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e5d85c ''' 역대 [[애니상|{{{#e5d85c 애니상}}}]] 시상식''' }}} || ||<-5> [[파일:Annie_Award.png|width=55]] || ||<-5> {{{#e5d85c '''최우수 성우상 - TV'''}}} || || '''제36회[br]([[2009년]])''' || {{{+1 → }}} || '''제37회[br]([[2010년]])''' || {{{+1 → }}} || '''제38회[br]([[2011년]])''' || || [[톰 케니]][br]([[네모바지 스폰지밥]]) || {{{+1 → }}} || '''제임스 홍[br](쿵푸 팬더 홀리데이 스페셜)''' || {{{+1 → }}} || 제프 베넷[br]([[마다가스카의 펭귄]]) || ||<-2>
'''{{{+1 제임스 홍}}}'''[br]吴汉章 / 吳漢章 | James H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임스 홍.jpg|width=100%]]}}} || ||<|2> '''출생''' ||[[1929년]] [[2월 22일]] ([age(1929-02-22)]세)|| ||[[미국]]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신체''' ||178cm|| || '''가족''' ||배우자 펄 후앙^^(1967년 결혼~1973년 이혼)^^[br]배우자 수잔 홍^^(1977년 결혼~현재)^^[br]딸 에이프릴 홍^^(1978년생)^^|| || '''학력''' ||미니애폴리스 중앙 고등학교 {{{-2 (졸업)}}}[br][[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2 (학사)}}}|| || '''직업''' ||[[배우]], [[성우]], [[프로듀서]], [[감독]]|| || '''데뷔''' ||[[1954년]] 영화 'Dragonfly Squadron'|| || '''링크''' ||[[https://www.jameshong.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mdb.com/name/nm0393222|[[파일:IMDb 로고.svg|height=20]]]] [[https://www.facebook.com/officialjamesho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성우]], 프로듀서, 감독. [[중국]] 이민자 출신의 부모님 밑에서 자랐으며, 여러 영화나 TV에 출연하며 650편 정도의 필모를 보유한 엄청난 다작 배우이다. == 상세 == 홍콩에서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이민을 떠난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홍콩으로 가서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10세에 미국으로 돌아갔고, 고등학교 때 아버지의 중국 음식점에서 하는 [[경극]]을 보고 처음으로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미니애폴리스 대학에서 공부하던 중 한국에서 [[6.25 전쟁]]이 발발하여 징집되었고, 미국 내 기지에서 훈련을 받은 후 한국으로 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임스 홍의 엔터테인먼트 능력을 높이 산 장군이 그대로 미국 내 기지에 머물면서 병사들을 위한 공연을 계속하게 했다. 군복무를 마친 1953년에 [[로스 앤젤레스]]로 가서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학업을 마친 후 영화 및 TV 업계에 뛰어들었다. 1950년대 이래로 600개가 넘는 영화, TV, 라디오 방송에 출연했다. 시대 특성상 주연으로 활동한 경우는 드물었지만,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이 심했던 시절인데도 다양한 분야에서 조연 및 단역으로 활동하는가 하면 감독이나 제작자로도 활약했다. 그래서 지금의 아시아계 미국 배우들에게 대선배로 존경받고 있다. 2020년에 한국계 배우인 [[대니얼 대 킴]]이 앞장서고 다른 아시아계 배우들도 힘을 보태어 제임스 홍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시키자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마침내 2022년 5월 93세에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이름을 올렸다.