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웨이취안 드래곤스/간략(투수))] ---- ||
'''{{{#fff 제이크 브리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 외국인 선수)] ----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 제이크 브리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타이완시리즈 우승 반지''' || || '''[[2023년 타이완 시리즈|{{{#ffffff 2023}}}]]''' ||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63번}}}''' || || [[스캇 플레처]][br](2012) || {{{+1 →}}} || '''제이크 브리검[br](2015)''' || {{{+1 →}}} || 롭 월렌[br](2016) || ||<-5>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17번}}}''' || || || {{{+1 →}}} || '''{{{#FFCC00 제이크 브리검[br](2016)}}}''' || {{{+1 →}}} || 시오미 타카히로[br](2018~)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넥센 /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8번}}}''' || || [[김정록(야구선수)|김정록]][br](2015~2016) || {{{+1 →}}} || '''브리검[br](2017~2020)''' || {{{+1 →}}} || [[문찬종]][br](2021~2021.4.30) || ||<-5> '''{{{#FFFFFF [[웨이취안 드래곤스|{{{#FFFFFF 웨이취안 드래곤스}}}]] 등번호 87번}}}''' || || || {{{+1 →}}} || '''{{{#DC202E 제이크 브리검[br](2021)}}}''' || {{{+1 →}}} || 결번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8번}}}''' || || [[문찬종]][br](2021~2021.4.30.) || {{{+1 →}}} || '''브리검[br](2021.5.13.~2021)''' || {{{+1 →}}} || [[타일러 애플러|애플러]][br](2022) || ||<-5> '''{{{#FFFFFF [[웨이취안 드래곤스|{{{#FFFFFF 웨이취안 드래곤스}}}]] 등번호 43번}}}''' || || || {{{+1 →}}} || '''{{{#DC202E 제이크 브리검[br](2022~)}}}'''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리검대만2022.png|width=100%]]}}} || ||<-2> '''웨이취안 드래곤스 No.43''' || ||<-2> '''{{{#DC202E {{{+2 제이콥 대니얼 브리검}}}[br]Jacob Daniel Brigham / 布里悍}}}''' || ||<|2> '''출생''' ||[[1988년]] [[2월 10일]] ([age(1988-02-10)]세) || ||[[플로리다]] 주 윈터 가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센트럴 플로리다 크리스찬 아카데미 || || '''신체''' ||190cm, 9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6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78번, [[텍사스 레인저스|TEX]]) || || '''소속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15)[br][[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6)[br]'''[[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 히어로즈]] (2017~2020)'''[br][[웨이취안 드래곤스]] (2021)[br][[키움 히어로즈]] (2021)[br][[웨이취안 드래곤스]] (2022~) || || '''종교''' ||[[개신교]] || || '''가족''' ||아내, 딸 3명, 아들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brigham49, 크기=20)] [[https://instagram.com/jake_brigh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웨이취안 드래곤스]] 소속 우완 투수. 2017시즌 [[션 오설리반]]의 후임으로 들어온 대체 외국인 선수로 2019~20년 [[에릭 요키시]]와 더불어 외인 원투 펀치로서 활약하였다. 2021년에는 [[대만 프로야구 리그]] 팀 [[웨이취안 드래곤스]]와 계약하여 대만에서 선수생활을 하였으나, 4월 15일 키움과 계약하였고 5월 15일자로 [[KBO 리그]]에 복귀하였다. 이후 좋은 활약을 펼쳤지만 출산을 앞둔 아내 병간호를 이유로 미국으로 출국하였고, 한동안 소식이 끊기다시피했다가 결국 팀과의 상의를 통해 가정사 문제로 잔여일정 소화가 어렵다는 결론에 이른 뒤 2021년 9월 4일 [[임의탈퇴]] 처리되었다. 