 1:2로 패배, 결국 호투에도 불구하고 시즌 5패를 기록했다. 9월 13일 애틀랜타전에서 2회초 [[로비 그로스만]]에게 땅볼로 점수를 주고 3회초 [[댄스비 스완슨]]에게 투런, [[마이클 해리스 2세]]에게 적시타를 맞는 등 5이닝 4실점 5K로 부진하며 시즌 6패를 기록했다. 9월 19일 콜로라도전에서 [[쿠어스 필드]]를 이겨내지 못하고 4⅓이닝동안 12개의 안타를 맞고 6실점(5자책)에다 삼진도 2K에 그치며 무너져내렸다. 그대로 패전위기에 몰렸지만 9회초 [[윌머 플로레스]]와 [[데이비드 비야]]의 적시타로 동점이 만들어지며 패전이 지워졌고, 연장 10회초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역전 쓰리런이 터지며 팀은 10:7 역전승에 성공해 조용히 묻어가게 되었다. 9월 25일 애리조나전에서 3회말 2사에 등판해 5회말 [[페이빈 스미스]]에게 적시타를 내줬지만 그외에는 점수없이 7회말까지 막았다. 타선이 잔루만 쌓으며 패전 위기에 몰렸지만 8회초 [[에반 롱고리아]]의 역전 적시타가 터지며 팀이 경기를 뒤집었고, 8회말 2사에서 [[케텔 마르테]]에게 안타, [[돌튼 바쇼]]에게 볼넷을 내주고 더블스틸까지 나오며 안타 한 방이면 역전 허용인 2, 3루 위기에 몰렸지만 [[알렉 토마스]]를 땅볼로 잡고 위기를 넘겼다. 이후 팀이 9회초 [[J.D. 데이비스]]의 홈런으로 쐐기를 박고 3:2로 승리하면서, 5⅓이닝 1실점 7K로 시즌 5승을 기록했다. 10월 1일 애리조나전에서 2회초 1사에 등판했지만 4회초 [[조시 로하스]]에게 희생플라이, [[세르히오 알칸타라]]에게 2타점 2루타를 맞는 등 4⅔이닝 4실점 4K에 그치며 시즌 7패를 기록했다. 10월 2일 [[션 젤리]]와 [[루이스 오티즈(1995)|루이스 오티즈]]가 콜업되면서 마이너로 내려가며 시즌을 마쳤다. 시즌 최종성적은 23경기 4.42 5승 7패 112이닝 98K로, [[앤서니 데스클라파니]]의 부상으로 인해 팀의 5선발 역할을 맡으며 쏠쏠한 활약을 해주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3년|2023 시즌]] ====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28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4월 1일 양키스전에서 3:2로 앞선 4회말 2사 1루 상황에 [[알렉스 콥]]의 뒤를 이어 등판해 [[앤서니 볼피]]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이어진 5회말에 [[DJ 르메이휴]]의 평범한 뜬공이 [[마이크 야스트렘스키]]가 햇빛에 공을 잃으며 2루타가 되자 흔들렸는지 곧바로 [[애런 저지]]와 [[앤서니 리조]]에게 연속 안타를 맞고 동점 및 무사 2, 3루 위기에 몰렸다. 하지만 이후 [[지안카를로 스탠튼]]을 땅볼, [[조시 도널드슨]]을 심판의 도움 속에[* 마지막 5구가 존에서 완전히 벗어났으나 앤디 플레처 주심이 스트라이크로 판정했다.] 삼진, [[글레이버 토레스]]를 땅볼로 잡아내며 기적의 무실점을 했고, 팀이 6회초 역전에 성공한 후 6회말을 삼자범퇴로 막고 2⅓이닝 1실점 2K를 기록하고 마운드를 내려왔다. 이후 팀이 끝까지 리드를 지켜내고 7:5로 승리하면서 시즌 첫 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4월 6일 화이트삭스전에서 4회말부터 [[알렉스 우드]]의 뒤를 이어 올라와 4이닝을 무실점 4K로 버텼고, 팀이 16:6의 대승을 거두며 시즌 2승을 기록했다. 4월 11일 다저스전에서 0:2로 앞선 5회초 2사 2, 3루 상황에 [[알렉스 우드]]의 뒤를 이어 등판해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를 뜬공으로 처리해 위기를 넘겼다. 이어진 6회초 [[J.D. 마르티네즈]]와 [[트레이스 탐슨]]에게 연속 안타, [[미겔 바르가스]]가 포수 [[블레이크 세이볼]]의 타격 방해로 출루해 무사 만루의 위기를 자초했지만 [[크리스 테일러]]를 삼진으로 처리한 후 [[스캇 알렉산더]]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었고, 이후 알렉산더가 실점없이 위기를 넘기며 실점이 올라가지 않았고 팀도 0:5의 완승을 거두었다. 4월 14일 디트로이트전에서 [[션 머나야]]가 3⅓이닝만에 강판당하자 급히 등판했지만 5회말 [[맷 비얼링]]에게 2루타, [[라일리 그린]]에게 볼넷을 내줘 맞은 2사 1, 2루 위기에서 이날 경기 전까지 OPS .328을 기록하던 [[하비에르 바에즈]]에게 적시 2루타를 맞아 2실점했다. 