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필라델피아 이글스/선수단)] ||
'''{{{#fff 제일런 허츠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맥스웰 풋볼 클럽|[[파일:맥스웰 풋볼 클럽 로고.svg|width=50]]]] '''{{{#0e1b47 2022년 버트 벨상}}}''' || || [[조나단 테일러]][br]([[러닝백|RB]] /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 → || '''{{{#f8bb21 제일런 허츠[br]([[쿼터백|{{{#f8bb21 QB}}}]] / [[필라델피아 이글스|{{{#f8bb21 필라델피아 이글스}}}]])}}}''' || → || - || ---- [include(틀:2022 NFL All-Pro 세컨드 팀)]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제일런 허츠 2022.webp|width=100%]]}}} || ||<-2> '''필라델피아 이글스 No.1''' || ||<-2> '''{{{+2 제일런 허츠}}}[br]Jalen Hurts''' || || '''본명''' ||제일런 알렉산더 허츠 [br] Jalen Alexander Hurts || ||<|2> '''출생''' ||[[1998년]] [[8월 7일]]^^([age(1998-08-07)]세)^^ || ||[[텍사스]] 주 [[휴스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앨라배마 대학교]]^^(2016~2018)^^ [br] [[오클라호마 대학교]]^^(2019)^^ || || '''신체''' ||185cm / 101kg || || '''포지션''' ||[[쿼터백]] || || '''프로 입단''' ||2020년 [[NFL 드래프트]] 2라운드 53순위 [br] [[필라델피아 이글스]] 지명 || || '''소속 구단''' ||'''[[필라델피아 이글스]] (2020~ )''' || || '''계약''' ||2023 ~ 2028 / $259,748,132 [*guaranteed $179.3M] || || '''연봉''' ||2022 / $1,157,744 || || '''링크''' ||[[https://thejalenhurt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https://www.facebook.com/Jalenhurtsalabam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lenHurts, 크기=20)]|[[https://www.instagram.com/jalenhurt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現 [[필라델피아 이글스]] 소속 선수로 포지션은 [[쿼터백]]이다. 드래프트 2라운더 출신임에도 꾸준한 노력과 성장을 보여주면서 2022 시즌에는 MVP 챈트까지 들으며 완전히 각성했다. 또한 좋은 인성, 뛰어난 리더쉽과 워크에씩으로 팀의 차세대 리더로써 그리고 향후 이글스의 프랜차이즈 쿼터백으로써 자신을 입증했다. == 선수 경력 == === 대학 시절까지 === 고등학교 미식축구팀 코치의 아들이며, 고등학생 때는 아버지의 믿을맨으로 활동했다. 4성급 평가를 받은 허츠는 이후 장학금을 받고 앨라배마 대학교로 입학해서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 2023년 1월 시점인 현재 그의 형제 Averion이 풋볼 코치로 일하고 있다.] 소속으로 첫 두 시즌을 주전으로 뛰었으나, 세번째 시즌인 2018 시즌에 부상당한 사이 2017 시즌에 좋은 모습을 보인 [[투아 텅오바일로아]]에게 완벽히 대체되며 백업 쿼터백으로 출전했다. 백업으로 1년을 보낸 허츠는 2019년 1월 16일 [[오클라호마 대학교]]로 편입을 발표하면서 2019 시즌은 [[오클라호마 대학교#s-5.1|오클라호마 수너스]]에서 뛰게 된다. 전체 1순위로 [[내셔널 풋볼 리그|NFL]]에 드래프트된 [[카일러 머리]]의 뒤를 이어 주전 쿼터백으로 1시즌 동안 활약한 후, NFL 드래프트에 참가하였다. === [[필라델피아 이글스]] === ==== 2020 시즌 ==== 2020 시즌 드래프트에서 예상 밖으로 필라델피아 이글스에 2라운드로 지명되었다. 