현행 KBO리그 규약에 따르면 임의탈퇴 선수는 최소 1년간 원소속팀과는 어떤 이유로든 재계약할 수 없고, 원소속팀의 동의가 없으면[* 그의 먼 선배인 [[브랜든 나이트(야구)|브랜든 나이트]]가 2011년 임탈 상태에서 원소속팀 삼성 라이온즈의 동의를 받아 히어로즈에 합류한 예가 있다.] 5년간 다른 팀에서도 뛸 수 없으므로 KBO리그 커리어를 이어나가기는 쉽지 않게 되었다. ==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선수 경력]] == || '''{{{#ffffff 제이크 브리검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통합 선수 경력:'''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 || ||<-5> [[MLB|[[파일:MLB 로고.svg|width=45]]]] || ||<-5>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s-1|'''{{{#white 2015년}}}''']] || ||<-5> [[NPB|[[파일:NPB 로고.svg|width=45]]]] || ||<-5>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s-2|'''{{{#fff 2016년}}}''']] || ||<-5>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2017년|'''{{{#fff 2017년}}}''']] ||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2018년|'''{{{#fff 2018년}}}''']] ||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2019년|'''{{{#fff 2019년}}}''']] ||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2020년|'''{{{#fff 2020년}}}''']] ||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2021년|'''{{{#fff 2021년}}}''']] || ||<-5> [[CPBL|[[파일:CPBL 로고.svg|width=50]]]] || ||<-5> {{{#!wiki style="margin: -16px -11px;" ||<-5>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s-4|'''{{{#fff 2021년}}}''']] ||<-5> [[제이크 브리검/선수 경력#s-6.1|'''{{{#fff 2022년}}}''']] ||}}} || }}}}}}}}} || == 피칭 스타일 == 평균 144km, 최고 152km의 [[패스트볼|포심]] 외에도 투심[* 정확히는 싱커다. 하지만 해설진은 주로 투심이라고 한다.],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 스플리터 등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한다. 그 중 슬라이더는 종으로 빠르게 떨어지며 미국에서도 꽤나 위력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투심과 체인지업, 스플리터가 좌타자에게 전혀 먹혀들지 못하며[* 좌타자 상대 피OPS 1.285] 메이저리그에서는 실패한 투수로 남게 되었다.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간결하고 깔끔한 투구폼을 가지고 있으며, 190cm으로 KBO 기준으로는 장신이면서도[* 메이저리그 기준으로는 평균 수준에 해당한다.] 릴리즈 포인트가 높지 않다는 특징이 있는데, 많은 피홈런과 좌타자에 약한 점 또한 [[스캇 맥그레거]]를 연상케 하기도 한다. 통산 9이닝당 볼넷 허용률이 마이너리그에서 3.45, 일본에서도 4.19를 기록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커맨드가 뛰어나다고 보기는 힘든 투수. 다만 평균 140대 중후반의 속구는 KBO 기준으로 선발투수로서 굉장히 뛰어난 구속이고, 메이저리그 기준으로 해도 괜찮은[* 메이저리그 선발투수들의 평균 구속이 147이다. 메이저리거 중에서 파이어볼러로 꼽히는 선수들은 레전드급 빼곤 모 아님 도의 성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불펜이다. 파이어볼러가 아니여도 살아남을 수는 있긴 하다. 하지만 그만큼 커맨드가 좋아야 하며, 200이닝이 넘는 선수가 AL, NL 합쳐서 1년에 20명 가까이 나오는 이유는 경기 수가 많기도 하고, 이닝을 길게 던지기 위해 완급 조절을 하는 것도 있는 지라, 선발 평속이 생각보다는 높지 않은 것이다. 디셉션이 메이저리그 중에도 뛰어난 랜디 존슨이야 뭐..][* 비록 망했지만 일본프로야구에서도 선발이 148을 던질 수 있다는 건 상당한 파이어볼러다.] 구속이다. 주력 변화구의 움직임도 역시 KBO 기준으로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KBO리그 데뷔전을 마치고 나서는 [[슬라이드 스텝]][* 퀵 모션은 일본식 용어.]이 느려서 도루를 쉽게 허용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지적되었다. 