그나마 이후에는 실점하지 않고 3이닝 4K를 기록했지만 팀은 11회말 [[카밀로 도발]]이 [[닉 메이튼]]에게 역전 끝내기 쓰리런을 맞고 5:7로 졌다. 4월 18일 마이애미전 2:0으로 앞선 3회말 1사 3루에서 [[알렉스 우드]]가 부상을 당하면서 등판, [[존 버티]]에게 희생플라이, [[개럿 쿠퍼]]를 땅볼로 잡고 이닝을 막았지만 이어진 4회말 1사에 [[호르헤 솔레어]]와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에게 연속 안타를 맞고 몰린 1, 3루 상황에서 [[재즈 치좀 주니어]]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고 무너졌다. 그나마 5회말 1사에 [[존 버티]], [[루이스 아라에즈]], [[호르헤 솔레어]]에게 연속 안타를 맞고 몰린 만루 위기에서는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를 병살로 처리해 더 이상의 실점은 없었지만, 이후 팀이 경기를 뒤집지 못하고 패하며 시즌 1패를 기록했다. 4월 2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3회말부터 등판했으나 4회말에 [[후안 소토]]와 [[잰더 보가츠]]에게, 5회말에는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 [[매니 마차도]]에게 홈런을 맞으며 무려 '''4피홈런'''을 맞고 5실점을 하며 강판되었고 평균자책점은 6.06으로 폭등했다.[* 다만 이날 구장인 [[에스타디오 알프레도 아르프 엘루]]가 [[쿠어스 필드]]보다 더 고지대에 위치한 구장이긴 했다. 그렇더라도 4피홈런은...] 7회초 [[블레이크 세이볼]]의 동점 투런으로 패전은 지워졌으나 팀은 결국 난타전 끝에 11:16으로 패했다. 5월 7일 밀워키전에서 5:2로 뒤진 6회초부터 올라와 안타 2개와 볼넷 3개를 내주는 와중에도 3이닝을 무실점 2K로 막아냈다. 5월 12일 애리조나전에서 4:4로 맞선 5회말 1사에 등판해 [[크리스티안 워커]]를 삼진, [[에반 롱고리아]]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해 이닝을 마무리지었지만 6회말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를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한 후 [[닉 아메드]]에게 볼넷, [[가브리엘 모레노]]에게 안타를 맞아 1시 1, 2루 위기에 몰렸고, 결국 [[도미닉 플레처]]에게 적시 2루타를 맞고 역전을 내줬다. 그나마 [[케텔 마르테]]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2사를 잡았지만 [[엠마누엘 리베라]]에게 던진 초구에 포수 [[블레이크 세이볼]]이 포일을 저지르면서 추가 실점을 내줬고, 결국 팀이 그대로 5:7로 패하면서 시즌 2패를 기록했다. 5월 15일 필라델피아전에서 2:6으로 앞선 5회초 2사에 등판, [[트레이 터너]]를 삼진으로 처리해 이닝을 마무리하고 이어진 6회초 [[브라이스 하퍼]]에게 내야안타를 내준 후 [[닉 카스테야노스]]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카일 슈와버]]와 [[J.T. 리얼무토]]에게 볼넷을 내줘 만루 위기에 몰렸고, [[알렉 봄]]에게 희생플라이를 맞아 실점한 후 강판되었다. 