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trikeforce 미들급 챔피언)] ||<-2>
[[파일:jake shields.jpg|width=100%]]|| || '''{{{#white 이름}}}''' || '''제이크 시쿼야 쉴즈[br](Jake Sequoyah Shields)''' || || '''{{{#white 국적}}}'''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white 출생지}}}''' || '''섬머타운, [[테네시]]''' || || '''{{{#white 생년월일}}}''' || '''[[1979년]] [[1월 9일]] ([age(1979-01-09)]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 '''[[http://sherdog.com/fighter/Jake-Shields-502| 46전 33승 11패 1무 1무효]]''' || || '''{{{#white 승}}}''' || '''3KO, 12SUB, 18판정''' || || '''{{{#white 패}}}''' || '''4KO, 1SUB, 6판정''' || || '''{{{#white [[그래플링|{{{#white 그래플링}}}]] 전적}}}''' || '''29전 15승 10패 4무''' || || '''{{{#white 체격}}}''' || '''183cm / 77kg / 183cm''' || ||<|7> '''{{{#white 주요 타이틀}}}''' || '''[[Shooto]] 6대 미들급 챔피언''' || || '''2005 [[아부다비 컴뱃 레슬링|ADCC]] -77kg {{{#cd5c5c 동메달}}}''' || || '''2005 IBJJF [[팬아메리칸 게임|팬아메리카 주짓수 선수권 대회]] -82kg {{{#aa9872 금메달}}} ({{{#800080 퍼플벨트}}})''' || || '''ROTR 2006 웰터급 토너먼트 우승''' || || '''ROTR 초대 웰터급 챔피언''' || || '''[[Elite XC]] 초대 웰터급 챔피언''' || || '''[[Strikeforce]] 3대 미들급 챔피언''' || ||<|2> '''{{{#white 기타}}}''' || '''EliteXC 웰터급 타이틀 방어 1회''' || || '''[[Strikeforce]] 미들급 타이틀 방어 1회''' || || '''{{{#white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keshieldsajj, 크기=22)] [[https://facebook.com/jakeshieldsajj/|[[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jakeshield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전 UFC 웰터급 종합격투기 선수. == 전적 == ※ 종합격투기 * 주요 승: 브라이언 워렌, [[섀넌 리치]], [[제레미 잭슨]], [[사쿠라이 하야토]], [[헤나토 베리시모]], [[밀튼 비에이라]], [[키쿠치 아키라(1978)|키쿠치 아키라]], [[레이 쿠퍼]], [[토비 이마다]], [[데이브 메네]], [[오카미 유신]], [[카를로스 콘딧]], [[스티브 버거]], [[마이크 파일]], [[닉 톰슨]], [[폴 데일리]], [[로비 라울러]], [[제이슨 밀러(종합격투기)|제이슨 밀러]], [[댄 헨더슨]], [[마틴 캠프만]], [[추성훈]], [[타이론 우들리]], [[데미안 마이아]], [[라이언 포드]], [[브라이언 포스터]], [[허먼 테라도]] * 주요 패: [[필립 밀러]], [[레이 쿠퍼]], [[키쿠치 아키라(1978)|키쿠치 아키라]], [[조르주 생 피에르]], [[제이크 엘렌버거]], [[헥터 롬바드]], [[후지마르 팔라레스]], [[존 피치]], [[레이 쿠퍼 3세]](2) * 무승부: [[미사키 카즈오]] * 무효: [[에드 허먼]] ※ 그래플링 * 주요 승: [[디에고 산체스]], 카메론 얼, [[레오나르도 산토스]], [[존 피치]], [[크리스 라이틀]], [[료토 마치다]], [[딜런 데니스]], [[다니엘 스트라우스]], 무릴로 산타나, [[길버트 번즈]], [[마크 무뇨즈]], [[컵 스완슨]], [[팻 다우니]] * 주요 패: 파블로 포포비치, 사울로 히베이로, [[마르셀로 가르시아]], 압두라크만 빌라로프, [[크레이그 존스]], [[라파엘 로바토 주니어]], 호물로 바할, [[길버트 번즈]], 리치 마티니즈, [[브렌트 프리머스]] * 무승부: [[호베르토 사토시]], [[AJ 아가잠]], [[글로버 테세이라]] == 커리어 == === 초창기 === 테네시에서 태어난 쉴즈는 캘리포니아 마운틴랜치에서 성장했다.