당시에는 [[카슨 웬츠]]의 입지가 탄탄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잘 해야 백업인 선수에 2라운드를 태운 것은 과도하다는 비판이 있었고, [[테이섬 힐]]처럼 운동능력을 이용해 다양하게 플레이하는데 활용되리라는 관측도 있었다. 그런데 뚜껑을 열어보니, 웬츠의 폼 하락이 심상치 않은 수준이었고, 결국 14주차부터 웬츠를 밀어내고 주전 자리를 차지한다. 그리고 시즌 종료 후, 팀은 웬츠를 [[인디애나폴리스 콜츠]]로 보내며 팀의 주전 쿼터백이 허츠임을 천명한다. 다만 팀이 2021 시즌 드래프트에서 원래 있던 6픽에서 트레이드 업을 노리다가 실패하고 12픽으로 트레이드 다운했다는 이야기가 있는 걸로 봐서는, 완벽하게 주전으로 입지를 다지지는 못한 것으로 보이며, 21시즌 트레이드로 영입된 [[가드너 민슈]]와 주전 경쟁을 해야할 처지이다. ==== 2021 시즌 ==== 오프 시즌에 등번호를 1번으로 변경했다.[* 앨라배마에서 오클라호마로 편입할 당시에도 2번에서 1번으로 변경한 적이 있다. 드래프트 당시에는 [[펀터]]였던 카메론 존스톤이 1번을 사용하고 있어서 데뷔 시즌에는 2번을 사용했다.] 2021-22년 시즌에선 2주차부터 7주차까지는 미덥지 못한 경기력을 보여 줬지만 8주차부터 17주차까지는 [[뉴욕 자이언츠]]를 상대한 원정경기를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뉴욕 제츠]]를 상대한 13주차 원정경기와 [[댈러스 카우보이스]]를 상대한 18주차 홈경기에서는 가드너 민슈가 주전 쿼터백으로 출전했다.] 팀 또한 전문가들의 비관적인 예상을 깨고 플레이오프 7시드에 안착했다.[* 7주차까지는 2승 5패의 성적을 기록했지만 8주차부터 18주차까지는 7승 3패의 성적을 기록했다. 합산하면 9승 8패이며 허츠가 출전했을 때의 성적은 8승 7패.]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는 [[톰 브래디]]의 [[탬파베이 버커니어스]]를 상대로 좋지 못한 플레이를 보여주다가 패배하면서 러싱을 제외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버커니어스는 리그 no.1 런디펜스 팀이지만 패싱 디펜스는 아주 젬병인데, 허츠의 이글스는 러싱이 막힌 순간 정말 아무것도 못하고 탈탈 털렸다.] 본인도 이대로는 안 되겠다고 느꼈는지 시즌이 끝난 이후에는 브래디, [[드류 브리스]]를 코칭한 QB 코치 톰 하우스와 같이 훈련했다고 한다. 그리고 소속팀 [[테네시 타이탄스]]와 계약 문제로 갈등 중인 와이드 리시버인 친구 [[A.J. 브라운]]과 연습하는 영상을 자주 올리더니 이글스가 타이탄스에게 2022 드래프트 18번째 픽과 108번째 픽을 주고 A.J. 브라운을 데려왔다. ==== 2022 시즌 ==== > '''아직도 그를 의심하는 자가 있다면, 더 이상 존재해서는 안 된다.''' >---- > [[슈퍼볼 LVII]]^^(57회)^^ 경기 후 [[패트릭 마홈스]]. [[https://twitter.com/JeffKerrCBS/status/1625005860182425601?cxt=HHwWgoDQ4YuOl40tAAAA|관련 트윗.]] > '''그는 패배했더라도 슈퍼볼 MVP를 수상할 수 있었을 것이다.''' >---- > [[슈퍼볼 LVII]]^^(57회)^^ 경기 후 [[트래비스 켈시]] [[https://twitter.com/PHLEaglesNation/status/1625953121728925718?t=5wtXhnYmdWY7tikd0OFNGg&s=19|관련 트윗.]] 2022 오프시즌 동안 패싱 훈련을 많이 해서인지, 정규시즌 동안에는 러싱과 패싱이 조화롭게 잘 어울리면서 리그 상위급 쿼터백으로 스텝업 하였다. 덕분에 소속팀도 정규시즌 동안 14승 3패라는 호성적을 내고 NFC 동부 디비전 챔피언 획득과 NFC 컨퍼런스 1위 등극에 성공했으며, 이 중 2패는 허츠가 부상으로 2경기를 결장하고 [[가드너 민슈]]가 대타로 나오면서 생긴 결과이다. 시즌 중반 패트릭 마홈스를 MVP 배당에서 앞섰으나 안타깝게도 2경기를 결장한 것 때문에 MVP 수상에는 실패했다. 