다행히 뒤이어 올라온 [[스캇 알렉산더]]가 [[브랜든 마쉬]]를 2루수 땅볼로 처리해 추가 실점은 늘어나지 않았다. 5월 20일 마이애미전에서 0:0으로 맞선 7회초에 등판해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를 2루수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호수비로 땅볼, [[조이 웬들]]과 [[닉 포테즈]]를 모두 삼진으로 돌려세워 평균자책점을 4.88로 낮추며 5점대에서 벗어났다. 5월 21일 마이애미전에서 4:6으로 앞선 7회초 무사 1루 상황에 등판해 [[존 버티]]를 3루수 병살타로 처리해 주자를 삭제, [[호르헤 솔레어]]에게 다시 안타를 맞았지만 [[개럿 쿠퍼]]를 1루수 파울 플라이로 처리해 이닝을 넘겼고, 8회초에도 [[브라이언 데 라 크루즈]]를 삼진, [[율리에스키 구리엘]]을 2루수 팝플라이, [[닉 포테즈]]를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해 멀티이닝 소화에 성공하면서 시즌 1홀드를 기록했다. 5월 25일 밀워키전에서 3회말 1사에 [[테일러 로저스]]의 뒤를 이어 등판해 [[조이 위머]]를 삼진, [[브라이스 투랑]]을 1루수 땅볼로 처리했고, 4회말 [[오웬 밀러]]를 삼진, [[제시 윈커]]를 1루수 땅볼로 처리하고 [[윌리 아다메스]]에게 2루타를 맞아 위기를 맞았지만 [[크리스티안 옐리치]]를 거른 후 아다메스를 견제로 잡아내며 이닝을 끝냈다. 5회말에도 올라와 [[브라이언 앤더슨(1993)|브라이언 앤더슨]]과 [[빅터 카라티니]]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로우디 텔레즈]]에게 안타, [[조이 위머]]에게 볼넷을 내줘 1, 2루를 만들고 [[션 머나야]]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었고, 머나야가 [[타이론 테일러]]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팀이 5:0으로 승리해 경기 후 승리투수로 선정되면서 시즌 3승을 기록했다. 6월 4일 볼티모어전에서 6:0으로 경기가 터진 4회초부터 등판해 6회초 [[제임스 맥캔]]에게 홈런을 맞고 3이닝을 1실점 3K로 막았다. 6월 10일 컵스전에서 3회초부터 등판했으나 올라오자마자 [[맷 머비스]]에게 홈런을 맞더니, 4회초에도 [[크리스토퍼 모렐]]에게 홈런, 5회초에도 1사에서 [[닉 마드리갈]]에게 볼넷, [[마이크 터크먼]]에게 2루타를 맞아 2, 3루 위기에 몰리고 [[니코 호너]]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크리스토퍼 모렐]]에게 적시타를 맞아 4실점하고 강판되었다. 팀도 8회말 2사까지 [[카일 헨드릭스]]에게 노히트로 묶여 4:0으로 패해 시즌 3패를 기록했다. 6월 14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4회말부터 등판해 3이닝을 무실점 3K로 막았다. 6월 16일 다저스전에서 [[카밀로 도발]]과 [[타일러 로저스]] 등 필승조들이 모두 등판한 관계로 7:5로 앞선 11회말에 등판해 [[미겔 로하스]]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 [[무키 베츠]]의 평범한 플라이를 3루수 [[케이시 슈미트]]가 [[히 드랍 더 볼|떨어뜨리고]] 본인도 송구실책을 저지르는 등 아수라장이 벌어졌지만 다저스 [[디노 에벨]] 3루 주루코치의 판단미스 덕에 [[마이클 부시]]를 런다운으로 잡아내며 어쨌든 아웃카운트를 챙긴데 이어 [[프레디 프리먼]]을 삼진으로 처리하고 시즌 1세이브이자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6월 1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0으로 뒤진 3회초 1사 1루 상황에 등판해 [[매니 마차도]]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잰더 보가츠]]를 유격수 병살타로 처리해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4회초 [[제이크 크로넨워스]]에게 안타를 맞고 [[게리 산체스]]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루그네드 오도어]]에게 2루타를 맞아 1사 2, 3루 위기에 몰렸고, 여기서 [[김하성]]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고 실점했다. 