[[https://walkoffame.com/james-hong/|#]] == 출연작 == 전체 출연작은 [[https://en.wikipedia.org/wiki/James_Hong_filmography|링크 참조]]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2022) * 드로파 (2018) * [[비스트 모드]] (2017) * 베터 크리미널 (2016) * 더 도그 후 세이브드 썸머 (2015) * 서먼드 (2013) * [[더 로스트 메달리온: 더 어드벤쳐 오브 빌리 스톤]] (2013) * [[R.I.P.D.]] (2013) * [[정크]] (2012) * [[노 에브 트러블 인 리틀 차이나]] (2011) * [[세이프]] (2011) * [[하우 투 메이크 러브 투 어 우먼]] (2010) * [[지구가 멈추는 날]] (2008) * [[언 액시덴탈 크리스마스]] (2007) * [[빅뱅 이론(시트콤)]] (2007) * [[헐리우드 차이니즈]] (2007) * [[상하이 키스]] (2007) * [[분노의 핑퐁]] (2007) * [[원 나이트 위드 유]] (2006) * [[아메리칸 퓨전]] (2005) * [[라틴 드래곤]] (2004) * [[석커 프리 시티]] (2004) * [[포비든 워리어]] (2004) * [[고스트 록]] (2003) * [[아이돌]] (2002) * [[에폭]] (2000) * [[아트 오브 워]] (2000) * [[웨스트 윙 시즌1]] (1999) * [[브로큰 베설]] (1998) * [[브레이크아웃]] (1998) * [[지투]] (1998) * [[레드 코너]] (1997) * [[인피니티]] (1996) * [[키드 특공대]] (1996) * [[비치 아카데미]] (1996) * [[투혼 3]] (1996) * [[건스 앤 립스틱]] (1995) * [[흑과 백]] (1995) * [[투혼 2]] (1995) * [[배반의 사랑]] (1995) * [[탱크 걸]] (1995) * [[덤보 낙하 작전]] (1995) * [[글래디에이터 미션]] (1994) * [[마이애미 캅]] (1994) * [[쉐도우]] (1994) * [[프렌즈]] (1994) * [[골든 피닉스]] (1993) * [[LA 여신]] (1993) * [[웨인즈 월드 2]] (1993) * [[브리스코 카운티 주니어의 모험]] (1993) * [[더블 파이터]] (1992) * [[크라임 킹]] (1991) * [[유산의 비밀]] (1991) * [[철인 무적]] (1991) * [[신부님 참으세요]] (1991) * [[미스테리 데이트]] (1991) * [[프레임드]] (1990) * [[사이공 탈출]] (1990) * [[용의 전사]] (1990) * [[불륜의 방랑아]] (1990) * [[장미의 형제]] (1989) * [[하니웰 수용소]] (1989) * [[탱고와 캐쉬]] (1989) * [[천재 소년 두기]] (1989) * [[데드록]] (1988) * [[마법의 이중주]] (1988) * [[기숙사 대소동 2]] (1987) * [[차이나 걸]] (1987) * [[블랙 위도우]] (1987) * [[머나먼 정글]] (1987) * 골든 차일드 (1986) * [[빅 트러블]] (1986) * [[블레이드 인 홍콩]] (1985) * [[닌자 3]] (1984) * [[대특명]] (1984) * [[A 특공대 - TV시리즈]] (1983) * [[후커와 로마노]] (1982) * [[죠르지오의 사랑]] (1982) * [[블레이드 러너]] (1982) * [[다이너스티]] (1981) * [[고백]] (1981) * [[머슬 비치의 허슬러]] (1980) * [[에어플레인]] (1980) * [[지참금 2백만불]] (1979) * [[대전장]] (1978) * [[최후의 9일]] (1978) * [[월드 그레이티스트 러버]] (1977) * [[노 디퍼짓, 노 리턴]] (1976) * [[영광의 뒤안길]] (1976) * [[저지 디 앤드 더 모너스터리 머더]] (1974) * [[차이나타운(1974)|차이나타운]] (1974) * [[선샤인(영화)|선샤인]] (1973) * [[샌프란시스코 수사반]] (1972) * [[캐리 트리트먼트]] (1972) * [[콜로서스]] (1970) * [[하와이언스]] (1970) * [[올 인 더 패밀리]] (1968) * [[하와이 5-0수사대]] (1968) * [[털보 가족]] (1966) * [[데스티네이션 이너스페이스]] (1966) * [[0011 나폴레옹 솔로 - 지옥특파]] (1966) * [[산 파블로]] (1966) * [[우리 생애 나날들]] (1965) * [[첩보원 0011]] (1964) * [[플라워 드럼 송]] (1961) * [[보난자]] (1959) * [[페리 메이슨]] (1957) * [[전송가]] (1957) * [[고질라 3 괴수의 왕]] (1956) * [[모정]] (1955) === 애니메이션 === * [[Scooby-Doo! Mystery Incorporated]] - 첸, 붉은 