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제임스 맨골드}}}[br]James Mangold'''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james_mangold_disorder.jpg|width=100%]]}}} || ||<|2> '''출생''' ||[[1963년]] [[12월 16일]] ([age(1963-12-16)]세)|| ||[[뉴욕주|뉴욕 주]] [[뉴욕시|뉴욕 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데뷔''' ||[[1985년]] || || '''학력''' ||[[캘리포니아 예술학교]] {{{-2 (81학번)}}}||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영화 감독]]이다. == 활동 == 1985년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에 입사하여 각본가와 감독으로 활동하였다. 그 중에서 [[올리버와 친구들]]이 그가 각본을 쓴 작품이며 [[밀로스 포먼]] 감독에게 영화를 배웠다. [[디즈니]] 퇴사 이후 1995년 영화 헤비를 통해 [[선댄스 영화제]] 감독상으로 받아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2016년 [[해저 2만리(영화)|해저 2만리]](1954) 리메이크 영화의 연출을 맡았다고 발표되었다. 하지만, 제작 보류되었다. [[휴 잭맨]] 주연의 [[위대한 쇼맨]]을 기획하였고 2017년 개봉했다. [[로건(영화)|로건]]이 2017년 개봉해 [[아카데미 각색상]] 후보에 올랐다. [[포드 V 페라리]]가 2019년 개봉해 아카데미와 골든글러브에서 다수의 분야에 후보로 올랐다. 20세기 폭스에서 제작하였으나, 폭스가 디즈니에 합병되어 디즈니에서 배급했다. [[인디아나 존스 5]] 제작 도중에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직에서 하차하면서 대신 인디아나 존스 5 감독을 맡았다. [[https://extmovie.com/index.php?mid=movietalk&member_srl=8563696&page=1&document_srl=56230271|#]] 하지만,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극장 흥행을 크게 실패하고 만다. 2022년 12월 [[DC 스튜디오]]에 합류했다.[[https://twitter.com/homeofdcu/status/1600981260330901504|#]] == 특징 == [[스티븐 스필버그]]를 연상케하는 뛰어난 퀄리티의 연출과 서사 부분에서도 촘촘하게 잘 짜는 각본가로서의 실력도 좋은 [[올라운더]]형 감독이며, 관객과 평론가에게 모두 호평을 받는 감독이다. 비주얼리스트형 감독들처럼 화려한 연출 세계를 추구하진 않지만, 연출이 묵직하고 타격감 있으며, 톤 앤 매너를 잘 구축해 안정적인 영상미를 만들어 낸다. 정리하자면 특유의 과한 스타일이 없고, 관객들이 몰입할 수 있겠끔 무난하고 보기 좋게 연출을 하면서, 각본으로서의 디테일과 특유의 묵직한 연출 및 파워풀한 액션 연출까지 겸비해 대중성과 작품성을 잡는 감독이다. [[서부극]] 애호가로 유명하며, [[3:10 투 유마]] 리메이크로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으며, 최근 개봉하여 높은 평가를 받은 [[로건(영화)|로건]] 역시 서부극의 색채가 강하다.[* 단, 역시 맨골드가 감독한 전작 [[더 울버린]]만큼은 예외인데, 배경이 배경이니만큼 일본색이 짙으며, 실제로 감독이 사무라이 영화를 많이 참조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점 외에도 여러 서브컬쳐 영화들에서 팬들의 호평을 받는 감독이기도 하다. 상술한 대로 서부극 팬들에게 3:10 투 유마로 호평을, 히어로 무비 팬들에게 로건으로 극찬을, 레이싱, 자동차 팬들에게 [[포드 V 페라리]]로 극찬을 받는 감독이다. 그가 지향하는 좋은 퀄리티의 휴먼 드라마를 해당 문화 분야의 특성에 잘 접목해서 좋은 결과물을 내는 감독이다. 