[* 캘리포니아 캘러베러스 카운티에 위치해있으며 캘리포니아 동부와 네바다주 일부에 위치한 시에라리베라 산맥이 이 지역을 포함한다.] 험한 산세가 많고 동굴이 많은 지역에서 쉴즈는 두 형과 함께 등산과 케이빙을 즐기면서 성장했다. 레슬링은 9세때 접했다. 고등학교시절 80~89kg급에서 활약했고 고등학교시절 자유형 국가대표에 선정되었다. 칼리지에 들어가서도 2년연속 올 아메리칸에 선정되었다. 그러다가 1999년 [[척 리델]]의 종합격투기 체육관인 SLO Kickboxing Academy에 들어가며 종합격투기에 입문했다. 아마추어땐 미들급에서 뛰다가 프로에 입문한 이후 웰터급으로 시작했다. 2001년 여름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로 편입해 세자르 그레이시휘하로 소속을 옮겼고 이 시기부터 레슬링보단 주짓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팬암 주짓수 대회, ADCC등 메이저 그래플링대회에 출전해 입상했다. 종합격투기와 병행하며 각종 주짓수대회에 출전했다. 그러면서 리델휘하에서 배운 킥복싱테크닉에 당시 세자르 그레이시에 무에타이 코치로 있었던 종산난 페어텍스밑에서 무에타이를 수련하면서 타격에서도 성장을 이뤘다. 1999년에 프로로 데뷔해 [[사쿠라이 하야토]], [[밀튼 비에이라]], [[토비 이마다]], [[데이브 메네]], [[오카미 유신]], [[카를로스 콘딧]]등 여러강자를 만났고 shooto와 [[Elite XC]]에서 타이틀을 획득했고 도합 22승 4패 1무를 기록했다. === [[Strikeforce]] === 2009년 스트라이크포스와 계약을 맺었다. 미들급으로 체급을 변경했다. ==== vs. [[로비 라울러]] ==== 2009년 6월 6일에 열린 Strikeforce: Lawler vs. Shields에서 [[로비 라울러]]와 메인이벤트로 맞붙었다. 경기 초반부터 킥을 최대한 던지며 라울러를 괴롭혔으며 2분 2초만에 길로틴 초크로 서브미션승을 거뒀다. ==== vs. [[제이슨 밀러]] (타이틀전) ==== Strikeforce: Fedor vs. Rogers에서 챔피언이였던 [[쿵 리]]가 영화촬영으로 인해 타이틀을 반납하자 [[제이슨 밀러]]와 미들급 타이틀전을 치렀다. 48-47, 49-46, 49-46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며 3대 미들급 챔피언이 되었다. ==== vs. [[댄 헨더슨]] (1차 방어전) ==== Strikeforce: Nashville에서 [[댄 헨더슨]]과 맞붙어 포인트 파이팅으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며 1차 방어에 성공했다. === [[UFC]] === [[데이나 화이트]]가 WEC 48 인터뷰에서 쉴즈에 대해 관심을 보였고 2010년 6월 30일부로 스트라이크포스를 떠나 UFC와 계약을 맺었다. UFC입성 후 웰터급으로 돌아왔다. ==== vs. [[마틴 캠프만]] ==== UFC 121에서 [[마틴 캠프만]]과 맞붙었다. 데이나 화이트는 이 경기가 차기 타이틀전 결정자를 결정한다고 이야기했다.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다. ==== vs. [[조르주 생 피에르]] (타이틀전) ==== UFC 129에서 [[조르주 생 피에르]]와 타이틀전을 치렀다. 생 피에르의 잽을 방어했지만 오버핸드에 많은 대미지를 입었지만 3라운드부터 생 피에르에게 눈부상을 입혔고 막판엔 타격으로 리드했다. 하지만 만장일치 판정패했다. ==== vs. [[제이크 엘렌버거]] ==== UFC Fight Night 25에서 [[제이크 엘렌버거]]와 맞붙었다. 1라운드 53초만에 엘렌버거의 니킥에 넉다운당하고 파운딩으로 TKO패했다. ==== vs. [[추성훈]] ==== UFC 144에서 [[추성훈]]과 맞붙었다. 