이는 KBO리그에 처음 오는 외국인 투수들이 대부분 겪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리그 최장수 외국인 투수인 [[더스틴 니퍼트]]도 이 부분이 문제가 돼서 [[스프링캠프]]에서 투구폼을 변경하였다. 이 외에도 [[릭 밴덴헐크]], [[에릭 해커]] 등도 2군에서 투구폼 수정 과정을 거쳤다.] 그래서 여기에 대한 대처가 숙제로 남았었는데, 2019년 규정이닝을 채운 투수들 중에서 도루허용률 4위를 찍으며 완벽하게 해결하지는 못한 모습이다. 그래도 다른 세부 스탯은 우수하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즌 피OPS 7위, FIP 6위, WHIP 9위 등] 이 부분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고 있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5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12 || 16⅔ || 0 || 1 || 0 || 0 || 8.64 || 28 || 1 || 8 || 1 || 12 || 16 || 16 || 2.16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6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 || 11 || 34⅓ || 0 || 3 || 0 || 1 || 5.24 || 39 || 3 || 16 || 5 || 27 || 24 || 20 || 1.60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21 || [[웨이취안 드래곤스|웨이취안]] || 8 || 45⅓ || 4 || 1 || 0 || 0 || 0.60 || 30 || 0 || 6 || 2 || 31 || 6 || 3 || 0.7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시즌) || 12 || 16⅔ || 0 || 1 || 0 || 0 || 8.64 || 28 || 1 || 8 || 1 || 12 || 16 || 16 || 2.16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br](1시즌) || 11 || 34⅓ || 0 || 3 || 0 || 1 || 5.24 || 39 || 3 || 16 || 5 || 27 || 24 || 20 || 1.60 || ||<-2> '''[[대만프로야구|CPBL]] 통산'''[br](1시즌) || 8 || 45⅓ || 4 || 1 || 0 || 0 || 0.60 || 30 || 0 || 6 || 2 || 31 || 6 || 3 || 0.79 || ||<-18>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sWAR || || 2017 ||<|5> [[키움 히어로즈|넥센-키움]] || 24 || 144 || 10 || 6 || 0 || 0 || 4.38 || 114.1 || 166 || 17 || 26 || 98 || 77 || 70 || 1.33 || 2.74 || || 2018 || 31 || '''{{{#DC202E 199}}}'''[br](1위) || 11 || 7 || 0 || 1 || 3.84 || 134.1 || 188 || 19 || 50 || '''175'''[br](4위) || 89 || 85 || 1.20 || '''5.78'''[br](3위) || || 2019 || 28 || 158⅓ || 13 || 5 || 0 || 0 || 2.96 || 140 || 148 || 5 || 46 || 130 || 62 || 52 || 1.23 || 3.69 || || 2020 || 21 || 107 || 9 || 5 || 0 || 0 || 3.62 || 129.7 || 98 || 6 || 42 || 105 || 45 || 43 || 1.31 || 2.34 || || 2021 || 10 || 61 || 7 || 3 || 0 || 0 || 2.95 || 152.3 || 49 || 6 || 26 || 49 || 25 || 20 || 1.23 || 1.02 || ||<-2> '''[[KBO 리그|KBO]] 통산'''[br](5시즌) || 114 || 669⅓ || 50 || 26 || 0 || 1 || 3.63 || 129.6 || 649 || 53 || 190 || 557 || 298 || 270 || 1.25 || 15.57 || == 여담 == * [[키움 히어로즈 갤러리]]에서는 [[진명황의 집행검|집행검]], [[불의 검|불의검]], [[우리형|우리검]]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 한 인터뷰에서 기자에게 먼저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1&aid=0009272367|"좋아하는 한국 음식을 물어보셔야죠"]]라고 했다고 한다. 정작 인터뷰에서는 어떤 한국 음식을 가장 좋아하는지 직접적으로 거론 안 했지만 전날에 불고기를 맛있게 먹었다는 말을 했다. 