그나마 [[트렌트 그리샴]]을 중견수 플라이,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왔고, 팀은 다행히 9회말 2득점으로 동점을 만들고 10회말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의 끝내기 쓰리런으로 4:7로 승리했다. 6월 22일 샌디에이고전에서 6:0으로 크게 뒤진 4회초 1사에 등판했지만 올라오자마자 [[김하성]]에게 홈런을 맞았고, 5회초에도 [[제이크 크로넨워스]]와 [[넬슨 크루즈]]에게 연속 적시타를 맞아 3⅔이닝 4실점 3K를 기록해 평균자책점이 4.84까지 오르고 팀도 그대로 10:0으로 패해 10연승이 중단됐다. 7월 1일 메츠전에서 1:4로 뒤진 7회말에 등판해 [[토미 팸]]을 3루수 땅볼, [[브렛 베이티]]를 2루수 땅볼, [[프란시스코 알바레스]]를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했고, 8회말에도 [[루이스 기요르메]]를 유격수 팝플라이, [[브랜든 니모]]를 1루수 땅볼, [[프란시스코 린도어]]를 2루수 땅볼로 처리해 남은 2이닝을 정리했다. 7월 4일 시애틀전에서 4:0으로 뒤진 7회초에 등판, 8회초 [[AJ 폴락]]에게 투런을 맞고 3이닝 2실점 5K를 기록했다. 7월 18일 신시내티전에서 11:8로 앞선 7회말에 등판해 [[맷 맥레인]]과 [[크리스찬 엔카나시온-스트랜드]]에게 연속 안타를 맞은 후 [[조나단 인디아]]를 유격수 병살타로 처리했지만 [[조이 보토]]에게 통산 350호 홈런을 내주며 2실점했다. 이후 [[스펜서 스티어]]에게도 안타를 맞았지만 [[윌 벤슨]]을 삼진으로 처리하고 시즌 2홀드를 기록했다. 7월 20일 신시내티전에서 0:5로 뒤진 5회말 1사 1, 2루 상황에 등판해 2⅔이닝을 2피안타 무실점 4K로 수습했다. 7월 23일 워싱턴전에서 0:6으로 뒤진 6회말에 등판해 [[CJ 에이브럼스]]를 중견수 직선타, [[레인 토마스]]를 중견수 플라이, [[제이머 칸델라리오]]를 삼진으로 처리했고, 7회말에도 [[조이 메네세스]]를 우익수 플라이, [[스톤 개럿]]을 삼진, [[도미닉 스미스]]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라일리 애덤스]]를 포수 파울 팝플라이로 처리하며 2이닝을 막았다. 7월 26일 오클랜드전에서 0:3으로 앞선 4회초에 등판해 [[브렌트 루커]]를 1루수 팝플라이, [[JJ 블러데이]]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조던 디아즈]]를 삼진으로 처리해 2사를 채웠으나 [[라몬 로리아노]]에게 볼넷을 내줬고, [[제이스 피터슨]]과 [[셰이 랭글리어스]]에게 연속 적시타를 맞고 동점을 내줘 블론세이브를 저질렀다.[* 피터슨의 적시타 때 중견수 [[루이스 마토스(2002)|루이스 마토스]]의 송구 실책으로 1루 주자 [[라몬 로리아노]]가 홈으로 들어오며 한 점은 비자책으로 처리되었다.] 이후 [[닉 알렌]]을 1루수 땅볼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왔고, 다행히 팀은 6회말 [[오스틴 슬레이터]]의 역전 투런으로 3:8 승리에 성공했다. 7월 31일 애리조나전에서 선발로 등판해 3이닝을 단 1피안타[* 이 안타도 2회초 1사에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의 타구에 다리를 맞아 공이 튀면서 내준 불운의 안타다.] 무실점 3K로 완벽하게 막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8월 6일 오클랜드전에서 6:8로 뒤진 8회말에 등판해 [[타일러 소더스트롬]]을 유격수 팝플라이, [[셰이 랭글리어스]]를 삼진, [[닉 알렌]]을 내야안타와 유격수 [[브랜든 크로포드]]의 송구 실책으로 2루까지 보냈지만 [[에스테우리 루이즈]]를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다. 8월 8일 에인절스전에서 1회말 오프너 [[스캇 알렉산더]]가 아웃카운트 하나 잡지 못하고 연속 안타 세 방을 맞자 무사 1, 2루에 급히 등판해 [[C.J. 크론]]을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마이크 무스타커스]]에게 적시타를 맞았고, [[랜달 그리칙]]을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헌터 렌프로]]에게 2타점 적시 2루타를 맞아 1회말부터 4점을 내줘 경기가 터지게 만들었다. 그나마 [[미키 모니악]]을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2회말과 3회말은 무실점으로 넘겼다. 8월 12일 텍사스전에서 9:2로 뒤진 9회초 1사 1루에 등판해 [[J.P. 