경기 초반 테이크다운이 막히고 역으로 유도식 테이크다운을 허용했으나 그라운드를 경계한 추성훈이 들어가질 못했고 오히려 타격에서 점점 리드하고 3라운드엔 그라운드로 끌고가 리어 네이키드 초크그립까지 잡으며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 vs. [[에드 허먼]] ==== UFC 150에서 [[에드 허먼]]과 맞붙어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으나 경기 후 약물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며 무효처리되었다. ==== vs. [[타이론 우들리]] ==== UFC 161에서 [[타이론 우들리]]와 맞붙었다. 쉴즈의 포인트 파이팅과 우들리의 소극적인 움직임으로 인한 지루한 경기에서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다. ==== vs. [[데미안 마이아]] ==== UFC Fight Night 29에서 [[데미안 마이아]]와 맞붙었다. 그라운드에서 치열한 접전을 벌인 끝에 스플릿 판정승을 거뒀다. ==== vs. [[헥터 롬바드]] ==== UFC 171에서 [[헥터 롬바드]]와 맞붙었다. 포인트 파이팅을 벌였지만 카운터를 제법허용하며 만장일치 판정패했다. 롬바드전이후 흥행이 안된다는 이유로 UFC에서 방출되었다. === [[WSOF]] & [[PFL]] === 2014년 WSOF와 계약을 맺었다. ==== vs. [[존 피치]] (불발) ==== WSOF 11에서 [[존 피치]]와 맞붙을 예정이였으나 쉴즈의 어깨부상으로 경기가 취소되었다. ==== vs. [[라이언 포드]] ==== 캐나다 앨버타주 어딩턴에서 열린 WSOF 14에서 [[라이언 포드]]를 상대로 1라운드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서브미션승을 거뒀다. ==== vs. [[브라이언 포스터]] ==== WSOF 17에서 [[브라이언 포스터]]를 상대로 1라운드 넥 크랭크로 서브미션 승을 거뒀다. ==== vs. [[후지마르 팔라레스]] (타이틀전) ==== WSOF 22에서 [[후지마르 팔라레스]]와 타이틀전으로 맞붙었다. 그라운드에서 접전을 벌였지만 팔라레스의 기무라 락에 탭을 쳤으나 놔주질 않아 팔이 부러졌고 심판이 뒤늦게 말렸으나 쉴즈는 불만을 표시했다. ==== vs. [[존 피치]] (타이틀전) ==== WSOF 34에서 [[존 피치]]와 타이틀전운 치렀다. 피치의 레슬링으로 만장일치 판정패했다. ==== vs. 대니 데이비스 ==== 2017년 WSOF가 PFL로 이름을 바꿨고 PFL: Everett에서 대니 데이비스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둔다. ==== vs. [[레이 쿠퍼 3세]] ==== 2018 PFL 웰터급 토너먼트에 참가하게 되었고 PFL 3에서 [[레이 쿠퍼]]의 아들인 레이 쿠퍼 3세와 맞붙었다. 빠른 스피드로 쉴즈를 괴롭혔으며 그라운드에서 쉴즈에게 밀리지 않으며 2라운드 쿠퍼의 광폭한 타격으로 TKO패했다. ==== vs. [[허먼 테라도]] ==== PFL 6에서 [[허먼 테라도]]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둔다. ==== vs. [[레이 쿠퍼 3세]] 2 ==== PFL 10에서 레이 쿠퍼 3세와 리매치를 벌였다. 하지만 1라운드 TKO패했다. 이 경기 이후 종합격투기 경기는 치루지 않고 있으며 그래플링 대회에만 참가하고 있다. == 파이팅 스타일 == NCAA Division 2 레슬러 출신이자 주짓수 블랙벨트로 [[데미안 마이아]]를 상대로 그라운드에서 접전을 펼쳐 이길 정도의 그래플링 실력을 갖추고 있는 극강의 그래플러. 그라운드에서는 포지셔닝 위주의 싸움을 하는데, 이 포지셔닝이 일품으로 마이아전 1, 3라운드에서 하위에서 스윕을 성공시키고 노기 매치에서 [[마크 무뇨즈]]를 상대로도 스윕으로 재미를 봤을 정도. 특유의 거머리 같은 움직임으로 레슬링과 그라운드에서 포지셔닝과 압박을 가하는데, 거기에 심지어 스테미나마저 좋아서 댄 헨더슨을 상대로 2라운드 이후 그라운드에서 20분 가량 압도하기도 했었다.