그래도 [[조 버로우]]와 [[조시 앨런]]보다 인터셉션을 훨씬 적게 던져서인지 All-Pro 세컨드 팀 QB 선정과 더불어 [[https://www.instagram.com/p/Cn2AZ3ROmon/|버트 벨상]]을 수상했다.[* 퍼스트 팀에는 센터 [[제이슨 켈시]]와 RT [[레인 존슨]]이 선정되었으며 LB 하산 레딕, CB 제임스 브래드베리, WR [[A.J. 브라운]]은 세컨드 팀에 선정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준 덕택에 이글스는 다바저널 라운드에서 [[뉴욕 자이언츠]]를, 컨퍼런스 챔피언십에서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를 압살하고 5년 만에 [[슈퍼볼]] 진출과 NFC 챔피언 등극이라는 위업을 이루어냈다.[* 이후 [[슈퍼볼 LVII]]^^(57회)^^ 준비를 이유로 [[올스타전#s-4.7|프로볼]] 불참을 선언하면서 [[제라드 고프]]가 대타로 참가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패스하는 허츠.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달리는 허츠.gif|width=100%]]}}} || || {{{#002244 제일런 허츠의 [[슈퍼볼]] 활약상}}} || 대망의 슈퍼볼, 2쿼터에 펌블 TD를 허용했지만 전혀 주눅들지 않고 경기에 임한 덕분에 304 패싱야드와 70 러싱야드, 4개의 TD[* 1개의 패싱 TD와 3개의 러싱 TD.][* 3개의 러싱 TD는 [[터렐 데이비스]]와 함께 슈퍼볼 단일 경기 최다 러싱 TD이다.]을 기록하며 공격을 이끌었으나 수비진이 후반전 내내 마홈스가 이끄는 [[캔자스시티 치프스]]에게 철저히 능욕당하면서 [[슈퍼볼#s-5.1|빈스 롬바르디 트로피]] 획득에는 실패한다. 그러나 모두의 관심이 주목되는 슈퍼볼에서의 활약으로 기량에 대한 세간의 의심을 떨치면서 연장계약은 무난하게 받겠다는 반응이 일고 있다. ==== 2023 시즌 ==== 그리고 2022 시즌 종료 이후 잭팟을 터뜨렸다. 2023년 4월 17일 이글스와 '''5년 255M'''이라는 초대형 연장 계약을 맺었다. 보장 금액도 약 179M에 달하는 초대형 계약. 이번 계약은 2024년부터 시작되며 사실상 6년 259M의 계약이다. 이로서 허츠는 '''NFL 역대 최다 연봉'''을 수령하는 선수가 되었다.[* 이후 [[라마 잭슨]]이 [[볼티모어 레이븐스]]와 5년 2억6000만달러(약 3480억원)의 연장 계약에 합의하며 2위로 물러났다.] 탬파베이 버커니어스와의 3주차 경기에서 패싱 TD와 러시 TD를 각각 1개씩 기록하며 이글스가 25:11 스코어로 승리하는데 기여했다. 이날 경기에서 29번째 러싱 TD를 기록하며 첫 50경기에서 가장 많은 러싱 TD를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https://www.delawareonline.com/story/sports/nfl/2023/09/25/philadelphia-eagles-quarterback-jalen-hurts-nfl-touchdown-record/70966545007/|관련 기사.]]] 시즌 시작 이후 인터셉션이 늘어났지만 패싱야드와 패싱 터치다운도 그만큼 급격히 늘어났으며[* 22-23년 정규시즌 동안 패싱 터치다운 개수가 22개, 인터셉션 수가 6개인데 23시즌 9경기 동안 패싱 터치다운 15개와 인터셉션 8개를 던졌다.] 시즌 시작 이후 절반이 지난 9경기 동안 팀의 8승 1패 승리를 이끌었다. 자신의 친구이자 신뢰하는 웨폰인 리시버 [[A.J. 브라운]]은 소속팀의 최종병기로 각성해 버렸다. == 플레이 스타일 == [[쿼터백#s-4.3|듀얼스렛]]형 쿼터백(Dual-Threat). [[라마 잭슨]]의 좋은 점[* 주력, 파괴력, 운동신경.]과 나쁜 점[* 기복있는 패싱능력, 상황판단력.]을 상당부분 닮은 선수로, 쿼터백이지만 팔보다는 다리가 주무기라고 평가되었던 쿼터백이었다.[* 단, 잭슨보다 순수주력은 느린 대신 몸이 더 다부지고 파워리프팅 기록을 세울 정도로 힘이 장사라서 러닝 스타일은 잭슨과 조금 다르다. [[캠 뉴튼]]에 가깝다고 봐야할 듯하다.] 