마르티네스]]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에제키엘 듀란]]을 삼진, [[조시 스미스(1997)|조시 스미스]]를 투수 땅볼로 처리했다. 8월 15일 탬파베이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4이닝 무실점 7K의 인생투를 선보이면서 팀의 0:7 완승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8월 20일 애틀랜타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를 유격수 땅볼, [[에디 로사리오]]를 1루수 땅볼, [[오스틴 라일리]]에게 안타와 도루를 내줬지만 [[맷 올슨]]을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했고, 2회말에도 [[마르셀 오즈나]]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션 머피]]의 땅볼에 3루수 [[케이시 슈미트]]의 실책이 나오고 [[케빈 필라]]를 3루수 땅볼로 처리했지만 [[올랜도 아르시아]]에게 역전 투런을 맞고 강판되었다. 8월 23일 필라델피아전에서 [[카밀로 도발]]이 [[브라이스 하퍼]]에게 동점 쓰리런을 맞고 불을 질러 5:5가 된 9회말에 등판해 [[닉 카스테야노스]]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브라이슨 스탓]]과 [[알렉 봄]]의 타구를 각각 좌익수 [[웨이드 메클러]]와 중견수 [[오스틴 슬레이터]]의 호수비로 처리해주었고, 대주자 [[요한 로하스]]의 도루와 폭투로 주자를 3루까지 보냈지만 [[J.T. 리얼무토]]를 삼진으로 처리해 이닝을 끝냈다. 이후 팀이 10회초 3점을 뽑고 8:6 승리에 성공하면서 시즌 4승을 기록했다. 8월 26일 애틀랜타전에서 4:2로 뒤진 8회초 무사 1루에 등판했으나 [[마르셀 오즈나]]에게 안타, [[에디 로사리오]]에게 적시타를 맞았고, [[션 머피]]를 사구로 출루시켜 만루를 만든 후 [[올랜도 아르시아]]와 [[니키 로페즈]]에게 연속 희생 플라이를 맞고 3점을 내줘 경기를 완전히 터트렸다. 이후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를 좌익수 직선타로 처리했고, 9회초는 [[마이클 해리스 2세]]를 우익수 플라이, [[오스틴 라일리]]를 2루수 땅볼, [[맷 올슨]]을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해 삼자범퇴로 막았다. 8월 31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선발로 등판해 4이닝동안 노히트 3K의 완벽한 피칭을 했고, 팀도 [[페드로 아빌라]]를 상대로 6점을 뽑아내 7:2로 승리했다. 9월 5일 컵스전에서 3:0으로 앞선 3회말 1사 1, 2루 위기에 등판했으나 [[댄스비 스완슨]]와 [[스즈키 세이야]]에게 안타, [[제이머 칸델라리오]]에게 볼넷, [[얀 곰스]]에게 2루타를 맞고 순식간에 4점을 내주고 역전을 허용했다. 그나마 이어진 2, 3루 위기에서 [[닉 마드리갈]]의 3루수 땅볼에 칸델라리오를 홈에서 잡아내고 대타 [[크리스토퍼 모렐]]을 3루수 팝플라이로 처리했고, 4회말 [[니코 호너]]를 우익수 플라이, [[이안 햅]]을 삼진, [[코디 벨린저]]를 1루수 땅볼로 처리, 5회말 [[댄스비 스완슨]]을 삼진, [[스즈키 세이야]]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제이머 칸델라리오]]를 2루수 땅볼, [[얀 곰스]]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해 이후 2이닝을 막고 6회초 [[작 피더슨]]의 동점 적시 2루타와 [[J.D. 데이비스]]의 재역전 투런이 터지며 승리투수가 될 수도 있었지만 7회말 [[타일러 로저스]]와 [[루크 잭슨]]의 방화로 무산되고 팀도 8:11로 역전패했다. 9월 8일 콜로라도전에서 4:0으로 뒤진 6회초에 등판해 [[브렌든 로저스]]를 1루수 땅볼, [[에로리스 몬테로]]를 삼진, [[헌터 굿맨]]을 3루수 땅볼로 처리했고, 팀이 [[윌머 플로레스]], [[미치 해니거]], [[J.D. 