자가격리 생활을 보면 이미 한국 음식에 잘 적응한 듯 하다. * 대만 진출 후에도 당연히 좋아하는 대만 음식에 대한 질문을 받았고, 여기서는 과바오를 좋아한다고 밝혔다. * 일본에서 방출되고 나서 독립리그를 뛰었는데, 이 때 월 3천달러를 받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히어로즈의 연락을 받았는데, 연봉 30에 옵션 10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정말 30만 달러가 맞냐고 재차 물었다고 한다. 그리고 나선 아내와 함께 얼싸안고 울었다. 아마도 기나긴 무명 생활을 청산한 듯한 느낌이었단다. * KBO 진출 전년도였던 일본에서의 경험 탓인지 태어난 지 얼마 안된 막내 때문인지 가족들은 한국에 함께 오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SNS계정을 보면 가족애가 끔찍한 선수로 보인다. 2017년 5월 30일 한국무대 첫 승을 올리고 가진 수훈선수 인터뷰에서도 가족 얘기[* 미국에서 실시간으로 브리검의 경기를 시청한다고 한다.]를 제일 먼저 할 정도. 다행히 가족들의 입국이 결정되었고 7월 3일자로 한국에 오게 되었다. 7월 4일 부모님과 가족들이 고척 스카이돔에 경기를 보러 오기도 했다. *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다. 단상 인터뷰에서도 예수를 언급하기도 했고, '예수는 나의 '''히어로''' Brigham #8'이라는 문구가 들어간 팔찌를 만들기도 했다. 이 팔찌는 팬들에게 나눠주기도 한다니 브리검을 만나면 팔찌를 달라고 해보자. 브리검 본인이 봉지째로 들고다니며 나누어 준다고. 본격 패션용 팔찌는 아니고, 홍보물 제작시 흔히 쓰이는 고무밴드식 팔찌로 항상 차고 다닌다고 한다. 그리고 인스타그램에 이 팔찌를 [[https://www.instagram.com/jake_brigham/p/BVWtMDBhltI|언급할 때]] 사용한 한국어 문구로 미루어[* '리스트밴드'라는 말은 한국인도 번역기도 잘 쓰지 않는 음역 단어이다.] 본인이나 측근 중에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사람이 있는 것 같다. * [[조쉬 린드블럼]]과는 2013년 텍사스에서 같이 뛴 적이 있어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 불필요한 입털기를 하지 않으며 독실한 신앙심과 가족애에다 팬서비스까지 갖춘 모범적인 선수여서 팬의 수가 갈수록 늘고 있다. 잘 생긴 외모와 굵은 목소리는 덤. 여러모로 전임자와 크게 비교가 되는 선수. 다만 마운드 위에서는 안 좋은 플레이가 나올 때마다 욕설을 하거나 쉽게 흥분하는 모습이 많이 잡혀서 두 얼굴의 사나이 소리를 듣는다. * 신재영의 증언에 의하면 스프링캠프 때 가게에서 잔돈을 동전으로만 주는 인종차별을 당했는데 이때 브리검이 뒤집어 엎으니까 그제서야 사과를 하면서 꼬리를 내렸다고 한다. * [[나성범]]을 상대로 통산 26타수 5안타 1홈런 2사사구 0.192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양의지]]를 상대로 통산 20타수 3안타 0.150으로 강하다. * 경기 시작 전 마운드에 가족의 이니셜을 새긴 후 경기에 임하는 루틴이 있는데, 이 중 셋째 그레이스는 출산 예정이었으나 2018년 3월 안타깝게도 유산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dLKs8HSy8Mc|잃었다고 한다.]] 구단 관계자가 그 일을 알고 경기에서 제외시켜줄 것을 제안하였으나, 브리검이 거절하였다고 한다. 그럼에도 2018시즌 이닝이터의 모습을 보여주며 히어로즈를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시켰다. 그리고 2019년 9월 득녀했다고 한다. 2021시즌 자가격리 근황 인터뷰를 보면 넷째가 생겼다고 한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8&aid=0002954095|#]] * 미7공군 사령관 겸 주한미군 부사령관 케네스 윌즈바흐 중장의 조카라고 한다. 2019년 5월 20일, 오산공군기지에 [[조쉬 린드블럼|린드블럼]], [[케이시 켈리|켈리]], [[제리 샌즈|샌즈]], [[에릭 요키시|요키시]]와 함께 초청받아 미 공군 자녀들에게 야구 레슨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2019년 9월에는 파일럿들과 함께 직접 고척돔을 방문해 관람하기도 했다. 또한 90년대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포수로 준수한 활약를 펼쳤전 론 카코바이스가 삼촌.[[https://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k/karkoro01.shtml|#]] * 2020년 9월 29일 경기 해설에 따르면 KBO 소속 외인들이 모이는 단톡방이 있다고 하는데 브리검이 KBO 연차가 많아서 그런지 회장 노릇을 한다고 한다. * 원래 발음은 브릭-엄에 가까우나 등록명은 브리검이 되었다. 같은 철자를 쓰는 다른 고유명사도 '브리검'으로 대부분 음역하니 ([[브리검 영 대학교]] 등) 이상할 것은 없는 일이지만. * [[에릭 요키시]]와 꽤 친한지 요키시와 같은 동네에 거주한다고 한다. [각주] [[분류:제이크 브리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