의외로 [[폴 토머스 앤더슨]], [[켈리 라이카트]], [[알렉산더 페인]], [[웨스 앤더슨]], [[대런 애러노프스키]], [[소피아 코폴라]], [[제임스 그레이]] 감독 등 1990년대에 대거 등장한 미국 젊은 영화 감독들 중 하나로 지금은 상업적 영화를 찍지만 원래는 작가주의 성향이 강했던 감독이다. 때문에 [[헤비#제임스 맨골드 감독의 장편 데뷔작|헤비]][* [[칸 영화제]] 감독주간에 초청되었다.]나 캅 랜드를 찍었을 초창기엔 주목할만한 신인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어느정도 상업적인 영화를 만드는 지금도 상당히 주목받는 편. 요즘 상당히 호평받는 [[로건(영화)|두]] [[포드 V 페라리|작품]]을 제외해도, 이전부터 의외로 비평가나 영화광들 사이에서 지지가 높은 감독이다. [[나잇 & 데이]] 같은 액션 영화도 [[하스미 시게히코]]의 지지를 받았을 정도다. == 작품 == [include(틀:제임스 맨골드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1988년 - [[올리버와 친구들]] - 각본, '''데뷔작''' * 1995년 - 헤비 - 연출, 각본 * 1997년 - [[캅 랜드]] - 연출, 각본 * 2000년 - [[처음 만나는 자유(영화)|처음 만나는 자유]] - 연출, 각본 * 2001년 - [[케이트 앤 레오폴드]] - 연출, 각본 * 2003년 - '''[[아이덴티티(영화)|아이덴티티]]''' - 연출 * 2005년 - '''앙코르''' - 연출, 각본 * 2007년 - '''[[3:10 투 유마]]''' - 연출 * 2010년 - [[나잇 & 데이]] - 연출 * 2013년 - [[더 울버린]] - 연출 * 2017년 - '''[[로건(영화)|로건]]''' - 연출, 각본, 원안 * 2019년 - '''[[포드 V 페라리]]''' - 제작, 연출 * 2020년 - [[콜 오브 와일드]] - 제작 * 2023년 - '''[[인디아나 존스: 운명의 다이얼]]''' - 연출, 각본 * 미정 - 더 포스 - 연출 * 미정 - [[어 컴플리트 언노운]] - 연출, 제작 * 미정 - [[스웜프 씽(영화)|스웜프 씽]] - 연출, 각본 * 미정 - 스타워즈 영화 * ~~2032년 - 올드맨 데드풀~~[* [[솔직한 예고편]] 로건 편에서 데드풀 본인이 친 개드립(...). 로건에 감명을 받은 데드풀이 2032년 개봉을 목표로 반드시 맨골드 감독에게 찍게 하겠다고 밝혔다.] * TBA - 디즈니의 캡틴 니모 (가제) * TBA - [[버스터 키튼]] 전기 영화 == 여담 == * 이름에 '골드'가 들어간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유태인]]이다. * 히어로 팀업 무비 제작의 붐이 일어났던 시점에 '[[슈퍼히어로 영화]]에는 캐릭터가 너무 많이 나오며 한 캐릭터가 나오는 시간이 6분에 지나지 않는 그런 영화들은 2시간짜리 예고편'이라며 비판했다.[[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1703220948316767846_1|#]] * R등급 영화의 중요성에 대해 그는 단순히 폭력적인 영화를 만드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타겟이 되는 연령층이 달라지면서 표현할 수 있는 이야기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런 점은 로건을 찍은 후 PG-13으로 찍은 [[포드 V 페라리]]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는 [[로건(영화)|로건]]을 만들 때 제작비가 덜 들어갈 것이라는 점을 영화사에 크게 어필했고 배급사였던 [[20세기 폭스]]는 [[데드풀 1]]의 성공 덕분에 그의 제안에 설득당했다고 한다. [[https://m.ruliweb.com/av/board/300013/read/2746915?page=2|#]] * 프랜차이즈 영화에 대해서 본인은 해당 시리즈의 핵심적인 요소를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프랜차이즈 영화가 일종의 상품으로서 여겨지는 지금의 시대에서는 관객들이 동일한 것을 다시 경험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감독한 [[로건(영화)|로건]]의 경우도 원작인 [[엑스맨 실사영화 시리즈|엑스맨 시리즈]]의 핵심적인 가치들을 버리지 않으려 노력했다고 한다. [[https://comicbook.com/movies/news/indiana-jones-5-james-mangold-logan-interview/|#]] * 페르소나로 [[휴 잭맨]]이 있다. 