데이비스]]의 백투백투백 홈런으로 동점을 만든 7회초에도 등판해 [[션 부샤르]]를 삼진으로 처리했으나 [[앨런 트레호]]에게 안타를 맞고 강판되었다. 이후 [[테일러 로저스]]가 [[엘리아스 디아스]]에게 쓰리런을 맞고 역전 승계주자가 들어와 하마터면 패전투수가 될뻔 했지만 팀이 7회말 [[블레이크 세이볼]]의 투런과 8회말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의 동점 적시타, [[윌머 플로레스]]와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연속 밀어내기 볼넷으로 8:9 역전승에 성공하며 다행히 패전이 지워졌다. 9월 16일 콜로라도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0:1로 뒤진 1회말 2사 3루에 등판해 [[에로리스 몬테로]]에게 적시타를 맞고 3회말에도 [[찰리 블랙몬]]에게 3루타 후 [[에제키엘 토바]]에게 적시타, 폭투 2개로 실점하며 4이닝 2실점 5K를 기록했다. 9월 23일 다저스전에서 0:1로 뒤진 3회말 2사 1, 2루 위기에 등판했지만 곧바로 [[J.D. 마르티네즈]]에게 2타점 적시 2루타를 맞았다. 이후 [[제임스 아웃맨]]을 2루수 땅볼로 처리, 4회말 [[미겔 로하스]]와 [[데이비드 페랄타]]를 우익수 플라이, [[제이슨 헤이워드]]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9월 26일 경추 부상으로 15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시즌을 마감했다. 시즌 최종성적은 40경기 3.87 4승 3패 1세이브 86이닝 96K로, 중간계투, 롱릴리프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해주며 투수진의 감초같은 역할을 해주었다. 시즌 후인 11월 2일 FA 신분이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제이콥 주니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7 ||<|5> [[캔자스시티 로열스|KC]] || 20 || 9 || 3 || 0 || 0 || 98⅓ || 4.30 || 101 || 15 || 25 || 9 || 80 || 1.281 || 104 || 0.9 || 1.5 || || 2018 || 30 || 9 || 12 || 0 || 0 || 177 || 4.37 || 182 || 32 || 43 || 15 || 164 || 1.271 || 99 || 1.5 || 2.1 || || 2019 || 31 || 9 || 14 || 0 || 0 || 175⅓ || 5.24 || 192 || 31 || 58 || 11 || 164 || 1.426 || 91 || 1.5 || 1.3 || || 2020 || 8 || 0 || 2 || 0 || 1 || 25⅓ || 6.39 || 35 || 7 || 6 || 2 || 19 || 1.618 || 74 || -0.2 || -0.2 || || 2021 || 16 || 2 || 4 || 0 || 0 || 39⅓ || 5.26 || 43 || 7 || 12 || 0 || 41 || 1.398 || 87 || 0.5 || 0.1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23 || 5 || 7 || 0 || 0 || 112 || 4.42 || 120 || 13 || 25 || 4 || 98 || 1.295 || 91 || 1.3 || 1.6 || || 2023 || 40 || 4 || 3 || 1 || 2 || 86 || 3.87 || 90 || 12 || 21 || 5 || 96 || 1.291 || 110 || 0.7 || 0.8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7시즌) || 168 || 38 || 45 || 1 || 3 || 713⅓ || 4.64 || 763 || 117 || 190 || 46 || 662 || 1.336 || 95 || 6.3 || 7.2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잭슨빌(아칸소)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캔자스시티 로열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