[* 물론 헨도가 1라운드에 쉴즈를 잠시 실신시킬 정도[* 이때 쉴즈는 다운당해 머리를 부딪혀 기적적으로 정신이 돌아왔다.]로 타격에서 압도하다가 체력안배에 실패하고 지친 걸 감안할 필요는 있다. 원래 체력자체가 좋은 선수도 아니고.] 그라운드 전환에 실패할 경우 스탠딩에서도 자신의 그래플링 능력을 믿고 클린치 게임으로 가거나 짤짤이를 가할 능력이 있다. 라울러전에서 테이크다운이 봉쇄당하고 클린치에서도 역으로 케이지에 몰리기도 했지만 타격에서 역으로 짤짤이로 앞서고 클린치 교착 상황에서 길로틴으로 탭을 받아냈고 우들리전도 테이크다운 시도 18번이 전부 막혔지만 짤짤이와 클린치로 우들리의 체력을 갉아먹어 판정승했다. 특히 길로틴 초크, 앞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클린치에서 지속적으로 컬러 타이를 시도한다. 타이를 잡고 길로틴 초크를 걸어 그라운드로 끌고 들어가거나 혹은 가드상황에서도 계속 컬러 타이를 걸며 걸고 스윕해 풀 마운트를 빼앗는 전술을 잘 활용했다. 상황에 따라서 기무라 스윕을 시도하기는 한다. 약점은 타격 테크닉과 파워. 타격에서 앞손과 앞발 레그킥, 바디킥을 활용한 아웃파이팅로 재미를 보는 경우가 많지만 자신의 그라운드 능력을 상대가 경계하는 게 크다. 스탠딩 타격이 짤짤이 위주인 것도 이 때문이다. 레슬러 출신치고는 테이크다운 능력도 특출나진 않아서 제이크 앨렌버거, 타이론 우들리, 로비 라울러, 헥터 롬바드와 같은 준수한 TDD를 보유한 선수들에게 테이크다운이 전부 막혔고 엘렌버거와 롬바드에게는 무기력하게 패배했다.[* 마이아를 상대로도 넘기는 모습을 거의 보여주지 못했다. 그라운드에서의 선전 때문에 묻혔지만.] 기술적으로 테이크다운 방어가 좋고, 쉴즈의 압박에 대해서 확실하게 카운터를 꽂아넣어서 넉아웃 그림을 만들 수 있는 파이터에게 취약한 면을 보인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동체급에서 그걸 제일 잘하는 우들리는 이겼는데, 아마 우들리같은 경우는 롬바드나 엘렌버거보다 어그레시브함이 좀 떨어지고 거리를 두고 침착하게 풀어나가는 스타일이다보니까 되려 쉴즈가 거리를 두고 짤짤이로 점수를 좀 땄었던게 큰 원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타격 테크닉과 파워보다 더한 단점이 있는데, 경기 스타일이 아주 상당히 지루한 편이다. 상기했다시피 타격도 파워가 딸리고 짤짤이 위주고, 그라운드 스타일도 주로 포지셔닝 위주라 정말 재미가 없다. 실력 자체는 쟁쟁한 파이터들을 상대로도 경쟁력이 있었으나, 결국 헥터 롬바드전 이후로 UFC에서 퇴출당했다. == 기타 == 세자르 그레이시 팀 소속이며 [[닉 디아즈]], [[네이트 디아즈]], [[길버트 멜렌데즈]]와 동문이다. 커리어 상 부자와의 대결을 한 이색 기록을 갖고 있다. 아버지인 레이 쿠퍼와 2번 붙었고 커리어 후반 레이 쿠퍼의 아들인 레이 쿠퍼 3세와도 2번 맞붙었다. 채식주의자[* 비건이다.]이며 [[PETA]]의 열성지지자이다. 2022년 12월 [[그레타 툰베리]]에게 악담을 퍼붓는 [[앤드류 테이트]]에게 SNS로 비판했다. [[리버풀 FC]]의 서포터이다. 2016년 노기 그래플링 대회인 폴라시스에서 주짓수계의 트러블 메이커인 [[AJ 아가잠]][* 주짓수 선수로 알려져있지만 이전엔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NCAA 디비전 l 상위랭커 레슬러 출신이다.]과 맞붙는 중 아가잠의 뺨을 때렸다.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지만 아가잠의 비호감이미지로 인해 관계자와 팬들은 쉴즈의 승리라고 생각하고 있다. [[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미국의 레슬링 선수]][[분류:1979년 출생]][[분류:1999년 데뷔]][[분류:로렌스 카운티(테네시) 출신 인물]][[분류: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 출신]][[분류:Strikeforce 챔피언]][[분류:미국의 주짓수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