울버린 솔로 영화 두편 뿐만 아니라 맨골드 감독의 초기작 케이트 & 레오폴드에서도 주연이였고, [[위대한 쇼맨]]의 프로듀서로도 참여하는 등 인연이 깊다. 그 외에는 [[크리스찬 베일]]과 2번 작업했다. * [[타이카 와이티티]]의 [[타이카 와이티티의 스타워즈|스타워즈]]가 싫다는 트윗에 좋아요를 눌렀다.[* 타이카 와이티티는 예전에 [[토드 필립스]]를 조롱한 일이 있다. [[https://www.indiewire.com/2019/10/taika-waititi-calls-out-todd-phillips-woke-culture-killed-comedy-1202178158/|#]]] [[https://gall.dcinside.com/m/commercial_movie/491911|#]] * 폭스 사로부터 전적인 신뢰를 받는지 [[20세기 폭스]]가 제작 중 문제가 생기면 맨골드에게 헬프를 자주 요청했다. [[알렉산드르 아야]], [[렌 와이즈먼]] 등이 R등급 울버린 영화를 만드려고 했으나 폭스가 거부해서 무산되었던걸 맨골드가 [[로건(영화)|로건]]으로 성사시켰고, [[더 울버린]]도 [[대런 애러노프스키]]가 작업하다가 장기 해외 로케이션으로 인한 가족과의 이별이 힘들었던 문제로 하차한 걸 맨골드가 급하게 대체 감독으로 투입돼서 만든 작품이다. [[조셉 코신스키]]가 [[톰 크루즈]]와 [[브래드 피트]] 주연으로 [[포드 V 페라리]]를 연출하려 했으나 제작비 문제로 폭스가 엎어버린 것을 맨골드가 [[맷 데이먼]], [[크리스찬 베일]] 주연으로 또 성사시켰다. === 맨골드가 좋아하는 영화들[[https://youtu.be/0CteseQgOA4|.]] === <사형수 탈옥하다>: [[로베르 브레송|브레송]]은 거의 아무 것도 갖지 않은 상태에서 영화를 찍는 법을 가르쳐 준다. <[[플레이타임]]>: 이 영화의 70mm 버전을 세 번이나 봤다. <피아니스트를 쏴라>: 누아르가 명랑함과 환상성까지 갖췄다. [[프랑수아 트뤼포|트뤼포]] 영화들은 영화창작자라면 봐야 한다. <[[듀얼(영화)]]>: 다이나믹함, 액션, 긴장감 모두가 트럭에 쫓기는 한 사람을 통해 다 표현된다. <컨버세이션>: 요즘의 우리 사회와 관련된 도청, 편집증, 정부의 감시 같은 테마들을 진작부터 다룬 영화다. <[[로건(영화)|로건]]>을 찍을 때 이 영화의 음악을 많이 참고했다. <[[역마차(영화)]]>: 우리 모두 [[존 포드]]에게 경의를 표해야 한다. <[[셰인(영화)]]>: <[[로건(영화)|로건]]>의 스토리를 구상할 때 이 영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다크 나이트 트릴로지]]>: 만화책을 원작으로 하는 많은 영화들이 문제가 많다. 정체성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냥 코스튬이나 무기 정도만 원작에서 빌려온 수준이다. 하지만 놀란의 영화들은 그 자체로도 아름다운 느와르 영화들이기에 돋보인다. <[[황야의 무법자]]>: 이탈리아는 미국의 서부극을 훔쳐 가서 더 맛깔스럽게 만들어냈다. <[[용서받지 못한 자(1992)]]>: [[클린트 이스트우드]]를 통해 서부극이 다시 미국으로 돌아왔다. <[[동경이야기]]>, <[[부초이야기]]>, <부초>: <부초>에는 아주 아름다운 장면 하나가 나오는데, <[[더 울버린]]>을 찍을 때 많이 영향 받았다. <모래의 여자>: 나는 영화를 공부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항상 아시아 영화를 눈여겨 보라고 조언한다. [[분류:제임스 맨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