이글스에 [[닉 시리아니]] 감독이 부임한 첫 해인 2021 시즌 중반, 시리아니 감독은 허츠의 재능을 살리기 위해 쿼터백 러쉬를 포함한 러닝 위주의 작전으로 나오는 2020년대 NFL 트렌드에 역행하는 전술로 팀공격전술을 바꿔버렸고, 이를 통해 부진하던 전반과 달리 좋은 기량을 선보이며 깜짝 포스트시즌 진출까지 일궈냈다. 그리고 절친 A.J. 브라운이 추가된 2022 시즌에는 루키시즌과 2년차 대비 패싱능력도 상당부분 향상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점차 만능형 쿼터백으로 변모하는 중이다. 또한, 인성과 워크에씩 부분에서 자팀 타팀 할것없이 칭찬일색인 선수라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프리스냅이나 샷건 스냅때 키가 큰 편이 아님[* 허츠의 키는 185cm로 [[쿼터백]] 치고는 단신 축에 든다.]에도 굉장히 낮은 자세로 받는다. 거의 라인맨과 다리 자세가 비슷한 정도로 굽혀서 받는다. 이에 대해 스냅 시 공을 던져주는 쪽인 센터 [[제이슨 켈시]]가 동생과 진행하는 팟캐스트에 나와 언급했는데, 제이슨의 스냅이 매우 빠르다는 장점과 함께, 굉장히 받기 어렵게 주는 단점도 존재해서 이글스 시절 초반에 고생했고 이에 대비하다 보니 그런 자세가 되었다고. 그렇지만 동시에 낮은 스냅 자세 덕분에 스냅 직후 튀어나가는 탄력을 받아 포켓에서 아주 빨리 탈출이 가능하며, 이것이 허츠의 디자인 런을 막기 매우 까다로운 원인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다만 이런 자세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선 그만큼 무릎쪽 부상관리는 필수적일 것이다. == 수상 내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003b66)" '''{{{#fff 수상 내역}}}'''}}} || ||'''[[파일:프로볼 로고.svg|width=auto&height=20]] [[올스타전#s-4.7|프로볼]] 1회 (2022) [br] [[파일:AP통신 로고.svg|width=auto&height=20]] NFL [[NFL All-Pro 팀|All-Pro]] 세컨드팀 1회 (2022) [br] [[파일:맥스웰 풋볼 클럽 로고.svg|width=auto&height=20]] 버트 벨상 1회 (2022)''' || == 여담 == * 아버지에게 배운 것인지 락커룸 장악력과 리더십이 뛰어나다. * 2021-22 시즌 [[워싱턴 풋볼팀]]과의 원정 경기를 승리로 장식하고 퇴장하는 도중 [[페덱스 필드]]의 울타리가 그와 하이파이브를 하려는 팬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 버렸다.[[https://twitter.com/MikeGarafolo/status/1477746031014076423?t=3gjuL_EOCjU2CJ3S4DVWrw&s=19|관련 트윗.]] 다행히 높이가 낮아서인지 크게 다친 사람은 없다고 한다. 이후 허츠는 워싱턴과 NFL 사무국에게 앞으로 이런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기 위해 어떻게 대처할 건지 알려 달라는 내용의 [[https://twitter.com/TomPelissero/status/1478461598687760384?t=48505RasoxuVCpF2HSLjhw&s=19|편지]]를 적었지만, 페덱스 필드 측에서는 [[https://twitter.com/PeteHaileyNBCS/status/1477753653767331844?t=fAFlrTgNS9Vz_MBvLLmJFg&s=19|부서진 울타리를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는 안일한 대처]]를 하여 이글스 팬들의 분노를 샀다.[* 자신들의 구단주 댄 스나이더에 대한 불만이 상당한 워싱턴 팬들도 허츠를 지지했다.] * [[A.J. 브라운]]의 절친답게 브라운이 [[테네시 타이탄스]]에 지명됐을 때 옆에서 축하해 주었다. 또한 허츠는 브라운의 딸의 대부이다. [[드션 왓슨]]과도 훈련을 통해 친해진 사이. * 고등학교 시절 [[파워리프팅]] 선수로 활약했다. 