마법사 * [[덱스터의 실험실]] - 미스터 차우, RA * [[돌연변이 특공대 닌자 거북이]] - 호 찬 * [[스타워즈 반란군]] - 아즈모리건 * [[스타워즈: 비전스]] (2021) - '''노인''' * [[아바타 아앙의 전설]] - [[타시]] * [[아처(애니메이션)|아처]] - 버키 * [[재키찬 어드벤처]] - 다오롱 웡 * 쿵푸팬더: 시크릿 오브 더 스크롤 (2016) - [[핑(쿵푸팬더)|핑]] * [[쿵푸팬더: 용의 기사]] (2022) - [[핑(쿵푸팬더)|핑]] * 쿵푸팬더: 기막힌 전설 (2010) - [[핑(쿵푸팬더)|핑]] * 쿵푸팬더 홀리데이 스페셜 (2010) - [[핑(쿵푸팬더)|핑]] * [[틴 타이탄]] - 프로페서 챙 * [[틴 타이탄 GO!]] - 거북이 ==== 애니메이션 영화 ==== * [[메이의 새빨간 비밀]] - 가오 할아버지 * [[뮬란]] (1998) - 츠푸 * 배트맨: 소울 오브 더 드래곤 - 오 센세 * [[셜록 놈즈]] - 소금 장수 * [[웬델 & 와일드]] (2022) - 비스트 신부 * [[쿵푸팬더 시리즈]] - [[핑(쿵푸팬더)|핑]] * 톰과 제리: 스파이 대작전 - 진 박사 * [[트롤헌터: 라이즈 오브 타이탄]] - 종시 === 게임 === * [[디아블로 3]] - [[욕심쟁이 셴]] * [[디아블로 4]] * [[슬리핑 독스]] - [[엉클 포]]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 첸 의장 * [[프레이(2017)|프레이]] - 윌리엄 유 == 기타 == * 홍콩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홍콩에서 어린 시절 몇 년을 보낸 것을 빼고는 계속해서 미국에서 살았기 때문인지, 홍콩에서 일상적으로 쓰는 [[광동어]]에 익숙하지 않은 것 같다.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서 홍콩에서 평생 살다가 늙으막에 미국에 있는 딸에게 가서 함께 살게 된 노인 역을 맡았는데, 광동어로 된 대사의 발음을 틀려서 딸 역을 맡은 [[양자경]](양자경은 홍콩에서 오래 살았기 때문에 광동어에 익숙함)이 여러 번 교정해주었다고 한다. * [[제29회 미국 배우조합상]]에서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출연진과 함께 앙상블상을 수상했다. 앙상블상은 공동 수상이지만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의 출연진은 94세의 대선배 제임스 홍에게 영광을 돌렸다. 수상 소감에서 "내가 SAG에 가입한 70년 전에는 영화 대지[* The good earth. 1937년작으로 [[펄 벅]]의 소설 [[대지(소설)|대지]]를 영화화한 것이다. 참고로 펄 벅은 아시아 국가도 서구의 국가와 대등하게 세계 무대의 일원이 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음을 소설속에서 강조하려고 했는데, 굳이 미국 영화계가 백인 배우를 고용한 것은 미국 영화계의 깊은 차별의식이 더 대조적으로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에서 백인 배우가 서구권의 편견대로 눈이 찢어져 보이도록 눈에 테이프를 붙이고 아시아인 악센트로 아시아계 배역을 연기했다. 아시아계 배우들은 연기력이 부족하고 티켓파워도 없다는 게 제작자들이 내세운 이유였다. 하지만 지금 우리를 봐라!"라고 감격하며 말하는가 하면 "100세가 되었을 때 다시 이 무대에 서겠다!"라며 기염을 토해서 감동한 참석자들에게 기립박수와 환호성을 받았다.[* 그리고 '리'는 중국계 사이에서 흔한 성이고 자기 어머니도 성이 '리'라며, 이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 중 [[제이미 리 커티스]]는 중국계가 아니지만 이름에 '리'가 들어가서 친척처럼 느껴진다고 익살스런 말을 하여, 참석자들이 웃음을 터뜨리기도 했다.][[https://youtube.com/shorts/frmr7gFH_ys?feature=share|#]]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 [[성우/미국]] [[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의 영화 배우]][[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미국의 프로듀서]][[분류:1929년 출생]][[분류:1954년 데뷔]][[분류:미니애폴리스 출신 인물]][[분류: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신]][[분류:중국계 미국인]][[분류:캘리포니아 계열 성우]][[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