덕분에 체격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힘이 엄청나게 좋은 편이다. [[https://youtu.be/SaVmlfZZhuI|오클라호마 대학교 시절에 600파운드 스쿼트를 성공하는 영상]]. 대신 노래 실력은 그의 엄마도 혹평할 정도로(...) [[https://twitter.com/NFL/status/1619837771660533760?t=YgQRp3_UmjZd4Gha1TvXCA&s=19|처참하다]]. * 기독교도이며 에이전트와 매니지먼트가 전부 여성들이다.[* 덕분에 허츠의 에이전트 니콜 린은 NFL 최초로 슈퍼볼에 진출한 QB를 맡은 흑인 여성 에이전트가 되었다고 한다.] 취미는 요리와 [[R&B]] 듣기로 가재 요리를 무척 좋아하며 가장 좋아하는 가수는 [[아니타 베이커]][* [[2022-23 NFL 플레이오프]]에서 열린 NFC 컨퍼런스 파이널의 국가 제창을 맡았다. 결과는 허츠의 소속팀 이글스가 31-7로 대승리.]이다. * 등 쪽에 문신이 있는 걸로 추정된다. * 그의 대부가 [[휴스턴 텍산스]]의 직원이어서인지 어린 시절 텍산스의 훈련 시설에 자주 드나들었다고 한다. * 휴스턴 출신답게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팬이다. 그래서인지 애스트로스가 [[2022년 월드 시리즈]] 4차전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상대로 노히터 승리를 거둔 이후 SNS에 허츠의 사진을 올리며 트롤링을 시전했다. * 농구는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홈경기에 가끔 직관을 온다. * 드래프트 당시에는 [[피츠버그 스틸러스]]가 자신을 지명할 것이라고 예상했었다. [[댈러스 카우보이스]]의 구단주 [[제리 존스]]와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절친 A.J. 브라운이 이 팀의 열성 팬이었다. ]의 단장 겸 감독 [[빌 벨리칙]]도 당시 그의 지명을 고려했다고 한다. * 앨라배마 대학교에서 만난 [[https://twitter.com/PHLEaglesNation/status/1620135297878208512?t=mSdt57P_h3_q_wFja8JfHA&s=19|브라이 버로우스]]와 교제 중이다. 당시 버로우스는 반에서 1등이었으며 MBA 석사까지 취득했다고 한다. ~~외모가 [[마이클 잭슨]]과 닮았다~~ 이후 본인도 2023년 5월에 오클라호마 대학교에서 석사를 취득했다. * [[댈러스 카우보이스|소속팀의 라이벌]]에서 주전 리시버로 뛰는 [[시디 램]]과는 [[오클라호마 대학교]] 동문이다. * 인터뷰할 때에는 진지한 태도를 고수하지만 동료들은 "그는 라커룸에서는 행동이 180도 달라진다"고 한다. == 연도별 기록 == === [[NCAA Division I Football Bowl Subdivision|FBS]] === ||<|2><:> {{{#ffffff 시즌}}}||<|2><:>{{{#ffffff 소속팀}}}||<|2><:>{{{#ffffff 출장[BR]경기}}}||<-10><:>{{{#ffffff 패싱}}}||<-4><:>{{{#ffffff 러싱}}}|| ||<:> {{{#9d2235 시도}}}||<:>{{{#9d2235 성공}}}||<:>{{{#9d2235 성공률}}}||<:>{{{#9d2235 야드}}}||<:>{{{#9d2235 평균[BR]야드}}}||<:>{{{#9d2235 터치[BR]다운}}}||<:>{{{#9d2235 인터[BR]셉트}}}||<:>{{{#9d2235 색}}}||<:>{{{#9d2235 색야드}}}||<:> {{{#9d2235 레이트}}}||<:>{{{#9d2235 시도}}}||<:>{{{#9d2235 야드}}}||<:>{{{#9d2235 평균[BR]야드}}}||<:>{{{#9d2235 터치[BR]다운}}}|| || 2016 ||<|3>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s-3|ALA]] || 15 || 382 || 240 || 62.8 || 2780 || 7.3 || 23 || 9 || - || - || 139.1 || 191 || 954 || 5 || 13 || || 2017 || 14 || 255 || 154 || 60.4 || 2081 || 8.2 || 17 || 1 || 24 || -126 || 150.2 || 154 || 855 || 5.6 || 8 || || 2018 || 13 || 70 || 51 || 72.9 || 765 || 10.9 || 8 || 2 || 2 || 6 || 196.7 || 36 || 167 || 4.6 || 2 || ||<|2><:> {{{#ffffff 시즌}}}||<|2><:>{{{#ffffff 소속팀}}}||<|2><:>{{{#ffffff 출장[BR]경기}}}||<-10><:>{{{#ffffff 패싱}}}||<-4><:>{{{#ffffff 러싱}}}|| ||<:> {{{#841617 시도}}}||<:>{{{#841617 성공}}}||<:>{{{#841617 성공률}}}||<:>{{{#841617 야드}}}||<:>{{{#841617 평균[BR]야드}}}||<:>{{{#841617 터치[BR]다운}}}||<:>{{{#841617 인터[BR]셉트}}}||<:>{{{#841617 색}}}||<:>{{{#841617 색야드}}}||<:> {{{#841617 레이트}}}||<:>{{{#841617 시도}}}||<:>{{{#841617 야드}}}||<:>{{{#841617 평균[BR]야드}}}||<:>{{{#841617 터치[BR]다운}}}|| || 2019 || [[오클라호마 대학교#s-5.1|OU]] || 14 || 340 || 237 || 69.7 || 3851 || 11.3 || 32 || 8 || 23 || 150 || 191.2 || 233 || 1298 || 5.6 || 20 || ||<-2> [[NCAA Division I Football Bowl Subdivision|FBS]] 통산 [br] (4시즌) || 56 || 1047 || 682 || 65.1 || 9477 || 9.1 || 80 || 20 || - || - || 162.6 || 614 || 3274 || 5.3 || 43 || === [[내셔널 풋볼 리그|NFL]] === ||<|2><:> {{{#ffffff 시즌}}}||<|2><:>{{{#ffffff 소속팀}}}||<|2><:>{{{#ffffff 출장[BR]경기}}}||<-10><:>{{{#ffffff 패싱}}}||<-4><:>{{{#ffffff 러싱}}}|| ||<:> {{{#000000 시도}}}||<:>{{{#000000 성공}}}||<:>{{{#000000 성공률}}}||<:> {{{#000000 야드}}}||<:> {{{#000000 평균[BR]야드}}}||<:> {{{#000000 터치[BR]다운}}}||<:> {{{#000000 인터[BR]셉트}}}||<:> {{{#000000 색}}}||<:> {{{#000000 색야드}}}||<:> {{{#000000 레이트}}}||<:> {{{#000000 시도}}}||<:>{{{#000000 야드}}}||<:> {{{#000000 평균[BR]야드}}}||<:> {{{#000000 터치[BR]다운}}}|| || 2020 ||<|3> [[필라델피아 이글스|PHI]] || 15 || 77 || 148 || 52 || 1061 || 7.2 || 6 || 4 || 13 || 59 || 77.6 || 63 || 354 || 5.6 || 3 || || 2021 || 15 || 432 || 265 || 61.3 || 3144 || 7.3 || 16 || 9 || 26 || 150 || 87.2 || 139 || 784 || 5.6 || 10 || || 2022 || 15 || 460 || 306 || 66.5 || 3701 || 8 || 22 || 6 || 38 || 231 || 101.5 || 165 || 760 || 4.6 || 13 || ||<-2> [[NFL]] 통산 [br] (3시즌) || 45 || 1040 || 648 || 62.3 || 7906 || 7.6 || 44 || 19 || 77 || 440 || 92.2 || 367 || 1898 || 5.2 || 26 || == 관련 문서 == * [[미식축구 관련 인물]] [[분류:미식축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휴스턴 출신 인물]][[분류:오클라호마 대학교 출신]][[분류:앨라배마 대학교 출신]][[분류:2020년 데뷔]][[분류:필라델피아 이글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